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삼저(劉三姐) 이야기의 양식적 변용 특징 연구

        권응상 ( Kwon Ueng-sa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6 No.-

        중국 서남부 소수민족의 이야기였던 劉三姐 이야기는 시대적 변곡점마다 다양한 양식으로 변용되면서 전 중국을 대표하는 문화 콘텐츠가 되었다. 50년대 말 유삼저 이야기를 처음으로 대중화시킨 彩調劇 《유삼저》와 이를 개편한 歌舞劇 《유삼저》는 당시 시대상황과 결부된 계급투쟁과 문화충돌의 갈등구조로써 유삼저를 불굴의 투사로 형상화하여 대중성을 확보하였다. 혁명의 시기에 시대정신을 반영한 이러한 캐릭터는 1961년 영화 《유삼저》로 이어져 유삼저는 마침내 소수민족의 딸에서 전 중국 인민의 딸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문혁이 끝난 후 1978년에 유삼저 이야기는 다시 영화화 되었지만 1961년판 영화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어지는 2001년판 영화 《新劉三姐》는 노래를 없애고 이야기도 현대적으로 구성하는 변용을 보여주었으며, 2010년판 영화 《유삼저를 찾아서》는 유삼저 모티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이야기 구조로 인기를 끌었다. 이 두 영화는 개혁개방 이후 경제 성장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여 《신유삼저》처럼 발랄하고 독립적이거나 《유삼저를 찾아서》처럼 사려 깊고 지적인 여성상을 강조하였다. 유삼저 이야기는 1998년과 2010년에 각각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는데, 연속극이라는 양식적 특성으로 인해 이야기의 변화가 많고 에피소드도 많이 첨가되었다. 기존 여러 양식에서는 언급되지 못했던 유삼저 구전 이야기가 다양하게 추가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갈등구조도 추가하여 이야기 구성이 더욱 복잡하고 깊어졌다. 이에 비해 2004년에 첫 공연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성황리에 공연되고 있는 실경무대극 《印象·劉三姐》는 이야기의 서술을 배제하고 다섯 색깔의 서로 다른 `인상`을 통해 새로운 주제를 만들어내고 있다. 기존 유삼저 이야기 속의 갈등과 투쟁은 관객이 스스로 상상하게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와 평화,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 양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서사 기법으로서, 실경무대극의 양식적 특징과 張藝謀式 `인상` 연출 기법에 따른 유삼저 이야기의 변용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유삼저 이야기의 흥성기는 1950년대 말에서 60년대까지, 19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까지, 그리고 1990년 말에서 현재까지로 삼분할 수 있는데, 각 흥성기마다 그 시대를 반영한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여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첫 번째 시기의 유삼저는 계급투쟁과 문화충돌을 헤쳐 나가는 불굴의 아이콘이었고, 두 번째 시기는 10년이 넘는 문화 암흑기를 견뎌내고 다시 일어선 민중 문화의 상징이었으며, 세 번째 시기는 경제적 풍요를 상징하고 급변하는 신세기와 어울리는 다양한 모습의 신세대 여성상이다. Story of Liusanjie, a story of Ethnic Minority group, gained countrywide popularity with its charm. Later, it transformed and adopted into various theater scenes; Starting with Caidiao Opera, Movies, Dramas, Real scene play and etc. Caidiao Opera depicts Liusanjie as a figure of persecuted lower class, reflecting current class and cultural conflict. It gained popular appeal by configuring Liusanjie as a pertinacious fighter. It pursues image of Liusanjie being a modern women in 2001 and 2010 version of the movie, focusing on independence in < New Liusanjie > and considerate and wise in < Looking for Liusanjie >. Luisanjie being a character who reflects zeitgeist of the revolution time, was welcomed by not only public but also the politics. Popularity of Liusanjie promoted its position from “Daughter of Ethnic Minority” to “Daughter of China”. Caidiao Opera was made into movies in 1960s and 1970s, in attempt to get on the bandwagon of revolutionary time. Story of Liusanjie had also been made into a very detailed long drama with additional episodes. Liusanjie in the drama is similar to the one in the movie < Looking for Liusanjie >. Adding new conflicts along with the stories that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different