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 섹터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리빙랩 활용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최광훈,권규현,Choi, Kwang Hun,Kwon, Gyu Hy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섹터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리빙랩(Living Labs) 활용 전략 수립에 관한 탐색적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문헌을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리빙랩의 개념, 필수 구성요소, 혁신성 특성과 에너지 섹터의 혁신 이슈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리빙랩 필수 구성요소의 맞춤형 전략 수립과 혁신성 제고와의 연관성, 에너지 섹터에서의 혁신 이슈에 대한 접근으로 리빙랩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에너지 리빙랩 사례 연구(해외 8건, 국내 1건)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리빙랩 필수 구성요소의 맞춤형 전략 수립이 혁신성 제고에 동인으로 작용 될 수 있으며, 리빙랩이 에너지 섹터의 혁신 이슈(수요관리, 공급기술, 기술사업화 촉진 및 수용성, 기술정책)에 대한 접근 방법론으로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사례연구 결과 기반으로 혁신성 기여 관점에서 리빙랩 사례별 동인을 도출하고 에너지 혁신이슈별 리빙랩 활용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에너지 섹터에서의 혁신이슈에 대한 접근으로 리빙랩 모델의 활용 전략과 그 가치에 대한 탐색적, 기술적 분석 연구로서 종래에 시도되지 않았던 리빙랩 활용 전략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고, 에너지 리빙랩 활성화와 네트워크 형성에도 기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실용적·정책적 함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an exploratory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a strategy to utilize living labs to enhance the innovation of the energy sector.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cept, essential components,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labs, and types of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sector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case studies of energy living lab (8 overseas, 1 domestic)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living lab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sector, establishing a customized strategy for essential components of living lab and enhancing innov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ustomized strategy for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living lab could be a driving force in enhancing innovation, and the Living Lab is effectively used as an approach method for innovation issues(demand management, supply technology, enhance R&D acceptance and promot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policies) in the energy sector. As a result of the case studies, the driving force of each living lab was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ontributing to innovation, and strategies for using the living labs for each energy innovation problem were established.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nalytical study of the utilization strategy and value of the living lab model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field, which can provide a living lab strategy framework that has not been tried in the past and enables living lab activation and network formation. It can also be considered to have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an also contribute.

      • KCI등재

        창업자의 경험 특성이 스타트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CT 기술창업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신승용(Shin, Seung Yong),권규현(Kwon, Gyu Hyun)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경험 특성에 따라 스타트업 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ICT 기술창업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창업자의 경력 특성은 최종학력과 전공분야, 이전 근무경험, 이전 창업경험,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 경험으로 구분하였으며, 스타트업의 성과는 매출액, 1인당 매출액, 투자유치 건수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자의 경험 특성 중 창업자의 이전 근무경험과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 경험 여부에 따라 스타트업의 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가 부족한 ICT 분야 기술창업 스타트업에 초점을 맞춘 의미 있는 연구로 내용과 결과는 향후 ICT 분야 기술창업 관련 정책 수립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on firm performances.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echnology-based start-ups in ICT. We categorized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into final academic background, major, previous work experience, previous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accelerator program experience. And the firm performances were used by classifying on sales, sales per person, and the number of investment. We found that previous work experience and accelerator program experience affect firm performance.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policy making and practice about technology-based start-ups in ICT.

      • KCI등재후보

        특허정보를 이용한 무인기 기술동향 분석

        최원범(Won Beom Choe),권규현(Gyu Hyun Kwon)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2023 Journal of the KNST Vol.6 No.3

        With the recent advent of advanced IT technolog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using unmanned vehicles is being emphasized. Patent data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patent information applied and registered, including IP5, to analyze the technology trends of unmanned vehicles currently applied to the public, private, and military se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ina occupies an absolute position in the consumer drone market, an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Korea, Europe, and Japan were also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military and commercial technolog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tent application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patent data can be used in an effective way for analyzing technology trends of specific technologies.

      • KCI등재

        전망이론 관점에서 기술수용모델의 해석에 관한 연구 - 음성 AI 비서 서비스 수용자와 비수용자의 비교 중심으로 -

        오의택 ( Oh¸ Euitaek ),권규현 ( Kwon¸ Gyu Hyun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혁신 기술의 수용 과정에서의 주요 인지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복잡성 간의 이득과 손실의 주관적 가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행동경제학의 핵심 이론인 전망이론을 사용자의 행동적 변화를 요구하는 음성 AI 비서 서비스를 수용하는 의사 결정과정에 적용하였다. 이에 62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음성 AI 비서 서비스 사용에 따라 이득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의 향상과 손실 요인인 지각된 복잡성이 감소되었다. 비수용자 그룹에서는 수용자 그룹보다 지각된 복잡성이 수용성에 높은 영향력을, 수용자 그룹에서는 비수용자 그룹 대비 지각된 유용성이 상대적으로 수용성에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음성 AI 비서 서비스의 UI 설계 시 초기 수용성 확보를 위해 복잡성을 최소화하되, 지속적으로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용성이 높은 UX를 구현하는 UI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subjective value chang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complexity in accepting an innovative technology with high uncertainty. To achieve this, prospect theory, a common theory of behavioral economics, is applied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ccepting voice AI assistant service that demands changes in user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20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perceived usefulness(gain factor) was improved and the perceived complexity(loss factor) was decreased by use experience of voice AI assistant service. Also, the perceived complexity of the non-adopter group had a higher influence on acceptance than the adopter group,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he adopter group showed a relatively high impact on acceptance compared to the non-adopt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the UI for a highly useful UX in order to maintain continuous use while minimizing complexity to secure initial acceptance in designing the UI of the voice AI assistant service.

