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 부산광역시의 도로를 중심으로 -

        구유성,이성호,이달별,정주철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2

        Recently, Busan Metropolitan City has experienced unexpected snow damage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itigation measures to snow damage. This paper classifies Dongs(administrative divisions of South Korea) in the study area based on damage due to snow on the roa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rries ou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variables related to damage due to snow on the road. Second, it conducts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Dong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inally, it proposes differential measures for each Dongs for Snow Damage mitigation based on Snow Risk Factors. 본 연구는 설해에 대한 연구지역의 특성 및 유형을 알아보고 유형별 차별적 설해저감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기존 문헌연구와 연구지역의 과거 사례를 조사하여 설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하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고유값이 0.9이상인 3개의 요인들은 물리적, 적응적 그리고 사회적 특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들 요인득점을 이용하여 지역단위별 유형화를 실시하고 군집된 유형별 요인특성에 따른 차별적 설해저감대책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심의 설해취약지역 선정 및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구유성,이성호,정주철,Koo, Yoo Seung,Lee, Sung Ho,Jung, Juchul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3

        Recent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have occurred by unexpected natural disasters. We studied snow damages, an important natural disaster issue because it happens more frequent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tries to select vulnerable areas of snowfall in advance and then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for minimizing unexpected snowfall damage. Busan, where is our study area, has hilly in downtown areas so that topography characteristics of the roads such as slope, elevation and aspect are vulnerable to snowfall. The sudden snowfall in Busan causes traffic jam and causes some schools in hilly to close some schools. At this moment, the adaptation policy has to be established for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in advance, because prediction of anomaly climate due to global warming is so difficult beside the damage of natural disaster is hu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tribute to selecting and assessing vulnerable zones of snow damage focusing topography characteristics of the roads and then evaluating the degree of risk of vulnerable zones. 최근 지구는 이상기후를 원인으로 한 자연재난 발생에 의해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의 하나인 설해 적응에 관한 것으로 도로가 위치한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설해취약지역을 선정하고 그 위험정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의 경우 도심 내 구릉성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도로의 경사가 급하고 많은 산복도로가 형성되어 있어 폭설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폭설이라 할 수 없는 적은 적설량에도 도로교통이 마비되고 학교가 휴교하는 등 큰 혼란이 발생하였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는 예측이 어렵고 그 피해는 매우 큼으로 관련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적응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도로가 위치한 지형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설해취약지역을 선정하고 행정동 단위 위험도 평가를 통한 위험정도를 나타냄으로 설해 적응정책수립 시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설해 예방을 위한 사전 취약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의 도로를 중심으로

        구유성(Koo You-Seong),이성호(Lee Sung-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In recent,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have occurred by unexpected natural disasters caused anomaly climate. We research unexpected natural disasters especially snow damages, an important issue because it happens more frequent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also examines to select undeserved area of snowfall in advance and to establish management policy for minimizing unexpected snowfall damage. In the study area, the sudden snowfall considered not high caused traffic jam and had to close some schools in Busan, on March, 2010. It shows that Busan is not a safety area of snowfall damages anymore and preventive measures of unexpected disasters have to arrange because of anomaly climate. In order to study the selection of undeserved area of snowfall,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G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roadways of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study area. It helps to develop basic data to prevent snow damages investigating environmental features in selected area and comparing reported damage cases in this year.

      • KCI등재

        폭염 취약성평가를 통한 도시의 적응능력 향상:

        구유성(You seong Koo),김자은(Ja eun Kim),김지숙(Ji sook Kim),이성호(Sung ho Le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5

        The Busan Metropolitan City now experiencing the climate change, particularly since the initiation of the system to issue warnings on the heat waves in summer time, the warning issued in July and August in 2012 lasted for 14 days and two heat exhausted patients died. In this study, the surrogat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scorching heat wave were scree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variable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most accordantly were selected. The factors such as the exposure to climate, sensitivity, and adaptation were demarcated as indicators of vulnerability and the surrogate variables selected for respective factors were normalized by employing the Dimension Index method. And the normalized variables were multiplied by respective weights to calculate indices of each factor and the calculated values were substituted into the calculation formula(proposed in the IPCC) to produce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Results of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not be employed to lay the ground to build up any policy or plan because it would only be an estimation of the ‘degree’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refore it should only be employed as a reference in preparing certain plan or policy, and the actual plan or policy should be based upon the grou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public, regional specialists, and residents.

      • KCI등재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이명진 ( Moung Jin Lee ),구유성 ( You Seong Koo ),조연희 ( Yeon Hee Ch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for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y often struggle with urban flooding. Recently,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flood mitigation in developed countries due to its capability to infiltrate water into the ground, provide the ability to absorb and store rainfall, and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s. However, in Korea,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only focuses on esthetic functions or accessibility, and does not think how other functions such as flood mitig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Based on this, we address this critical gap by suggesting the new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maximizing flood mitigation capacity. This framework include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dentifying flood risk area and deciding suitable locations for green infrastructure. We propose the use of the combination of frequency ratio model and GIS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framework also includes the selection process of green infrastructure practices under local conditions such as geography, flood experience and finance. Finally, we applied this planning framework to the case study area, namely YeonJe-gu an Nam-gu in Busan. We expect this framework will be incorporated into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to provide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location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