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아 어머니의 심리적응 유형 분석 연구 : 어머니와 전문가의 주관적 관점을 중심으로

        구미향,이양희 대한가정학회 2002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ping behavior types of mothers of autistic children. Through the use of Q methodology using a sample of 23 pairs of mothers and therapists, four factors were derived that account for the coping strategi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The mothers of the first type have either accepted their child's disability and their own situation. For the second type, the mothers engaged in therapeutic work for their child with a positive attitude. These mothers accepted their child as a family member. The third type shared ambivalent feelings and responses regarding their child's disability. And the last type expressed concern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situation. They tried to get social support to deal with the stressful situation. The agreement of mothers' psychological adjustment from the experts' and mothers' perceptive was found to be 52%.

      • KCI등재

        유아교육목표에 내재된 인성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구미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목표에 내재된 인성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유형을 알아보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예비유아교사 3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관성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유아교육목표를 대표하는 총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목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유형 네개를 확인하였다. 어린이를 사랑받기 위한 존재로 인식한 1유형은 유아교육목표로서 최고의 인성적 가치를 ‘행복’과 ‘사랑’에 두었다. 2유형은 어린이다운 어린이로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꿈’ 과 ‘창의성’의 인성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겼다. 어린이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한 3유형은 ‘예절’을 중요한 인성적 가치로 여겼고, 타 유형에 비해 ‘나라 사랑’과 ‘전통문화 존중’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생각하였다. 마직막으로 4유형은 어린이를 자율적 존재로 인식하였고, 타 유형보다 ‘공동체’, ‘자율’, ‘자기조절’, ‘올바른 생활습관’을 중요한 인성적 요소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네 유형 모두 공통적으로 ‘자신감’, ‘긍정’, ‘자기조절’, ‘행복’을 유아교육목표로서 중요한 인성적 가치로 인식하였고, 반대로 ‘실력’, ‘신앙’, ‘국제적 감각’ 등은 유아교육목표로서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types about value of character inher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o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By using the Q methodology which provides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ubjectivity, 40 items measuring tools represen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go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four distinc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types were identified. For type 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erceived children as 'love exists for receiving'. And they were placed high values as characters inher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oals on 'happiness' and 'love'. Type 2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ream' and 'creativity' and they wanted to teach children to be ‘The childlike children'. Type 3 which were perceived children as the 'social being' thought much of 'etiquette'. And compared with other types, 3 type were emphasized 'the love of country and cultural heritages' as the important education goals. Type 4 considered that children are 'autonomous existence'. Compared with other types, type 4 stressed the characters as like 'community spirit', 'self-reliant', 'self control', and 'the right lifestyle hab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typ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self confidence', 'cheerful disposition', 'self control', and 'happiness' as the valuable characters inherent in education goals. The other way, the 'ability', 'faith', and 'cosmopolitan outlook' were perceived as the unworthy characters by all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영아기 모성행동 척도 개발 연구

        구미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8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모성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42문항 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대구, 대전, 부산, 그리고 울산에 거주하는 2개월~24개월 된 영아의 어머니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양호도 분석과 chi-square 검증 및 Cramer's V 계수를 산출한 결과, .31~.69(p≶.001)의 변별도 기준에 부합하는 25문항을 선정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영아기 모성행동 척도를 구성하는 최종 22문항을 추출하였고, 발견된 네 개의 요인에 대해 각각 “상보성”, “이타성”, “애정성”, 그리고 "민감성“으로 명명하였다. 척도에 대한 전반적인 내적합치도는 Cronbach .= .77이었고, 각 하위요인별로 .59~.73의 범위였다. 마지막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두 검사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86, p≶.01, p≶.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scale. The subject were 240 mothers whose infants were between the ages of 2 months and 24 months. They were selected from Seoul, Gyeonggi, Incheon, Gwangju, Daegu, Daejeon, Pusan, and Ulsa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2 items.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fitness of structure based on the chi-square test and Cramer's V coefficients, 25 items were selected. The discriminant coefficients of the items ranged from .31 to .69(p≶.001). And from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22 items were selected and four factors were extracted. The subscales labelled 'complementary', 'altruistic', 'affectionate', and 'sensitive' maternal behavior.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was .77 for the overall questionnaire, and ranged between .59 and .73 for each subscale. Final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assess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All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raging from r=.34 to r=.86, p≶.01, p≶.001).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구미향,황소영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7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대표하는 총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Q 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후에 동일한 Q 소팅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단일 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들은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한 권리로 인식한 반면 발달권과 참여권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었다.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아교사의 인권 의식은 ‘비차별적 생명존중과 폭력으로부터의 보호’와 ‘권리주체자로서 능동적인 참여와 성장’ 이라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9명의 교사는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공고해 졌으며, 6명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과 발달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정서장애아동의 자기통제능력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의 적용 사례 연구

        구미향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3 장애아동인권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정서장애 진단을 받은 만 9세 여아를 대상으로 현실치료의 원리를 적용하여 상담한 사례연구이다. 내담아동의 주 호소 문제는 책임감과 자기통제력이 없어 다른 사람의 지시가 없으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스스로 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치료의 목표를 행동 및 의사결정에 대한 아동의 책임감과 통제력을 향상시키고, 아동이 바람직한 일상생활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데 두었다. 현실치료에 기초한 상담을 19회기 시행한 결과, 아동은 다섯 가지 구체적인 목표 행동 즉, 아침 7시에 일어나기, 매일 한 시간 첼로와 피아노 연습하기, 방 청소하기, 숙제와 일기쓰기, 밤 10시에 잠자리에 들기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감과 통제력이 회복되어 치료를 종결하였으며, 치료 종결 3개월 후 시행된 Follow-up회기에서도 아동의 바람직한 행동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어 자기통제능력향상을 위한 현실치료의 활용이 유용 한 치료적 접근이었음을 입증하였다.

      •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

        구미향,이정미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4 장애아동인권연구 Vol.5 No.2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4세-5세 유아 9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기술점수가 높았고, 남아가 여아보다 반사회적 행동 중 공격성과 부주의성을 많이 보였다. 반사회적 행동 정도에 따라 사회적 기술에 차이가 있었다. 즉 정상집단 유아가 반사회적 행동집단 유아보다 협력행동과 자기통제행동 점수가 높았다.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반사회적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력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반사회적 행동을 지도하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기 위해 유아의 성과문제행동 정도에 따른 이해를 기초로 예방적 접근과 교육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