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cis-Diamminedichloroplatinum (II) induces denaturation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pBR322 DNA

        구자춘,임창수,한태룡,양재명,Koo, Ja-Choon,Lim, Chang-Soo,Hahn, Tae-Ryong,Yang, Jai-My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0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3 No.4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로 형질변환된 대장균 LE392를 ampicillin이 포함된 한천평판배지위에 도말시켰다. Ampicillin을 함유하고 있는 평판배지위에 형성된 집락수는 13.3 ${\mu}M$의 CDDP를 처리한 뒤에는 검출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하였다.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는 외가닥 DNA에 특이성이 있는 S1 핵산분해호소에 의해 전달되었고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상에서 이동 유형이 변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CDDP가 pBR322 DNA에 반응하여 이증나선의 변성과 궁극적으로는 ampicillin 저항성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것 같다. E. coli LE392, transformed with CDDP-treated pBR322 DNA, was plated on ampicillin containing media. The number of colonies formed on ampicillin containing agar plate was reduced to undetectable level after treat the DNA with 13.3 ${\mu}M$ CDDP. The CDDP-treated pBR322 DNA was susceptible to sing1e strand DNA specific S1 nuclease and it's migration Pattern i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was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DP adduction to pBR322 DNA resulted in denaturation of the double helix and changes in it's conformation which ultimately leads In the inactivation of the ampicillin resistant sere.

      • 산주와 임업인의 인식 분석을 통한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의 도입 가능성 평가

        구자춘 ( Ja Choon Koo ),정호근 ( Ho Gun Chong ),석현덕 ( Hyun Doek Seo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논문은 일반국민과 임업인의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도입에 관한 의사를 분석하여 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고, 도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2012년 일반국민 1,033명과 임업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일반국민 40.3%와 임업인34.4%가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도입에 찬성하였다. 다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나이, 학력, 소득, 산림정책에 대한 평가, 산지 소유 여부가 지불제에 대한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환경서비스 공급자는 지불제 시행에 부정적 입장을 취하였고, 정부 주도의 산림정책 추진이 지불제 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불제의 원활한 도입을 위해 서는 정부가 공급자의 채권을 보장해줄 정도의 강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ontingent feasibility of introducing payment for forest ecosystem services(PES) system by analyzing an intention of general public and foresters. 1,033 general public and 500 foresters were surveyed in 2012. 40.3% of general public and 34.3% of forester agreed to PES system, incentives offered to forest owners in exchange for managing their forest to provide forest ecosystem services.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t model show that age, income, education, attitudes toward current forest policies and own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intention. Specifically, forest owners, suppliers of services show a negative view of introducing PES system. And government-led forest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willingness to agree to PES. Thus, in order to facilitate PES system, Korean government should demonstrate strong leadership enough to ensure the bond of supplier.

      • KCI등재

        최대 엔트로피 기법으로 도출한 지속 가능한 송이 생산 전략

        구자춘 ( Ja Choon Koo ),최준영 ( Jun Yeong Choi ),윤여창 ( Yeo Chang Youn ) 한국산림과학회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3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is one of the most profitable forest products in Korea. We postulated a hypothesis that a high rate of returns to labor input could make the harvest of pine mushroom off the optimum level. In the view of developing a sustainable production strategy for pine mushroom producers,production of pine mushroom collectors and pine mushroom growth function were estimated using maximum entropy method. Annual pine mushroom production and labor input were the data used in the estimation of production function of pine mushroom collectors and pine mushroom growth function. The level of sustainable maximum production derived from the estimated function. The production function estimated shows that production of pine mushroom is affected more by the resource of pine mushroom stocked in the forests than by labor that households put in forestry business. The production function of mushroom collectors and the estimated growth function indicate that pine mushroom harvests for the period of 2005-2011 did not reach the potential level of maximum sustainable produc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pine mushroom harvest should be controlled until the resource stock of pine mushroom in the forests increases to the level of maximum sustainable production.

