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경기 침체기의 최저가 낙찰제 건설현장의 운영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 도출

        구본상,장현승,Koo, Bon-Sang,Jang, Hyoun-Se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6

        2008년에는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국내 건설 경기가 급속도로 악화되었으며, 국제 유가인상과 함께 철근, 레미콘 등 건설 주요 자재의 가격이 폭등하였다. 또한 새로 출범한 정부는 '예산 10% 절감' 방안을 내세우며 그 일환으로 최저가 낙찰제 공사를 기존 3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 시행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처럼 정책적 경제적 악재가 겹치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은 대부분 수익성 없이 저가로 수주한 최저가 낙찰제 현장이다. 평상시에도 적자로 운영되는 현장에서 이런 대외적 타격을 받을 경우, 기존에 안고 있던 문제점들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국내 최저가 낙찰제 현장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발견된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 분석 및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발주자-원도급자-하도급자간의 자금 유동성의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원인에는 설계변경 및 에스컬레이션 제도의 미작동 및 리스크를 중소 및 영세기업에게 전가시키는 생산구조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원도급자들은 경기 사이클에 대비할 수 있는 리스크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발주자들은 경기 침체 시 현장에 유동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year 2008 was a hard year for Korea's construction companies. The real estate downturn resulted in halting new construction and stopping existing work, and inflation of global oil prices caused price hikes in rebar and concrete materials. As a solution to reducing the budget, the newly appointed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increase low cost bid contracts from 10 billion to 30 billion won. When such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negatively impact the construction market, projects based on low cost contracts are the hardest hit. Many problems already inherent in low cost bid contracts become accentuated. Consequently, this provides an opportune time to actually study and analyze the issues in these projects. This paper introduces the findings made from investigating four projects struggling to make ends meet in the year 2008. Results show that flow of cash (i.e., liquidity), or lack thereof, was the root cause which in turn was hampered by failed mechanisms for design changes, material inflation. Attributing cash flow risk to the bottom of the production structure (i.e., small business subcontractors) was also a problem within the industry. Contractors need a better way to prepare against material price fluctuations, and owners need to assist in expediting payment during times of extreme downturn.

      • KCI등재

        장기계속계약제도 하에서 고속도로공사 최적공사비 산출방안 정립에 관한 연구

        구본상,유정호,박종호,Koo, Bon-Sang,Yu, Jung-Ho,Park, Jong-Ho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6

        한국의 공공인프라 프로젝트는 다년간 전 생애에 걸쳐 매년 재평가하고 예산을 재 할당하는 장기 지속 계약(LTC)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계약은 기존 프로젝트에 필요한 예산이 새로운 프로젝트에 할당되기 때문에 다년간의 프로젝트에 일관된 예산의 흐름을 제공하지 않는다. 한국도로공사는 실제로 한국도로공사에 할당될 수 있는 금액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 고속도로 건설 현장의 건설을 위한 정부 기금을 매년 요구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을 예측하여 원활하고 지속적으로 실행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예산 분배에 대한 논리적인 접근의 부족은 자본의 왜곡된 분포를 갖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부로부터 최적의 예산을 얻기 위해서 한국도로공사는 개별 공구에 필요한 연간 건설 자본을 합리화 하고 체계화한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충분한 자금이 특정 연도에 구비되는 경우, 소정의 공구에 필요한 최소한의 건설 자본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도로공사가 매년 개별 건설 현장에 필요한 최소한과 최적의 건설비용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최적의 연차별 공종별 계획공정율과 핵심작업의 유형 모두 많은 도로공사의 프로젝트들을 경험하고 현재 그 프로젝트들을 진행 중인 24명의 전문가(한국도로공사 직원, 시공전문가)들의 워크숍을 통해 산정되었다. In Korea, public infrastructure projects employ "long term continuation (LTC) contracts," which require budgets to be reevaluated and re-appropriated annually throughout the multi-year life of the project. However, such contracts also make it susceptible to frequently changing government policies, in which budgets required for existing projects are allocated to new projects and thus does not provide a consistent stream of capital to multi-year projects. Each year, the KEC needs to attain government funds for construction of its multiple highway construction sit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amount that may be actually appropriated to KEC in a given year, it is in turn difficult to anticipate and provide sufficient funds necessary for construction to run smoothly and continuously. The lack of a good logic for appropriation has resulted in projects having a skewed distribution of capital. To get better budget appropria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KEC first needs a systemized approach that rationalizes the annual construction capital optimally required for its individual sites.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vise a way that allows the KEC to determine and calculate the optimal construction costs that would be required for its individual construction sites on an annual basis. Both the optimal progress rate and the essential work types were assessed through a workshop with 24 professionals (KEC employees and contractors) who had extensive experience in KEC projects and also were currently working in these projects.