genres made the whole story more complex and in depth. < Impression Liusanjie > which incorporates with five different colors, on the other hand, is consist of folder type texts full of signs without the actual context of the story and class conflict theme. It forces the audiences to discover meaning of the story only via the signs presented. Five different `impression`s links each different scenes, and leads to the author`s ultimate intent. This is a new narrative skill that can`t be found in existing current forms of Liusanjie stories, is a transformation of stories following 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Real scene play and `Impression` stagecraft. Story of Liusanjie, story of Ethnic Minority of southwest region, has become one of Chin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through many transformations. Each different transformations seem to reflect its timeline, it could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ive types according to the timeframe. First timeframe, time of the movie < Liusanjie > and Caidiao Opera < Liusanjie >, took place in mid-1950s to 1960s. It`s a time when story of Liusanjie was spiced up with political factors of culture and class conflict and gain popular appeal. Second timeframe appears after long pause of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being initiated between late 1970s and early 1980s with the movie < Liusanjie > by Guangxi Caidiao Opera Company in 1977 and < Liusanjie > of Wuyonggang in 1978. This was the time after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when cultural desires contracted during the recession pours in, the excitement hugely impacted on revised story of Liusanjie-story. The story doesn`t have much difference from the prior period`s, however, it once again confirmed unchanged love of Chinese towards the story. After another vacant phase, many literacy work appears; a series book of Liusanjie in 1996, TV musical drama < Liusanjie > in 1998, and movie < New Liusanjie > in 2001 expecting another literacy peak. Story of Liusanjie reaches its peak after premiere of < Impression Liusanjie > being performed at the real-life scenery stage in a small town called Guilin Yangsuo in March 2004. In July of 2005, after 200 artists` 3 years of work, they created Liusanjie as a new version of big dance drama spicing up with pan-flute, tap-dancing and other modern techniques and performed countrywide touring. Liusanjie in many different literal form has appeared as follow; the movie < Looking for Liusanjie > and 30 parts TV series < Liusanjie >. Third timeframe bases its background as economic growth accompanied with the Chinese reform. For this reason, combative and resolute figure of Liusanjie was replaced with beautiful and independent women of 21st along with comic and romantic atmosphere of the stories. Adjustment and reformation of Liusanjie followed by new era really enthralled the Chinese. From pertinacious Liusanjie who stands up for class and cultural conflict in the first timeframe, to symbolic figure of rebounded popular culture after longer than 10 years of cultural dark ages, and to figure of modern women who fits with economic wealth and capricious current time.

