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유동자산(非流動資産)의 잠재가치(潛在價値)와 최적(最適) 소비(消費) 및 투자결정(投資決定) - 거래비용(去來費用)이 존재(存在)하는 경우 -

        구형건,김영권,Gu, Hyeong-Geon,Kim, Yeong-Gwo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7 財務管理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거래비용이 최적 소비 및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다. Constantinides (1986), Davis와 Norman(1990) 그리고 Shreve와 Soner(1994) 등은 위험이 없는 하나의 유동성 자산과 현금배당이 지급되지 않는 하나의 비유동성 자산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비와 포트폴리오 선택문제를 연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연구들을 확장하여 다수의 유동자산과 현금배당이 지급되는 하나의 비유동성 자산이 존재하는 경우의 최적 소비 및 투자결정 문제를 다루고 있다. 투자자의 비유동성 자산에 대한 잠재가치(implicit value)평가와 소비 및 투자결정간의 관계식을 구하여 이를 적용해 본 결과, 투자자의 최적 소비 및 위험부담(risk taking) 수준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포트폴리오상에 유동성 자산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거래비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업의 배당정책이 투자자의 최적 소비 및 투자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Financial Systems of Venice, Genoa, and Firenze : Creative Destruction versus Destructive Creation

        구형건,송수영 한국재무학회 201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우리는 이 논문에서 중세 이탈리아의 세 도시 국가, Venezia, Genova, Firenze의 금융제도를 비교한다. 은행업과 국채시장이 발달하였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세 도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였다. Venezia은 효율적인 정부 조직을 갖추어 국가 기관이 준은행의 역할을 하였고, 사적은행들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었다. Genova는 공적인 성격의 금융기관 Casa di San Giorgio가 준정부의 역할을 하였으며, 독특한 환어음 거래 시장을 운영하여 국제금융에 수반하는 위험을 감소시켰다. Firenze는 강력한 은행업 guild 가 자율적인 규제를 하였으며, 국제 금융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였다. 그리고 이 도시는 super-company들을 배출하였다. 이 세 도시의 차이점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경제제도를 모색하는 국가들에게 상당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금융제도 가 있는 것은 아니고, 역사적으로 발전 과정에서 상당히 차이 있는 금융제도들이 존재하였다. 이탈리아 세 도시 국가는 그러한 사례를 제시하여 준다. 이 사례의 분석은 앞으로 금융제도의 개혁을 통해 새로 운 경제제도를 구축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에서 일어난 금융혁신은 그 이후 유럽의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 나 이러한 금융혁신의 과정 속에서 숱한 위기가 도래하였다. Venezia에서 국영은행의 설립 혹은 사적 은행 폐지의 논의가 있었던 것은 이러한 위기의 경험 때문이었다. 그리고 Firenze에서의 super-company는 분명 유럽 전 지역의 경제를 통합하는데 도움이 되는 금융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기 여하였다. 그러나 이들 super-company들의 몰락은 도시 국가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고, 궁극적으로는 과두적 군주정으로 이행하는 중요한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창조적 파괴와 더불어 파괴적 창조가 금융의 역사에는 계속 이어졌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Finance : Creative Destruction versus Destructive Creation