      • 애기장대 APETALA3의 유전인자형 결정

        구자춘 ( Ja Choon Koo ),이은선 ( Eun Sun Lee ),송경자 ( Kyoung Ja Song ),( Krishnamoorthy Srikanth ),황성수 ( Sung Soo Wha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科學敎育論叢 Vol.36 No.-

        식물의 꽃 기관 발달은 ABC 모델을 통해 설명된다. 본 연구는 꽃 기관 발달의 규칙성을 알아보고자 ABC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체를 야생형에 인공교배 시킨 뒤 표현형적 및 유전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야생형개체들은 모두 꽃받침이 4개, 꽃잎 4개, 수술 6개 그리고 심피가 2개로 나타났지만, B 기능을 하는 ap3 돌연변이들은 꽃잎이 꽃받침으로 변환되고, 수술이 암술로 변환되며, 열성 동형접합자의 경우 강한 돌연변이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야생형 및 돌연변이형의 유전인자형은 PCR을 사용하여 F1과 F2 세대에서 결정되었다. The ABC model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floral organs in plants.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floral organ development was evaluated by artificial crossing of wild type Arabidopsis with mutant Arabidopsis plants and then their phenotype and genetic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Wild type Arabidopsis plant consist of 4 sepal, 4 petal, 6 stamen and 2 carpel but in ap3 mutant a gene of B function, the petals are converted into sepal and stamen is converted into pistil. This indicated a strong recessive homozygous mutant phenotype. Based on PCR method, genotyping of both wild and mutant type were determined in F1 and F2 generation respectively.

      • KCI등재

        기업의 환경경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구자춘(Ja-Choon Koo),윤여창(Yeo-Chang Youn),조동성(Dong-Sung Cho),노태우(Tae-Woo Roh) 한국전략경영학회 2013 전략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기업이 처한 외부적 환경변화와 내부적 요인인 환경경영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후변화시대에 온실가스 상쇄수단으로 부상한 산림 탄소배출권에 대한 구매 의사를 기업이 환경경영에 참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고, 이에 기업의 주관적 규범, 행동태도, 지각된 행동제어요소가 제도적 동형화 과정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한 것이다. 본 연구의 틀은 계획행동이론에 기반을 두었으며, 가설은 제도적 동형화 이론에 근거하여 설정되었다. 2011년 매출액 기준 상위 2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시행한 뒤, 70개 기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를 이용하여 Heckman의 2단계 검증을 이용한 이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가설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관련 사업경험이 있고, 비용절감을 위해서 감축계획을 수립한 기업일수록 산림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확률이 높았으며, 위 두상황이 주어졌을 때 목표관리제에 포함된 기업일수록 산림 탄소배출권 구매확률이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we postulate firms are willing to purchase forest carbon offsets as the firm practices environmental management. Even though a firm is usually controlled by stakeholder, it would not invest in the cost, unless it is associated with their current interests. Thus, the behavior of purchasing forest carbon credits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current interests can be regarded as an activ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 research question is drawn: “which factors make firms more likely to take part in environmental management under institutional pressures?” To address this question, the theory of planned-behavior and institutional isomorphism were employed. Hypotheses are examined by logit and Heckman’s two-step estimation and results show that a firm that is experienced environment-related projects and set the energy reduction plan is more likely to purchase forest carbon offsets.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변승연,구자춘,석현덕,Byun, Seung-Yeon,Koo, Ja-Choon,Seok, Hyun-Deok 한국산림과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3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orest policy by year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macroscopic evaluation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W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based on keywords related to the projects mentioned in the news, SNS and so on in the relevant year for the policy demand side; and based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 the policy supply si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specified the network structure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nd identifi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policies by comparing the network of the demand side and that of the supply side.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etwork of the supply side is less radial than that of the demand side, implying that various keywords other than forest could considerably influence on the network. Also we compar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for 33 keywords related to 27 major pro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7 keywords shows increasing demand but decreasing supply: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rest biota, forest protection, forest disease and pest, urban forest, and North Korea. Since the supply-demand gap is confirmed for the 7 keyword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est policy regarding the 7 keywords in the 6th Basic Plan.

