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adiation Exposure Dose Reduction according to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Setting in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순화(Soon-hwa Kim),성옥(Sung-ok Kwon),이기백(Ki Baek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검진 무증상 수진자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CCTA) 검사 시 심전도창 획득 범위(ECG Window Acquisition Range)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 수진자의 방사선 피폭 선량 감소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2년 5월부터 2023년 1월까지 9개월간 본원에서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CCTA 검사를 시행한 심장 박동(Heart rate) 70 이하인 무증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대적 지연 스캔 방법과 절대적 지연 스캔 방법으로 ECG Window Acquisition Range를 변경하여 설정하여 총 네 가지의 방법으로 방사선량 차이를 체계적으로 비교평가하였다. CCTA 검사에서 주로 얻는 상대적 지연 스캔 방법이 아닌 절대적 지연 스캔 방법에 따라 검사했을 경우, 방사선 피폭 선량이 10% 이상 감소하였고, 같은 상대적 지연 스캔에서도 ECG Window Acquisition Range를 기존보다 반으로 줄였을 때 또한 방사선피폭 선량이 20% 이상 감소하였다. CCTA 검사 시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구간을 5% 나 60 ms로 구간을 설정하여도 얻고자하는 영상 획득에 변함없이 방사선피폭 선량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recipients by setting the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appropriately during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CCTA) examination. Group 1 (control group) opened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to 65% to 75% using the relative delay scan (RDS), which is divided by percentage (%) based on the R-R peak interval of recipient's Average HR, and tested by setting pitch to auto. Group 2 fixed the pitch according to the recipient's HR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Group 1. Group 3 used absolute delay scan (ADS), which is divided by milliseconds (ms) based on the R-R peak interval of recipient's Average HR and fixed the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by 60 ms intervals. Group 4 narrowed the scan range from 68% to 73%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Group 1. The values of the mean, minimum, maximum, the volume CT dose index (CTDIvol), and dose length product (DLP) were compared. The exposure dose was reduced by more than 10% when acquired with ADS, not RDS mainly obtained from CCTA. Also, compared to the existing RDS, when the scan range was reduced by half, it was reduced by more than 20%. In conclusion, In CCTA testing, setting the ECG window acquisition range to 5% or 60 ms can reduce radiation exposure without compromising the best phase image acquisition and image quality.

      • KCI등재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의존 발육 및 산자 단위모형

        오성오,권순화,김태옥,박정훈,김동순,Oh, Sung Oh,Kwon, Soon Hwa,Kim, Tae Ok,Park, Jeong Hoon,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2

        본 연구는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발육실험, 성충수명, 산자실험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약충의 온도발육모형, 무시성충의 산자모형 작성에 필요한 기본모형들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개의 온도(10, 15, 20, 25, 30, $35{\pm}1^{\circ}C$, 16L:8D)에서 실험한 결과로 저온인 $10^{\circ}C$에서는 성공적으로 발육하지 못했다. 약충 발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30^{\circ}C$까지는 감소하였고 $35^{\circ}C$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는데, $15^{\circ}C$에서 18.5일, $30^{\circ}C$에서 5.9일 이었다. 약충전체 직선회귀식에서 발육영점온도(DT)는 $7.9^{\circ}C$로 나타났으며, 유효적산온도(DD)는 126.3일이었다. 전기약충(1+2령), 후기약충(3+4령), 전체약충 발육률에 대한 비선형모형(Lactin 2 model)과 발육기간 분포 모형(Weibull model)을 작성하였다. 성충수명은 $15^{\circ}C$에서 비정상적으로 18.2일을 보였고, $20^{\circ}C$에서 24.4일, $30.0^{\circ}C$에서 16.4일의 범위에 있었으며, 성충 생리적 연령계산을 위한 노화율 모형작성에 이용되었다. 총 산자수는 $20^{\circ}C$에서 91.6마리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산란모형 작성에 필요한 온도별 총산자수, 연령별 누적산자율, 연령별 생존율 모형 등 3개의 기본모형을 추정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emperature-driven models for a population model of turnip aphid, Lipaphis erysimi: nymphal development rate models and apterious adult's oviposition (larviparous) model. Nymphal development and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adults were examined on cabbage at six constant temperatures (10, 15, 20, 25, 30, $35{\pm}1^{\circ}C$, 16L:8D). L. erysimi nymphs did not survive at $10^{\circ}C$. Development time of nymph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up to $30^{\circ}C$ and thereafter slightly decreased, ranging from 18.5 d at $15^{\circ}C$ to 5.9 d at $30^{\circ}C$.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rmal constant were estimated as $7.9^{\circ}C$ and 126.3 degree days, respectively. The nonlinear model of Lactin 2 fitted wel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rate and temperature of small (1+2 instar), large (3+4 instar) and total nymph (all instars). The Weibull function provided a good fit for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times of each stage. Temperature affected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L. erysimi. Adult longevity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ranged from 24.4 d at $20^{\circ}C$ to 16.4 d at $30.0^{\circ}C$ with abnormal longevity 18.2 d at $15^{\circ}C$, which was used to estimate adult aging rate model for the calculation of adult physiological age. L. erysimi showed a maximum fecundity of 91.6 eggs per female at $20^{\circ}C$. In this study, we provided three temperature-dependent components for an oviposition model of L. erysimi: total fecundity, age-specific cumulative oviposition rate, and age-specific survival rate.