      • KCI등재
      • KCI등재

        ARS 조사방식과 젊은 연령대 여성 표집의 실패: 정치적 의견이 강한 유권자들 비율에서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에 있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방식이 응답자의 성별 차이와 연계되어 있음에 초점을 맞춘다. ARS 방식의 전화여론조사는 표본 내 여성응답자 비율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것은 단순히 남성응답자 과대표집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표본 내 젊은 연령대 응답자 비율과도 연계되면서 전반적으로 표본 자체를 오염시킨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ARS 조사방식과 성별 대표성의 왜곡 문제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의견의 강도가 성별 차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관심이 높고, 정치지식이 많은 유권자로 정의되는 `정치적으로 의견이 강한 유권자들`이 ARS 방식의 선거여론조사에 응답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서 정치적 의견이 강한 유권자들이 비율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장년층에 비해 젊은 연령대에서 약하게 나타난다. 이는 한국이 Inglehart & Norris(2000)가 언급한 정치와 관련한 `전통적 성별 차이`에서 `현대적성별 차이`로 전환되는 과정을 불완전하게나마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는 전 연령대에서 현대적 성별 차이가 뚜렷해지기 전까지 한국에서 ARS조사방식을 통한 선거여론조사는 근본적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finds that ARS-based polling(or IVR polling) i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oportion of female respondents in samples. Such oversampling of male respondents tends to induce the low proportion of younger respondents in samples. This study argues that such gender biased samples associated with the ARSbased polling can be explained by gender differences in political opinion intensity. Recent surve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rtion of politically opinionated male voters who are willing to respond to ARS-based election polls is higher than that of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Korea. However, the gender gap appears weaker in younger ages than in older adult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voters have experienced a partial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gender gap` to the `modern gender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implies that until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gender gap is manifest for all ages, ARS-based election polls have a fundamental limitation in Korea.

      • KCI등재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구본상 ( Koo Bon Sang ),최준영 ( Choi Jun Young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19 분쟁해결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남남갈등’으로 불리는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가 통일에 대한 인식에도 반영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통일 자체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진다고 해서 반드시 통일 준비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특히 이러한 인식과 태도는 정치와 안보 환경이 바뀔 때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국내 정치와 한반도 안보 환경의 극단적 변화를 경험한 2017년과 2018년 통일연구원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호남은 통일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강한 평화 지향 성향으로 인해 통일 준비에는 적극적이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둘째, 영남 가운데 대구-경북(대경권)은 2018년 진보 정부 출범 후 뚜렷하게 통일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통일 준비에 대해서는 다른 지역과 크게 차별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경권과 비교할 때 부산-울산-경남(동남권)은 정치와 안보 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최근 선거에서 드러난 영남 내 정치적 분화가 통일의식에도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보 정부의 전통적 지지 지역인 호남이 적극적 통일정책에 대해서도 강한 지지를 보이리라 낙관할 수는 없다는 것, 그리고 영남 내에서도 바라는 통일정책이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regional differences in voter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policy (so-called ‘South-South conflict’) are reflected in those i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he survey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 in 2017 and 2018 when Koreans experienced extreme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onam voters who are more peace-oriented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nification itself, but they tend to be passive in preparing to achieve it. Second, Daegu-Gyeongbuk voters (Daegyung-kwon) show a negative attitude toward unification after the liberal government in 2018, but their attitude toward preparing to achieve unifica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s. Third, Busan-Ulsan-Gyeongnam voters (Dongnam-kwon) tend to respond more sensitively to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compared to Daekyung-kwon counterparts, which means that the political differentiation in Yeongnam region that has been revealed in recent elections was reflected in the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ters of Honam, which is a traditional support region of liberal governments, will not necessarily show strong support for active unific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liberal government.

