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상 버튼의 이미지영역과 감지영역의 불일치를 통한 기능성 극대화

        구본영 ( Bonyoung K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상 버튼은 정보 제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조작 편의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즉, 버튼기능에 대한 정보식별을 수월하게하고 오조작 가능성을 낮춤과 동시에 가능한 작은 면적에 배치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해결책으로 버튼이미지 영역의 일부만을 터치 여부 감지 영역으로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버튼이미지와 감지영역이 일치하는 버튼(S유형버튼), 버튼이미지의 1/2영역만을 감지영역으로 하는 버튼(H유형버튼), 그리고 버튼이미지의 1/3영역만을 감지영역으로하는 버튼(T유형버튼)의 정상조작률과 조작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조작률은 오차범위 내에서 H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작시간은 S유형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그런데 오조작에 따른 추가소요시간을 감안한 결과 S유형과 H유형 버튼의 조작시간 차이는 사용자가 느끼기 어려운 수준으로, 조작 성공률이 높은 H유형 버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Buttons on the smart phone touch-screen shall be guaranteed with convenience of operation while not interrupting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smart phone touch-screen buttons shall be designed so that they are distributed in smaller areas as much as possible while making it convenient to identify information on the button functions and reducing the chance of error in operation. This study has suggested plans of having a part of button image areas as a sense area for identifying whether to be touched as a solution and implemented an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normal operation rate and operation lead-time were measured on a button that button image and sense areas we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S-type button), a button that a half of the button image area was a sense area (H-type button), and a button that only one-third button image area was a sense area (T-type button). As a result, normal operation rate wa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H-type button in an error range, while operation lead-time was shown to be the fastest in S-type button.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btained after considering an additional lead-time from error in operation, the difference of lead-time between S-type and H-type buttons was barely recognizable by users. Therefore, a conclusion was drawn that it was desirable to apply H-type button with higher success rate of operation.

      • KCI등재

        미생물 연료전지의 산소 환원 촉매의 최근 동향: 리뷰

        구본영(Bonyoung Koo),정석희(Sokhee P. Jung)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11

        미생물 연료전지(MFC)는 폐수를 처리하며 에너지를 회수하는 차세대 에너지 생산형 폐수처리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산소환원을 수행하는 MFC 환원전극 성능향상의 병목이기 때문에, MFC의 실용화를 위해 비약적인 성능 개선이 필요하다. 가장 이상적인 산소환원 촉매는 백금으로 알려져 있지만, 백금은 값이 비싸고 내구성이 떨어져 실제 하폐수 처리장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MFC 분야에서 환원전극 촉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리뷰 논문에서 지금까지 개발된 다양한 촉매(예를 들면, 탄소 기반 촉매, 금속기반 촉매, 탄소-금속 복합 촉매, 금속-질소-탄소 구조체, 생물 촉매)의 제조 방법, 성능, 내구성, 경제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였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 전망을 제시하였다. Microbial fuel cell (MFC) is a system being developed for a next-generation energy-producing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at treats wastewater and recovers energy. Because an MFC cathode performing oxygen reduction is a bottleneck in performance enhancement,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cathode performance i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FC system. The most ideal oxygen reduction catalyst is known as platinum. However, platinum is expensive and not long-lasting,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a real application. For this reason,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development of cathode catalysts in the MFC field. In this review paper, the production method, performance, durability, and economics of various catalysts (i.e., carbon-based catalysts, metal-based catalysts, carbon-metal composite catalysts, metal-nitrogen-carbon structures, and biocatalysts) developed so far have been outlined and future research prospects were presented.

