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막 탈락막화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가 미치는 영향

        권종희 ( Jong Hee Kwon ),이재훈 ( Jae Hoon Lee ),장혜진 ( Hye Jin Chang ),박동욱 ( Dong Wook Park ),김영아 ( Young Ah Kim ),김미란 ( Mi Ran Kim ),황경주 ( Kyung Joo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정상 생리 주기에서 자궁내막에서의 TGF-β수용체의 발현과 배양된 인간의 자궁내막을 이용하여 자궁내막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TGF-β와 PPAR-gamma의 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인간의 자궁내막조직에서 TGF-β와 Smad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자궁내막의 기질세포를 배양하여 TGF-β(10ng/mL)와 PPAR-gamma agonist (Rosiglitazone(R) 50 nM)를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과 동초점 현미경, 생활성 세포의 수를 관찰하여 자궁내막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Smad, prolactin, 세포증식에 미치는 이들의 작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인간자궁내막조직에서 분비기에 TGF-β수용체 I, II형의 발현은 상피세포보다 기질세포에서 두 수용체가 모두 높게 발현되었다. 인산화된 Smad2/3의 발현과 세포핵 내로의 이동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더 높게 발현되었다. 기질세포 배양시 TGF-β의 pSmad를 통한 탈락막화 현상은 PPAR-gamma agonist에 의해 상쇄되었으며 PPAR-gamma agonist와 달리 TGF-β는 세포 수의 증식을 억제시켜 세포분화 즉, 탈락막 현상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TGF-β는 Smad의 과정을 통해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탈락막화에 관여하고 PPAR-gamma는 TGF-β/Smad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TGF-β의 작용을 억제한다. Objective: To ascertain the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receptors in normal human endometrium during the menstrual cycle, and the action of TGF-β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during endometrial decidualization using cultur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Methods: Human endometrial tissue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for the expression of TGF-β receptors and Smad. Western blotting, confocal microscopy and viable cell counting were performed on cultur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TGF-β(10ng/mL) and PPAR-gamma agonists (Rosiglitazone(R) 50 nM). Thereafter we compared the effect of TGF-β and PPAR-gamma on the Smad phosphorylation, prolactin express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vitro human endometrial decidualiz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both TGF-β receptor-I and -II proteins in the secretory stromal cells compared to the epithelial cells of human endometrium. The degree of expression and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of the phosphorylated Smad2/3 was also increased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endometrium. In the stromal cell culture, the decidualization process associated with TGF-β and pSmad is inhibited by the PPAR-gamma agonist. In contrast to the PPAR-gamma agonist, TGF-β inhibits cellular proliferation. Conclusion: TGF-β /Smad signaling pathway is essential for endometrial decidualization and closely related to cellular differentiation. PPAR-gamma plays a conflicting role by directly acting on the Smad protein and blocking the TGF-β /Smad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 KCI등재

        프로그램 디자인 구성요소 개발에 대한 연구: 여성 한부모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권종희 ( Jong Hee Kweon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4 No.-

        최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인 디자인 사례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램 디자인 개발과정을 기술·설명하고 이러한 개발 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 여성 한부모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조사에 적용된 디자인 개발 조사방법으로서는 개입 문제와 개입 이론의 분석, 디자인 개발과 관련된 문헌의 검토, 현장 제안서의 검토, 현장 종사자의 인터뷰, 실증적 관련 문헌의 분석으로부터 2차례에 걸쳐 디자인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3차례의 반복적 디자인 원형 구성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렇게 개발된 최종 여성 한부모 프로그램 디자인의 특성으로는 3가지 차원의 개입 초점과 이와 연관된 프로그램 활동, 3가지 개입초점의 단계적 활동 노력, 개입변화의 인지·행위(동)의 순차성과 그와 관련된 목표설정 등과 같은 특징이 디자인으로 구현화 되었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다양한 디자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여성 한부모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내용 및 절차적인 특징들도 발견되었다. 또, 프로그램 디자인 개발활동 그 자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과 가능성도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 한부모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한 논의와 추후 디자인 개발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다. Despite rapidly increasing concerns of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social work in Korea, it is still unknown how to establish design validity in progra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in constructing validity of the empowerment program for Single Mothers, who have a lot of severe difficulties in Korea. The researchers created a design framework by review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empowerment theories/models and program design models. They collected and analyzed three types of design information, such as program proposals, social workers, and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empowerment. They designed program prototypes several times through carefull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s a result, 3 key design features of the finale program for Single Mothers were found. The design features are: 1) the three levels of intervention and their related program activities, 2) the systematic change in the three levels, and 3) cognitive-behavioral changing procedure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obtaining related program objectives. In conclusion, some interesting findings on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mpowerment programs in the field as well as the difficulties and tasks in establishing the design valid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다차원 빈곤의 종단분석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실현능력접근

        권종희 ( Jong Hee Kwon ),서병수 ( Byung Soo Suh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measur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 by the counting approach and examine its usefulness as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selection criteria for recipients of the public assistance. By the counting approach applying to Welfare Panel in Korea during 2005-2011, the adjusted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was decreased to 22.1% in 2011 from 33.0% in 2005. The high levels of the adjusted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were due to broad deprivations in assets, social securities, health and workability, in spite of the low contribution of income poverty. Vulnerable classes such as single parent families, low-education level group, the aged, economically non-active population were among the severe poverty rates, which were reaching over 50%. The analysis reveals the need to change the intersection selection methods of the present public assistance program to the robust approach of multidimensional poverty measurement, the counting approach. Social policies to reduce poverty in Korea would gain expected positive outcome with the various approaches based on the concep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상 자궁난관조영을 보이는 불임 환자에 있어서 복강경술의 의의