      • KCI등재

        북한 황폐산지 복구 사업의 우선 대상지 선정

        박소희 ( So Hee Park ),구자춘 ( Ja Choon Koo ),석현덕 ( Hyun Deok Seo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4 산림경제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황폐산지 복구 사업의 비영속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량과연료 생산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사업 지역을 발굴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0년 에서 2012년까지 황폐화된 지역 16만 516ha 와 산림으로 유지되거나 새로 조성된 지역 523만 3,681ha을 대상으로 한다. 이 지역의 고도, 경사도, 수관울폐도에 따라 식량과 연료 생산 가능성을 고려하여 황폐산지 복구 사업을 유형화하고 GIS를 이용하여 유형별 대상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88,426ha는 산림농업형 산림탄소상쇄 재조림 사업을 적용하여 식량을 생산할 수 있고, 26,854ha는 산림탄소상쇄 복합형 사업을 적용하여 연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별 사업대상지 면적을 추정한 결과, 인접지역의 식량과 연료 생산으로 산림의 전용 및 황폐화를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역은 함경북도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북한의 실정에 맞는 황폐산지 복구 사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다상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ountain restoration project sites which can produce both food and fuel an effort to solve the non-permanence problem of the restoration projects in North. The area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16,0516ha of deforested area and 5,233,681ha of sustained or reforested area from 2000 to 2012. Depending on elevation, slope and canopy coverage, we can apply two types of restoration projects; (1) forest carbon (reforestation and agroforestry), (2) forest carbon offset (forest management plus forest biomass production).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88,426ha of potential food production area using GIS. The estimation indicates that Hamgyoungbuk-do is suitable for sustainable mountain restoration project to produce both food and fuel. This results will provide useful references to select primary project sites reflecting the social situa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

        ◇ 5분과 :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민경택 ( Kyung Taek Min ),구자춘 ( Ja Choon Koo ),김명은 ( Myeong Eun Kim ) 한국임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4

        이 논문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수요측면에서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 가구 64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산지재배 임산물을 구입하는 이유는 영양·효능과 안전성 때문이며, 같은 임산물이라도 밭 재배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지재배 임산물이 친환경 밭 재배 작물보다 선호되기는 하지만 자연산 인정 여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들이 임산물 속성 가운데 중요시하는 요소는 품질과 효능으로 나타나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소득이 증가하면 신선도와 가격보다 자연산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체험이 자연산 임산물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자연산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획득하고 체험·관광과 연계하는 6차산업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licit som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agroforestry in South Korea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We conducted internet survey to 640 urban households about the recognition of forest farming products. Consumers purchased forest farming products for their nutrition, medical function, and safety and regarded them as higher quality than crops cultivated from agricultural land. Consumers preferred forest farming products but revealed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naturally-grown products. Consumers buying forest products prioritize the quality and medical function among attributes. Among consumers as their income increases, they regard naturally grown products more important than price and freshness. Therefore, to promote agroforestry in South Korea, certification for naturally-grown products to win the consumers`` trust and the 6th industrialization by combining experience and green tourism program must be considered.

      • 속도와 가속도 제한조건 상에서의 MATLAB을 이용한 베지어 곡선 속도 프로파일 최적화

        윤관식(Kwan Sik Yoon),구자춘(Ja Choon Ko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Productiv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companies in production. How many products can be produced without defects in a short period of time on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also affects the overall sales of the company. In this study, velocity profile optimization was carried out to ensure that transfer robot can transfer the product as quickly and safely as possible. Bezier curve was used as shape of velocity profile to reduce the size of jerk during operation. As a result, the optimized velocity profile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12.7% compared to the previous velocity prof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