      • 활성탄 기반 환원전극의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 첨가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전력 발생 향상 연구

        구본영 ( Koo Bonyoung ),정석희 ( Jung Sok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Activated carbon (AC) is an inexpensive 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in an air cathode of microbial fuel cells (MFCs). In the AC-based cathode, carbon black (CB) is used as a conductive supporting material.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cathodic performance would increase if reduced graphene oxide (rGO) replaces CB in an optimum ratio. rGO replaced CB in the four different weight ratios. Maximum power density was the best in rGO15 (2,642 mW/m<sup>2</sup>) followed by rGO5 (2,142 mW/m<sup>2</sup>). In the optimum external resistance operation, rGO5 and rGO showed similar power (~1,060 mW/m<sup>2</sup>), higher than the others. Linear sweep voltammetry, cyclic voltammetry, and impedance spectroscopy also showed that the optimal rGO additions improved cathodic performance and reduced cathodic internal resistance. Due to the flatter and wider shape of rGO and 5 times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CB, the rGO addition improved the cathodic performance, but the complete replacement of CB with rGO decreased the cathodic performance due to the increased thickness and the morphological crack. The optimum rGO addition is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cathodic performance.

      • KCI등재

        궁극의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미생물 전기분해 전지 기술의 동향과 전망

        구본영(Bonyoung Koo),정석희(Sokhee P. Jung)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10

        현재 그레이 수소나 블루 수소가 재생 에너지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실상은 모두 화석연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수소기반사회의 달성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과제는 바로 시장 경제성 있는 그린 수소 생산 기술의 개발이다. 미생물 전기분해 전지(MEC)은 친환경 자원인 유기성 하폐수를 처리함과 동시에 궁극의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차세대 에너지 생산형 하폐수처리 기술이다. MFC의 수소 생산을 위해, MEC에 전기 에너지의 투입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에너지는 MEC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로 모두 충당된다. 그러므로 MEC의 수소는 궁극의 그린 수소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총설 논문은 MEC 기술의 원리와 타당성, MEC의 구성과 형태, 전극 재료, 다양한 하폐수 성상에 따른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해서 심층적인 요약과 분석을 담고 있다. 더 나아가 파일럿 규모에서 다른 환경 시스템과의 결합성 및 확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MEC의 기술적 한계를 진단하였고 MEC 기술 실용화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Currently, gray hydrogen and blue hydrogen are widely recognized as renewable energy, but in reality, they are made from fossil fuels. The most important task to achieve the hydrogen-based society is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reen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Microbial electrolysis cell (MEC) is a next-generation energy-producing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that treats renewable organic wastewater and simultaneously produces the ultimate green hydrogen. For hydrogen production in MFC, it is necessary to input electrical energy into MEC. However, that energy is all covered by the energy produced by the MEC. Therefore, hydrogen production in MEC can be defined as the ultimate green hydrogen. This review contains an in-depth summary and analysis of the principles and feasibility of MEC technology,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MEC, electrode materials,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in various types of wastewaters. Furthermore, compatibility and scalability with other environmental systems were reviewed at the pilot scale. Based on this,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MEC were diagno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MEC technology were suggested.

      • KCI등재

        출판매체 속 표상에 나타나는 재매개의 이중논리 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데이비드 볼터와 리차드 그루신은 그들의 저서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에서 매체 간의 상호작용을 계보학적 차원에서 다루었으며 재매개의 이중논리인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측면에서 다양한 미디어의 속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매체라 할지라도 각각의 매체가 놓인 상황에 따라 그 속성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재매개의 이중논리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는 상황에 따른 속성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표상의 속성이 출판매체속의 정보매체의 하나로 관찰될 때 나타나는 재매개의 이중논리 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체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적 특성은 그것이 다른 매체 속에 존재할 때와 몇몇 다른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사실적 표상일수록 비매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출판매체 속에서 표상의 사실성보다는 역할에 따라 비매개성의 실현정도가 결정된 다. 둘째 하이퍼매개성이 강할수록 비매개성이 약화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출판매체 속의 일부 표상들은 하이퍼 매개성이 매우 강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비매개성이 실현되기도 한다. O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described interaction between media based on genealogy and looked over various media from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However same media could show different characters by the situation. Especially looking over them from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the character a medium itself has is much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the medium placed on another midium shows. I studied character from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appearing in representation on publicational media and found several differences. First usually the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the stronger immediacy but on publicational media the reality of representation is not so essential for immediacy but function of that. Second typically the stronger hypermediacy the weaker immediacy but readers experience strong immediacy from some representations on media which have strong hypermedi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