      • KCI등재

        무가온 시설재배 감귤에서 계절초기 목화진딧물 개체군의 정착경로에 관한 연구

        김태옥,권순화,박정훈,오성오,현승용,김동순,Kim, Tae Ok,Kwon, Soon Hwa,Park, Jeong Hoon,Oh, Sung Oh,Hyun, Seung Young,Kim, Doo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 (Hemiptera: Aphididae)은 감귤에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감귤 과실에 경제적으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무가온 하우스 감귤에서 계절초기 목화진딧물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감귤나무에 정착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감귤나무에서 진딧물 월동알 조사결과 가을순이 난 여름순에서 많이 발견되었는데 월동알은 대부분 조팝나무진딧물이었으며, 목화진딧물 월동알은 발견되지 않았다. 봄순에 정착하는 목화진딧물 유시형 성충은 크게 4월 하순(조기비산)과 5월 하순(지연비산)에 두 차례 관측되었다. 지연비산은 완전생활형 간모세대에서 유시형이 출현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조기비산 시기에 황색수반트랩에서도 목화진딧물 유시형 성충이 유살되었는데 확실하지는 않으나 월동잡초에서 잔존하고 있던 불완전세대 개체군으로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무가온 하우스 감귤에서 목화진딧물의 정착은 불완전생활형의 조기비산과 완전생활형의 지연비산으로 일어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Hemiptera: Aphididae) infests citrus orchards, causing sooty mold damage to the frui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lonizing route of A. gossypii in citrus orchards in a non-heating plastic-film house during the early season. The overwintering eggs of the aphids are frequently found on summer shoots of the citrus trees. The eggs were mostly those of Aphis citricola, without any A. gossypii when hatched. The colonization of citrus trees by alate A. gossypii in non-heating plastic-film houses was mainly observed twice, with advanced flight in late April and delayed flight in late May. The delayed flight was synchronized with the timing of the emergence of alate A. gossypii from the fundatrix generation in the holocyclic life cycle. During advanced flight in closed citrus orchards, alate A. gossypii were caught in yellow water traps installed in the fields, and the populations were found to originate from the surviving populations of the anholocyclic life cycle.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citrus tree colonization with A. gossypii occurred during the advanced flight of the anholocyclic and the delayed flight of the holocyclic life cycle.

      • KCI등재

        옥수수에서 기장테두리진딧물의 온도 의존적 발육과 산자 특성

        박정훈,권순화,김태옥,오성오,김동순,Park, Jeong Hoon,Kwon, Soon Hwa,Kim, Tae Ok,Oh, Sung Oh,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2

        기장테두리진딧물의 온도의존적 발육과 산자(산란)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6개의 항온조건(10, 15, 20, 25, 30, $35{\pm}1.0^{\circ}C$, RH 50~70%, 16L:8D)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10^{\circ}C$에서 42.9일과 $30^{\circ}C$에서 4.7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감소하였다. 약충은 $35^{\circ}C$에서 2영기 이후 성충까지 발육하지 못하였다. 선형모형 결과 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8.3^{\circ}C$, 발육 유효적산온도는 101.6DD 이었다. 약충 발육율과 온도와의 관계는 비선형 Lactin 2으로 잘 설명되었다. 약충 발육기간의 분포는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충수명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5^{\circ}C$에서 24.0일, $30^{\circ}C$에서 4.3일의 범위에 있었고, $10^{\circ}C$에서 비정상적으로 수명이 짧았다 (11.1일). 총산자수는 $20^{\circ}C$에서 38.2마리로 최대값을 보였고, $10^{\circ}C$에서 3.4마리로 최소값을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무시 성충의 산자모형을 작성할 수 있는 온도별 총산자수 모형, 연령별 누적생존율 모형, 연령별 누적 산자율 모형 및 생리적 연령 계산을 위한 성충 노화율 모형을 제시하였다.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fecundity of apterious Rhopalosiphum padi (L.) (Hemiptera: Aphididae) were examined at six constant temperatures (10, 15, 20, 25, 30 and $35{\pm}1.0^{\circ}C$, RH 50-70%, 16L:8D). Development time of nymph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ranged from 42.9 days at $10^{\circ}C$ to 4.7 days at $30^{\circ}C$. The nymphs did not develop until adult at $35^{\circ}C$ because the nymphs died during the 2nd instar.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rmal constant of nymph were estimated as $8.3^{\circ}C$ and 101.6 degree day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development rates of nymph and temperatures were well described by the nonlinear model of Lactin 2.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times of each stage was successfully fitted to the Weibull function. The longevity of apterious adult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ranging from 24.0 days at $15^{\circ}C$ to 4.3 days at $30^{\circ}C$, with abnormally short longevity of 11.1 days at $10^{\circ}C$. R. padi showed the highest fecundity at $20^{\circ}C$ (38.2) and the lowest fecundity at $10^{\circ}C$ (3.9). In this study, we provided component sub-models for the oviposition model of R. padi: total fecundity, age-specific cumulative oviposition rate, and age-specific survival rate as well as adult aging rate based on the adult physiologic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