      • KCI등재

        혼합형 선거제도하 정당명부 작성방식의 차이와 부패

        구본상(Koo, Bon Sang)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5 동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비례대표 요소를 도입한 57개 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치적 부패 수준이 선거제도와 정당명부 작성방식의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특히 혼합형 다수대표제하에서 정당명부 작성방식이 체제의 지속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의 부패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한다. 본 연구는 로버스트 선형회귀모델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체제의 안정성이 증가할 경우 부패 수준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현상과는 대조적으로 혼합형 다수대표제와 폐쇄형 정당명부 방식이 결합될 경우 오히려 부패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보인다. 기존 이론만으로 이를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혼합형 선거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의 초기 조건, 특히 구체제 주요 정당의 능력과 정당체제의 확립을 고려한 가상 시나리오를 구성해 봄으 로써 이해될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혼합형 선거제가 단순히 두 개의 순수형 선거 제(다수득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중간에 존재하는 제도가 아닌 독특한 유형으로서 연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국가 전반에 만연한 부패를 줄이기 위해서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또는 순수 다수득표제로의 전환과 같은 선거제도 개혁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political corruption by electoral system and type of party 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a cross-national setting. From (1) two different scenarios by strength of holdover parties and consolidation of party governance, and (2) the Kunicová and Rose-Ackerman (2005) s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different levels of incentives as well as capabilities of voters to monitor political corruption by electoral system, this paper derive a testable hypothesis: a corruption level will rise in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s (MMMs) combined with the closed-list PR as the regime stability increases,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general pattern observed in other electoral systems. Employing more robust statistical methods and Monte Carlo simula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hypothesis is valid in the cross-national setting, and the MMM is not a simple hybrid but a unique system in terms of political corruption. It also suggests that MMMs which have suffered from serious political corruption consider introducing open-list PR or pure plurality rule to reduce it.

      • KCI등재

        여성, 간과된 변수: 투표율에서의 성차(Gender Gap) 분석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1 의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여성의 투표 참여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2017년 이후 치러진 세 개의 다른 선거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투표율 자료를 사용해 투표율에서의 성차에 관해 집합 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 수준에서 볼 때 한국에서도 투표율과 관련해 현대적 성차는 선거의 종류와 상관없이 대다수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둘째, 투표율에서의 성차가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고령층에서 투표율이 감소하는 이른바 ‘과부 효과’에서의 성차, 그리고 새롭게 유권자가 된 집단에서 현대적 성차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20대 후반에서 발생하는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 현상은 모든 선거에서 지역을 불문하고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경제적으로 발전된 곳에서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가 더 뚜렷해지는지 여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연령대별로 현대적 성차 경향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장 근대화한 서울시 자치구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에서 가장 근대적인 강남구와 서초구는 다른 구와 비교할 때 현대적 성차경향이 오히려 약하고, 이른 연령대에서 전통적 성차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인다. 위의 결과는 투표율에서의 현대적 성차는 이제 한국정치에서 보편적인 현상이고, 새롭게 충원된 현대적 성차가 계속될수록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여성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더욱 주목해야 하지만, 이를 더욱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화가 진전될수록 자연스럽게 투표율에서 현대적 성차 경향이 강화될 것이라는 발전론(developmental theory)적 접근을 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for three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held since 2017 at the aggregate level using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ssion’s turnout data,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women’s vot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at the aggregate level are confirmed in most regions regardless of election types. Second, the gender gap in turnout varies with age. The gender difference is verified in the “widowhood effect,” where turnout decreases in the oldest-old. In the new voter group, modern gender gaps appear in most regions. The reversed gender difference in turnout in the late 20s, which reflects the Korean society’s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in all elections. Third, it is unclear whether the reverse gender gap in turnout becomes more pronounced in urbanized districts. As urbanization progressed, modern gender differences in voter turnout across age groups are observed at the population-based size level. Paradoxically, the modern gender gap tends to be weak and turns into the traditional gender gap in younger age groups (in the late thirties) in Gangnam-gu and Seocho-gu, the most modernized districts in Seou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n gender gap in turnout is now a common phenomenon and continues to be strengthened by newly recruited voters in Korea. Thu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female voters’ political behavior and a new approach beyond the developmental theory to understand the causal mechanism to generate the modern gender gap in voter turnout.