        구형건,송수영 한국재무학회 201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5

        아리스토텔레스는 돈은 과실을 맺을 수 없는 존재라고 하였다. 그러나 인류가 경제활동을 시작한 이후 화폐의 출현과 통용 그리고 금융업의 발전은 사회나 국가의 경제적 흥망성쇠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상호 작용을 해 왔음에 틀림없다. 전쟁처럼 내부 외부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무역과 상거래는 간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경제권의 팽창과 축소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이면을 살펴보면 금융이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 논문에서는 금융의 역사를 살펴보아서 역사상 존재하였던 많은 사회와 국가들의 흥망성쇠와 금융이 상호 작용한 사실들을 분석하여 현 시대의 금융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보려한다. 로마시의 고대 유적 발굴을 통해서 드러난 로마공화국 시대의 은행 건물들은 도시 중심에 있는 광장의 북쪽에 열을 지어 있는데, 현대의 Wall Street에 해당되는 금융업과 은행의 중심지로서 Janus Street‡ 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로마시대에 Janus는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신으로 받들어 졌는데, 금융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중세 시대 특히 이탈리아 도시 국가에서 크게 번창한 금융업은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다양한 금융상품의 개발과 경제적 발전에 따른 금융기관의 성격 변화를 잘 보여준다. 당시에 다양한 금융 상품을 개발하는 외적 동인은 교회법에 의한 이자의 규제이고 금융 기관의 확대 발전은 레반트 지역과 이뤄진 활발한 무역의 확대였다. 내부적으로는 전쟁의 수행과 경제 발전으로 인한 부의 증대가 금융의 수요와 공급을 촉진하였고 금융업이 전체 유럽으로 확산되게 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은행의 출현과 중앙은행의 설립은 이탈리아 북부 지역의 금융업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 논문에서는 상인 은행가의 출현에서 현대적 금융기관으로 변화 발전 도태되는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현 시대의 금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금융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해서 많은 논쟁이 있지만 슘페터가 설파한 창조적 파괴는 금융이 신흥 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고 전통산업의 몰락을 가져오는 긍정적 역할을 잘 요약하여 표현 한 말이다. 한편 2007년에 시작된 금융 위기가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확대 발전된 사건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금융의 부정적 역할에 대하여 지대한 관심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금융의 본질에 대한 성찰과 부정적인 역할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한 금융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은, 예를 들어 Stiglitz 와 Shiller 등 몇 몇 경제학자들에 의해서 이미 과거에 여러 차례 제시되었지만 역사적 사실을 통해서 새로운 조명을 해 보는 분석들은 최근에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현 논문도 그 맥락을 따르고 있다.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Finance: Creative Destruction versus Destructive Creation

        구형건,송수영 한국재무학회 201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8

        중세 후반기의 이탈리아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금융이 경제발전을 주도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자산 규모에 있어서 왕국의 수준을 넘어서는 초 거대기업(Super Company)이 출현하였다. 이 기업들은 제조, 무역, 투자운용, 대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여러 왕국에 걸쳐서 그 지역 왕의 통제를 받지 않고 독립적인 지점을 운영하였다. 특히 이탈리아 지역의 Venezia(Venice), Firenze(Florence), 그리고 Genova(Genoa)에서 발전한 상인은행가(Merchant Banker) 들은 전쟁 자금을 조달하여 이익을 추구한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금융경제의 중심지로서 대규모 은행을 설립하고 운영하면서 경제의 기초가 되는 지급 수단의 혁신을 가져왔고, 유동성 공급을 통한 경제 회복에 기여를 하여 Renaissance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런 대규모 은행들도 성장과 몰락을 거듭하였는데, 제도와 구조의 혁신을 통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현대적인 은행과 금융 제도의 초석을 제공하였다.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서 Venezia와 Firenze 그리고 Genova는 지배 구조의 차이만큼이나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Venezia와 Firenze는 현대의 Private Equity Fund 나 LBO(Leveraged Buy Out)와 유사한 자금 조달 구조를 보인 반면 Genova의 Bank of Saint George은 전문기능의 분화를 통하여 현대의 Public Bank처럼 일반인들의 예금을 수탁받아 지급 결제 청산을 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변동 금리(Indexed Corporate Bond)가 부가되고 2차 시장에서 유통이 되는 회사채를 발행하는 투자회사(Special Investment Vehicle)의 기능적 분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현재와 미래의 세금을 보증으로 삼아 왕과 국가에 자금 조달을 하여 중앙은행의 원형을 제공하였다. 특히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였을 때, 강제적 할당을 통하여 위기를 극복하던 Venezia나 Firenze와 달리, Genova는 광범위한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수탁 받아 정치적 변동에 따른 유동성의 변동이 적었으며, 이자지급 유예와 2차 거래시장에서 할인되어 유통이 가능한 채권의 발행, 부채의 통합과 할인을 통하여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였다. 이런 역사적인 사실들은 현재의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제도적 접근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하겠다.