      • KCI등재

        논문(論文) : 유삼저(劉三姐) 이야기의 극본화 과정 연구

        권응상 ( Ueng Sang Kwon ) 영남중국어문학회 2015 중국어문학 Vol.0 No.70

        Passing through the development stage of Qing Dynasty to Period of Republic of China, the script for Story of Liusanjie was finalized during the formation stage took place between 1950s and 1960s. The very first appearance of story of Liusanjie was in Quanqi Opera of Qing Dynasty, A man in the snow. Appearance was continued in Liusanmei of Ouyangyuqian``s Opera yet unperformed, along with Liusanmeigecao of Zhengzi Opera which didn’t have a full script but was very popular at the time. These works deeply contributed to story of Liusanjie to be made into a script. Transformation of the story to a script was initiated in 1950s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script written for Caidiao Opera of Dengchangling was the first, and it not only generalized the name ‘Liusanjie’ but also became the matrix of the scripts for Song and Dance Dramas. Xiaoganniu Liusanjie story and Daqiao Opera Liusanjie, which arrived after Caidiao Opera of Dengchangling, also took a big role in formation of the script by redeeming its contents and using advanced technologies of stagecraft.

      • KCI등재

        북경 동악묘(東岳廟) 묘회(廟會)의 내용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의미

        권응상(Ueng-Sang Kwon),한령(Han Ling)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4

        묘회는 중국의 종교적인 장소 또는 신당 등에서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전통적인 제사의식을 말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북경의 동악묘 묘회는 중국 전통문화의 상징으로, 중국 민중의 보편적인 신앙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동악묘는 이미 도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넘어 북경 지역의 문화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해가고 있으며, 거기에서 열리는 묘회라는 어울림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문화적 기억들을 체험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종교적 차원과 문화콘텐츠적 차원의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종교적 차원에서 보면 도교의 종교적 기능이 동악묘를 통해 더욱 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도교는 중국의 자생 종교로서 가장 오랫동안 민중에게 사랑받았는데, 북경동악묘는 도교문화를 민중에게 보다 친숙하게 전달하고 있다. 민중들은 동악묘 묘회를 통해 중국의 전통 종교를 인식해 가고 있으며, 그 의례나 강단(講壇) 등을 통해 전통 종교로서의 도교사상을 이해해 가고 있다. 또 하나 문화콘텐츠로서의 측면을 보면 동악묘 묘회가 북경의 민간 축제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띤다는 사실이다. 북경 동악묘에 나타나는 제사 의례 이외에 전통공연과 놀이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북경시민들의 축제적 욕망을 해소하고 공감시키는 데에 일정하게 기여하리라 여겨진다. 북경 동악묘 묘회는 전통 공연과 놀이를 전승하고 펼치는 민간문화의 보고이자 가치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향후 지속 가능한 민간 전통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의 다양한 전통공연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시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동악묘 묘회의 축제적 성격은 전통에서 현대를 건너는 든든한 문화다리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악묘라는 역사원형 공간과 묘회의 의례와 연희라는 문화콘텐츠가 결합하면 현대 중국사회에서 흔치 않는 민중의 축제공간이 될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The Dongyue Temple in Beijing, China has been functioning as one of the main Taoism temples of the city. The main god worshipped there is Dongyue, God of Mount Tai. Emperors were believed to have performed rites there to enhance their political power. Dongye Temple, therefore, was considered important by the incumbent government and officials were sent to the temple to perform rites on the birthday of Dongyue, which is March 28th in lunar calendar. Thanks to the completion of building of the temple, the Dongyue temple fair became a fair all Beijing citizens could enjoy participating in. The fair had been forced to be closed down when New China was established in 1949. After a half century, the temple fair was resumed in 1999 and since then it’s been held annually and its 13th fair was conducted this year. The fair is held during Spring Festival holidays, Chinese New Year, which is from January 1st to 7th in lunar calendar.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pring Festival holiday coincides with Seollal, Korean New Year.)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e Dongyue Temple didn’t live up to its name as a Taoism temple. But when Yun Zhihon and his pupils moved in the temple on January, 14th, 2008, it was reinstated as the official Taoism temple. As a Taoism mecca, Dongyue Temple hosts a lot of Taoism rites as well. Some of the Taoism rites coincide with the temple fair and thi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Dongyue temple fair‘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dds to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temple fair led by a certain religious group. The temple fair of Beijing’s Doingyue Temple,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Chines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s being held at a Taoism temple in the capital city, thus well representing the combination of Taoism and traditional folk culture. The study of the Dongyue temple fair and making use out of its specific results would generat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ffiliate studies of festival contents that combine China’s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s.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를 통해 본 현대사회 철도모빌리티의 특징과 가능성 : 드라마〈#이자카야신칸센〉을 중심으로

        조소연(CHO, SO-YEON),권응상(KWON Ueng-Sang)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9