      • KCI등재

        변화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의 우리 국민의 통일인식 분석: 현대적 성차, 국가 자부심, 통일효용 인식

        구본상(Bon Sang, Koo),최준영(Jun Young, Choi)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이후 급변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 우리 국민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2018년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통일의 필요성을 적게 인식하나, 젊은 연령대 여성에서는 동 연령대 남성과 비교할 때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서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현대적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국민으로서 자부심이 강할수록 국가 통합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통일과 관련한 비용 문제도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통일이 개인과 국가에 가져다줄 수 있는 효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어 보았을 때, 통일이 국가에는 이익이 되겠지만 개인에게는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보는 ‘소외’ 유형과 통일이 개인과 국가 모두에 이익이 아니라고 여기는 ‘비관’ 유형은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취했으나, 평화공존에는 더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통일이 자신에게도 효용을 가져다주리라 생각하는 국민이 늘어날 때 정부의 적극적 통일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public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a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surprising participation of North Korea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cusing on a modern gender gap, national pride, and subjectively perceived utility of unification. Employing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s 2018 survey data, We foun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perceive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positively increases with their ages, but it is differentiated by gender, which shows the modern gender gap. In other words, the younger age group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by gender. Second, Koreans who are proud of South Korea tend to positively view national integration and strongly feel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lso, people who have strong national pride tend to actively bear the cost of unification. Third, when we classify the Korean people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benefits that the unification can bring to them and the nation, the ‘alienation type’ of people who perceive that the unification will benefit the nation but not them and the ‘pessimistic type’ of people who perceive that the unification will not be profitable to both themselves and the nation prefer peaceful coexistence to unif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continuously earn the public support for the current government"s top-down policy toward unification,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ve national pride or think that unification will bring benefits to them should increase.