      • 금융 중심의 이동: 스퍼퍼드의 논문을 바탕으로 한 역사적 고찰과 전망

        구형건 ( Hyeng Keun Koo ),배세융 ( SeYoong Bae ),안상진 ( Sangjin Ahn ),정재웅 ( JaeWoong Jung ) 글로벌금융학회 2020 글로벌금융리뷰 Vol.1 No.1

        이 연구에서는 피터 스퍼퍼드(Peter Spufford)교수의 2006년 논문인 “From Antwerp and Amsterdam to London: the decline of financial centres in Europe”에 바탕을 두고 금융 중심의 이동에 대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다. 스퍼퍼드의 논문은 금융 중심의 이동을 설명하는 개념적 도구를 제시한다. 산업배후지, 상업네트워크 등은 금융중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금융중심은 이러한 역할이 중지한 이후에도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역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 중심의 이동에 대하여 전망하고 정책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훈을 유도한다. We provide a historical perspective on movement of financial centers based on our review of Spufford’s “From Antwerp and Amsterdam to London: Decline of Financial Centers in Europe,” (De Economist, 2006). Spufford’s article propose conceptual tools to analyze rise, decline, and movement of financial centers. Industrial hinterland,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network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ise of financial centers. Financial centers exhibited inertia, however, even after their role as centers of industry and commerce declined. We derive policy implications and a brief expectation about potential movement of financial centers in the post-COVID era.

      • ESG 투자

        구형건 ( Hyeng Keun Koo ) 글로벌금융학회 2021 글로벌금융리뷰 Vol.2 No.2

        우리는 ESG투자와 관련된 논점들을 조사한다. 문헌에 대한 개관을 하고, 이를 통해 ESG 투자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적시한다. ESG를 고려한 장기 투자에 수반하는 효용함수를 선정할 때, 세대간의 평등, 지속 가능성 등, 윤리적 논점을 고려하는 것이 단순하지 않음을 설명한다. 또한 희귀한 재난의 가능성과 재난 이후 경제의 적응과 회복 가능성이 ESG투자에 중요한 고려 사항일 수 있음을 설명한다. 그리고, 소비에 대한 손실 회피성을 도입하는 것이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한 방편임을 보인다(Choi et al. 2022).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issues related to ESG investing. We provide a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 problems when one considers ESG investing. We show that ethical issues regarding the formulation of the utility function, which serves as an objective of investment, with a long horizon is non-trivial. We explain that rare disasters and adaptability of the economy can be important in ESG investing. Incorporating loss aversion on consumption can be an alternative way to formulate the utility function (Choi et al. 2022).

      •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구형건 ( Hyeng Keun Koo ) 글로벌금융학회 2021 글로벌금융리뷰 Vol.2 No.1

        우리는 이 논문에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에 대하여 현재 진행하는 논란에 대하여 고찰한다. 가상화폐 시장이 성장한 배경은 무엇인가, 가상화폐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의 질문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제시하려고 시도한다. 특히, 우리는 최근의 가상화폐 가치 결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마지막 질문에 대한 긍정적인 대답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urrent issues related to block chain and virtual currencies. We try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the spectacular growth of the market for virtual currencies? How are they used and will they be able to be used in the future? Can virtual currencies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block chain technology? In particular, we provide a positive answer to the last question, drawing on the recent research on the valuation of virtual currencies.

      • 런던 금융시장의 역사적 교훈과 금융허브 전략

        구형건 ( Hyeng Keun Koo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우리는 이 논문에서 런던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두 시기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재를 위한 교훈을 유도한다. 수출시장 축소와 국제정치적인 갈등 상황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금융허브를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유도한다. 금융 허브전략으로서 국제적인 정보 네트워크의 형성과 금융인 유입을 위한 신이민정책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two time periods in the history of the London capital market. We draw the following lesson: developing a financial hub in a country can make it easy to enhance competitve advantage of a nation or a company in the face of shrinking export markets and geopolitical risk. We propose two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a financial hub, 1) encouraging formation of an international information network centered at the hub, and 2) a new immigration policy to induce inflows of foreigners with financial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