        현대사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기차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켰다. 처음에는 물건의 운송수단이었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기차의 발달은 도시의 성장을 야기하고 이는 인간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로 교통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기차는 점차 옛 명성을 잃었다. 이 연구는 모빌리티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도시와 기차의 출현이 인간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모빌리티이론은 이러한 인간의 ‘이동’이 단지 지리적인 움직임이 아닌 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것들을 사회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존 모빌리티 이론의 철도모빌리티는 크게 시간, 공간, 사회적 교류 세 가지로 그 특성을 정리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드라마에 나타난 현대사회의 철도모빌리티를 세 가지 특성에 따라 분석해보았다. 분석의 결과로 기존의 이론에 비해 현재 변화된 특성들을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인간은 기차를 이용해 이동을 하면서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주체적인 시간 확보와 정체성의 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드라마의 내용을 참고로 최근 여행 트렌드를 반영한 기차를 이용한 ‘미식관광’을 제안했다. 시대가 변하면 기존의 의미들은 변화하게 된다. 기차를 활용한 미식여행을 통해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무엇인가를 찾을 수 있는 또 다른 수단으로의 변신을 기대해본다. With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trains have changed human life. At first, it was a means of transporting goods, but as technology developed, it became popular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by people. The development of trains caused the growth of citie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human life. However, as transportation systems became more diver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rains gradually lost their old reputation. Based on mobility the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mergence of modern cities and trains has affected humans and society. Mobility theory is a sociological study of human movement. Public-Train-Mobility in the existing mobility theory summarized its characteristics into three main categories: time, space, and social inter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ailway mobility of modern society in the drama according to thre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changed compared to the existing theory. It was found that humans can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s while traveling by train, and these activities can also help secure independent time and restore their identity. As a way to utilize this, I proposed Gastronomy Tourism using trains that reflect recent travel trends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drama. As times change, existing meanings change. I look forward to transforming into another means of finding something that modern people have lost through Gastronomy Tourism using trains.

      • KCI등재

        (철)길 위의 사람들과 떠도는 영혼 - 김숨의 『떠도는 땅』에 나타나는 모빌리티와 이주의 문제를 중심으로 -

        배지연 ( Bae Ji-yeon ),권응상 ( Kwon Ueng-s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8 No.-

        이 글은 『떠도는 땅』에 재현된 1937년 러시아 한인들의 강제이주 사건을 모빌리티와 이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양한 이주와 이동의 서사를 통해 모빌리티 시스템과 이동이 만들어낸 관계들 속에서 강제이주민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재구한 것이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강제된 러시아 한인들의 이주가 시베리아횡단철도라는 모빌리티 시스템을 매개로 재현되는 방식이다. 이주민들을 수송하는 열악한 모빌리티 환경과 승객을 통제하는 모빌리티 시스템은 강제 이주 등의 장치를 통해 주권권력이 생명정치를 작동하는 방식과 흡사하다. 모빌리티에 의한 강제 이주 서사의 이면에는 연해주 원주민과 유럽에서 이주한 다양한 인종의 이주 서사를 담지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유럽에서 동아시아로, 동아시아에서 다시 중앙아시아로 이주민을 실어 나르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사적 맥락, 나아가 강제이주의 기원을 상상할 수 있다. 또한, 『떠도는 땅』은 기차와 철길이라는 사이 공간(interspace)에 다양한 이동과 이주의 역사를 배치하고 있는 바, 이들 서사에는 인종과 국가, 계급과 태생 등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의미망과 힘의 맥락들이 얽혀있다. 사이공간에 펼쳐지는 여러 겹 이주와 이동의 서사들은 고향과 정체성에 대해 반복적으로 질문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인종과 언어, 계급과 국가 너머, 삶에서 죽음으로 이주하는 인간 본연의 문제와 마주한다. 출발지와 기착지를 돌고 도는 기차처럼 인간도 삶에서 죽음을 순환하는 자연의 일부이며, 궁극적으로는 ‘떠도는 존재’인 것이다. 『떠도는 땅』은 1937년 조선인 강제이주의 역사를 재현함으로써 민족의 문제를 소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양한 이주의 서사와 부재하는 환대의 역사를 환기함으로써 이주와 이동이 빈번한 지금-여기의 문제와 대면하게 한다. 이 글은 『떠도는 땅』에 나타난 모빌리티와 이주의 서사를 통해 ‘상상된 공동체’로서 민족을 (재)전유하면서도 그 너머를 사유함으로써 이주와 혼종, 초국가(trans-nation)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성찰하고자 한다. This writing is what examined the mobility and migration issues that appeared in 『Floating Land』 of having addressed the deportation migration of Koreans(Goryoins[Soviet Koreans]) in 1937. 『Floating Land』, which is depicting the 40-day train journey from the maritime province to central Asia, is arranging the history of various mobilities and migrations in interspace dubbed train and railway. These narrations are intertwined with the complex and multi-level meaning networks and power contexts such as race & nation, class & birth. The trans-Siberian train, which is revived in the novel, is containing the history of the deportation migration of Koreans in 1937, but is including the history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in Russia that had existed from before. The trans-Siberian train, which transports migrants from Europe to East Asia and then again from East Asia to central Asia, produces the history of countless migrations with crossing the border countries and regions. In this way, various narratives that the characters in the same train compartment spread are putting together the questions about nation & state, and race & class by having a land as a medium. The question about hometown and identity of being continued in the novel faces the inherent human problem of migrating from life to death beyond race & language, class & nation. Like a train that goes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even a human being is part of nature that circulates death in life, and is ultimately ‘a floating existence.’ 『Floating Land』 seems to call into the racial problem through reproducing the history of the forced immigration of Koreans in 1937. However, evoking the history of various migration narratives and absent hospitality leads to coming to meet a problem of now-here in which migration and mobility are frequent. This writing speculates beyond even with (re)appropriating a nation as ‘the imagined community‘ through the narration of mobility and migration shown in 『Floating Land』, thereby aiming to reflect on our image of living in the era of migration & hybridity, trans-nation.