        권종희 ( Jong Hee Kwon ),서성석 ( Seong Seog Seo ),김미란 ( Mi Ran Kim ),황경주 ( Kyung Joo Hwang ),장혜진 ( Hye Jin Chang ),장석준 ( Suk Joon Chang ),유희석 ( Hee Su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2

        목적: 불임의 원인을 정확히 찾아내어 그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워 성공적으로 임신에 도달하는 것이 불임 검사의 목적이다. 자궁난관조영술은 난관내부 및 자궁내강의 환경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기는 하나 난관주변의 유착 및 자궁내막증과 같은 골반강내 질환 등의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경상 자궁난관조영을 보인 불임환자에서의 복강경술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후향적으로 79명의 자궁난관 조영술상 정상을 보인 Objective: To evaluate the value of laparoscopy in infertile women with normal hysterosalpingograms. Method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laparoscopic findings of 79 infertility patients with normal hysterosalpingograms. Results: Of the 79 patients, 28 (

      • KCI등재

        대안운동으로서의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

        엄한진(Eom Han-Jin),권종희(Kwon Jong-Hee)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본 논문은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 사회적 경제가 지닌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의 측면을 검토한다. ‘연대의 경제’에 관한 논의, 그리고 그 토대가 된 칼 폴라니의 경제론을 토대로, 대안운동으로서 사회적 경제가 가져야 할 조건들을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 기관 및 기업의 사례에서 확인한다. 대안적인 경제관, 연대 활동, 공동체 강화, 상호성에 기초한 경제행위, 혁신이 이러한 조건으로 선택되었다. 먼저 또 다른 ‘압축적 성장’이라고 할 만큼 짧은 기간 내에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법적, 제도적 기반이 광역 및 기초 단위에서 상당부분 갖추어졌고 사회적 경제 조직의 수도 급격히 늘어났다. 사회적 경제 조직간 교류도 증가했다. 질적인 면에서도 근본적인 지역재생의 시도들이나 조직내 민주주의를 강화하려는 시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조직의 유형과 무관하게 지역사회의 문제를 공동체를 강화하고 비시장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했던 대안운동으로서의 측면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적 유대의 재건이나 새로운 경제관의 형성보다는 환경문제와 지역농업의 회생, 취약계층의 고용문제 등 시급한 경제문제의 해결, 또는 사회적 경제 조직 자체의 생존이 더 강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 측면이나 구조적인 접근이 미약하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현장 조직의 경우 사회적 경제 자체에 대한 이해가 크게 부족하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학습의 기회가 거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뷰에 응했던 관계자들은 공히 국가로부터의 자율성이 미약한 점을 지적했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 시장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있었다. 현장 조직의 경우 다양한 비시장적 실천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지만 전체 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혁신의 측면 역시 민주적인 조직 문화와 관련된 측면을 제외하고는 두드러진 성과를 찾기 어렵다. 조직의 유형별로 차이점을 발견할 수도 있었다. 먼저 지원기관이나 연합체 성격을 띤 조직은 조직의 성격상 사상적인 측면이 상대적으로 명확히 설정되어 있다. 조직의 성격상 네트워크 활동의 중심에 위치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반면 조직 운영에 있어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현장 조직들의 경우에 두드러진다. This paper examines Social Economy in Korea as an alternative of capitalism focusing on a case of Gangwon province. Based on ‘solidarity economy’ theory and Karl polanyi’s economic theory, it verifies if social economy’s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in Gangwon possess conditions which social economy should have as alternative movement. Alternative economic view, activity of solidarity, enhancing community, economic action based on reciprocity, innovations are chosen as these conditions. First, there was amazing growth which merits ‘condensed growth’.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work are prepared in a regional and local dimension. The number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was also dramatically increased. Interaction among the organizations grew. In quality, tries of fundamental ‘community regeneration’ and democracy promotion can be examined. Regardless of type of organizations, it shows tendency toward non-market approach and strengthening community culture in solving community problems. Though, it is hard to find key elements of solidarity economy. It is assured that survival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tself or solution of urgent socio-economic problem like local environmental issue, revival of agriculture, problem of employment are more emphasized than reconstruction of community bond or formulation of new economic view. Also, it is found that political sides and structural approach are weak. Fundamentally, field organization’s understanding of social economy itself is lack and there is few opportunity of learning to improve this. The persons interviewed pointed out faint autonomy from government and proposed expansion of social economic market is needed. It is possible to find out a case of various non-market practice in the field organizations but portion in all activities is minor. It is unlikely to look for noticeable outcomes except democratic organization culture as an innovation aspec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ypes of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s such as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or an alliance set up an ideological sides clearly. It plays a leading role in center of network activity. On the other hand, in managing organization, interest about democracy is noticeable in organizations like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s, village enterprise, self-sufficiency enterprise.

      • KCI등재

        태아 수활액낭종의 격벽 유무에 따른 주산기 예후

        장석준 ( Suk Joon Chang ),권종희 ( Jong Hee Kwon ),임윤경 ( Yun Kyung Lim ),양정인 ( Jeong In Yang ),김행수 ( Haeng Soo Kim ),유희석 ( Hee Su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목적 :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관찰된 태아 수활액낭종의 격벽 유무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5년간 (1999년 3월-2004년 5월) 아주대학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산전 초음파 검사를 시행 받고 태아 수활액낭종으로 진단 받은 65예 중, 입원하여 산과적 처치를 시행 받고 퇴원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 상 격벽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서 염색체 검사, 태아 수종 및 다른 기형의 동반 여부 등을 비교 Objective :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inatal prognosis and the presence of septation in cystic hygroma deteted by antenatal ultrasonography. Methods : During a 5-year period, 65 cases of cystic hygroma were diagnosed by antenatal ultrasonog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