      • KCI등재

        국내 액셀러레이터 현황 분석 : 보육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 보육스타트업의 초기 성과를 중심으로

        신승용(Shin, Seung Yong),권규현(Kwon, Gyu Hyun) 한국창업학회 2020 한국창업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최근 창업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액셀러레이터의 국내 현황을 조망하고 분석하였다. 2018년 정부사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액셀러레이터 중 ICT 분야와 관련된 5개를 대상으로 정부사업을 통해 나온 결과물, 각 액셀러레이터 홈페이지, 블로그 등을 기반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집중하고 있는 분야, 보육 스타트업 선발과정, 보육 프로그램 구성, 보육 프로그램 후 초기투자 및 후속투자 현황, 보육 스타트업의 초기 성과에 대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경우 정부지원형 액셀러레이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모두 선발방법, 선정기준, 보육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유사하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정기준별 가중치와 보육 프로그램 세부구성의 비중은 액셀러레이터별로 달랐다. 투자 및 특허에 관한 초기 성과에서는 보육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나, 매출측면에서는 성장을 가속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현황에 대해 파악한 의미 있는 연구로 액셀러레이터가 보육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한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 구성, 선발 프로세스 등의 우수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에 대한 성장 가속화 기여에 관한 정량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and analyze the domestic status of accelerators which is a major player in the start-up ecosystem recently. We compared the five accelerators that participated in government projects in 2018. Based on data retrieved from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government projects, accelerator website, and blog, we compared fiv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funded accelerators: the major investing sectors, selection process, accelerating program, investment status, and early performances. We found that all accelerators are similar in the selection method, and accelerating program contents. However, there are major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f selection criteria for start-up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program. The dominant role of the accelerator can contribute not to the sales but to the growth in terms of investment and patents. This case study showed some evidence between the role of the accelerator and the growth of a start-up even though there are few precedent kinds of research and limited information for the Korean accelerators. For the next step, a series of quantitative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identify further concrete evidence related to the accelerator s excellence and the accelerator s contribution to start-up growth.

      • KCI등재

        Voice AI Agent의 수용에 지각된 의인화가 미치는 영향 : 성별 및 연령 비교를 중심으로

        오의택(Euitaek Oh),권규현(Gyu Hyun Kwon)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5 No.3

        AI 기술의 성숙함에 따라 Voice AI 서비스에서의 인간 중심적 접근이 더욱 중요해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사회 정서적 측면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Voice AI Agent 수용에 지각된 의인화, 유용성 및 사용 용이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Voice AI agent의 수용에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온라인 설문 조사가 성인 62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Voice AI agent 수용에 지각된 유용성 및 사용 용이성뿐만 아니라, 지각된 의인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수용 영향 요인이 다르게 작용하였다. 특히 남성 및 연령이 높으면 Voice AI Agent 수용에 지각된 의인화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Voice AI Agent의 UX 디자인 고도화 및 서비스 차별화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AI technologies mature, human-centered approach to Voice AI Servi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understanding of user’s socio-emotional aspect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perceived anthropomorphism,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Voice AI Agent. And we investigate how these factors differently influence on accepta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20 adults. As a result, not onl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but perceived anthropomorphism also affected positively on acceptance of Voice AI Agent. Moreover, these factors differently influenced accepta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particular, perceived anthropomorphism had a relatively higher influence on acceptance of the Voice AI Agent when the user is male and at higher age. We expect that these findings can be referred to improve UX design and differentiate Voice AI services.

      • 스마트 블록을 활용한 위치의 형태에 따른 형식화 연구

        윤자민(Jamin Yoon),권규현(Gyu Hyun Kwo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논문은 스마트 블록(Smart Block)의 활용 시 블록간 위치의 형태에 따른 형식화를 통해 인터렉션 요소로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블록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인터렉션을 파악한 후 기호학을 기반으로 유닛 인터랙션을 범주화하여 인터랙션을 형식화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블록위치의 형태에 따른 정의를 새로 내리고 기호화하여 블록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도출한다. 추가적으로 예시를 통해 블록들의 배치에 의한 의미를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스마트 블록을 활용하여 블록 간 위치에 따른 형식화를 쉽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