      • KCI등재

        王昭君 형상의 문학적 轉形

        서주영(Seo, Joo-young),권응상(Kwon, Ueng-sang)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5

        왕소군(王昭君)은 B.C. 33년 한원제(漢元帝)가 한나라와 흉노(匈奴)의 화친을 위해 흉노의 호한야선우(呼韓邪单于)에게 하사한 여성이다. 그녀보다 앞서 화친을 목적으로 외국에 보내진 14명의 여성은 모두 한나라 황실의 공주라는 신분이었고, 그녀들 가운데에는 화친 여성 문학의 시작과 화친 여성 서사의 완결성을 갖춘 여성도 존재했다. 그런데, 왕소군은 이들보다 신분도 낮고, 구체적 서사도 허약하지만, 화친 여성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어 중국 여성을 대표하는 지위를 가지게 된다. 왕소군이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끊임없는 문학적 재서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미녀라는 통속적 가치 외에, 역사적 민족적 의의를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왕소군을 기록한 문헌에 존재하는 역사적 사실의 전복과 비극적 여성상의 재창조라는 부분을 분석함으로써, 역사적 존재가 문화적 가치에 의해 전형(轉形)되어 문화를 대표하는 여성으로 수용되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Wang Zhaojun is a woman who was send to King of Xiongnu, Huhanya for harmony between the Han and Xiongnu in 33 BC. Before her, all women sent to foreign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her friendship were Han Dynasty princesses, and among them there are women who have the beginning of the literature of the Friendship and the positiv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friendship woman. Wang Zhaojun has a lower status than these, and the specific narrative is weak, but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a friendly woman, she has become a creative material for literature, and as she has a representativeness that penetrates history, she is the rank of the four major beauty women in China. She became a representative of Chinese culture, because she was given her historical and national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e popular value of beauty in Chinese culture.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archetype in which historical existence is transformed by cultural values a nd accepted as a woman representing oneself by analyzing the subversion of historical facts and re-creation of the tragic feminine image existing in the literature documenting Wang Zhaoj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