      • KCI등재

        탈냉전 시기 권위주의 체제의 정당성 추구 전략 분석

        구본상 ( Koo Bon Sang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1 분쟁해결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탈냉전 시기 권위주의 체제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이들의 체제 생존과 안정을 위한 정당성 추구 전략을 분석했다. 체제 정당성 전문가 설문조사(RLES) 결과를 사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1991년부터 2010년까지 97개 권위주의 체제를 ‘절차-성과’기반 정당성 중심 집단(군집 1, 35개 체제), 모든 정당성 추구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집단(군집 2, 46개 체제), 그리고 정체성 기반 정당성 중심 집단(군집 3, 16개 체제)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군집별 이질성을 고려할 때 군집에 따라 통계분석 및 사례연구 등 연구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별 정당성추구 전략에 관한 가설 검증을 위해 민주주의 다양성 프로젝트(V-Dem Project)에서 제공하는 선거 민주주의 지수와 평등 민주주의 지수를 핵심 설명변수로 설정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권위주의 체제는 선거와 같은 민주적 제도의 도입이나 시행에서의 질적 향상보다는 대안적 방법(정체성 기반, 성과 기반)을 통해 정당성을 강화하려 하며, 설령 절차 기반 정당성을 활용하는 권위주의 체제라고 하더라도 선거 민주주의 수준을 계속해서 높이려 하지는 않는다. 둘째, 선거 민주주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권위주의 체제일수록 국제적 간여 기반의 정당성 전략선택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국제적 간여에 더 적극적인 권위주의 체제는 선거와 같은 민주적 제도가 아닌 다른 형태의 제도 혹은 이념 모형에 근거해 정당성을 강화하려 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셋째, 권위주의 통치자는 선거 등 민주적 제도와 절차를 계속 개선하기보다는 평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당성 추구 전략을 선회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절차 기반 정당성 전략이 민주주의 수준의 지속적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선거와 같은 절차 기반 정당성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그 체제의 민주화 가능성까지 높이는 것은 아니라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gitimation strategies by paying attention to authoritarian regimes’ heterogeneity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of 97 autocracies (1991~2010) included in an expert survey (RLES), it categorizes the autocracies into three clusters: the ‘procedure/ performance’-based legitimation group (n=35), the group with pursuing all legitimation strategies (n=46), and the identity-based legitimation group (n=16). The cluster analysis implies that research methods (e.g., cross-national analysis, case study) for authoritarian legitimation should differ for each cluster. To test several hypotheses about legitimation strategies, it also conducts a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electoral and the egalitarian democracy indices as key explanatory variables provided by the Varieties of Democracy Diversity Pro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horitarian regimes prefer alternative strategies (identity-based or performance-based) to the procedure-based legitimation strategy. Even if they are employing the procedure-based legitimation strategy, they will not improve the level of electoral democracy persistently.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electoral democracy is, the less likely it is to choose an international engagement-based legitimation strategy. An authoritarian regime that is more active in international engagement will export an alternative ideological model instead of improving democratic institutions such as elections. Third, authoritarian rulers can seek the ideology-based strategy emphasizing egalitarian values rather than improve democratic institutions and procedures. These findings imply that a successful procedure-based legitimation strategy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continuous improvement in democracy nor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mocratic transition.

      • KCI등재

        20~30대 남녀 유권자 투표율의 성별 역전 현상에 관한 퍼즐

        구본상(Bon Sang Koo),윤상진(Sang-Jin Yoon),최준영(Jun Young Choi)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2

        이 연구는 거의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남녀 투표율의 역전 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 모든 선거에서 남녀 투표율 역전 현상이 20대 후반부터 30대에서 제한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선관위 성별/연령별 투표율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에 대한 본격적인 경험적 검증은 기존 서베이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연령별 표집의 문제점 때문에 제대로 수행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안정적 직장과 결혼이라는 변수에 초점을 맞추고 그 두 변수가 모두 가부장적인 사고와 맞물려 그 또래 남성 유권자들의 투표율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는 잠정적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잠정적 가설에 대한 경험적 검증은 보다 나은 서베이 조사가 이루어질 때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결론에서 서베이 조사에 관련된 일련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With use of the reliable data on voter turnout rates estimated by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CEMC), this paper confirms that there has been existed a reversal gender gap in turnout rates only for the age group between late 20’s and late 30’s in Korea at least since 2000. It is contrasted with other developed democracies which have experienced a reverse gender gap among all age groups. However, our empirical tests of hypotheses regarding potential determinants of the dynamics of gender gap in voter turnout are challenged by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urvey samples in which abstainees in the specific age group were severely underreported.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attempts to derive a tentative hypothesis: Tough conditions for stable jobs and marriage mediated by patriarchal gender roles obstruct young male voters’ integration to society, which results in their lower turnout rates.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is in the future research, this paper provides some practical measures for conducting a well-sampled survey of voter t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