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금융업의 주식 저평가 현황 및 시사점

        곽준희 한국금융연구원 2022 주간 금융 브리프 Vol.31 No.9

        우리나라 주식의 선진국 대비 저평가 정도는 2020년에 들어 확대되었음. 특히 국내 업종 간 비교 결과 은행을 포함한 금융업이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으며, 주요국의 글로벌 은행그룹과 비교해서도 우리나라 은행그룹은 큰 폭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저평가 현상의 해소를 위해서는 개별 금융회사의 수익성 제고 및 주주친화적 배당정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금융업 전반의 경영문화 개선 등이 긴요함. 금융당국은 금융업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함께 감독·규제체계 상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함.

      • 2020년 이후 우리나라 주가 변동요인 분해와 시사점

        곽준희 한국금융연구원 2022 주간 금융 브리프 Vol.31 No.3

        코로나19 직후 우리나라의 주가 급락은 주로 대외리스크 확대에 의해 주도되었고 실물경기의 후퇴도 이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최근 주가는 인플레이션 및 미 연준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 기대 등으로 상당히 조정되었는데, 향후 주식시장은 이와 같은 대외리스크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정부 및 기업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외요인에 대한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투자자는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리스크요인에 대비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KCI등재후보

        인도네시아 후기힌두-불교시대 마자빠힛(Majapahit) 왕국의 동제의례용구 연구

        곽준희(郭埈希)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5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후기힌두-불교시대 마자빠힛(Majapahit)왕국의 동제의례용구에 관한 연구이다. 마자빠힛은 1293년부터 1527년까지 동부자바(Java, Jawa)를 통치한 왕국으로 강력한 왕권과 군사력, 체계적으로 정비된 정치ㆍ종교ㆍ사회제도를 바탕으로 당시 동남아시아 각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마자빠힛에 대해서는 19세기 후반부터 문헌연구와 발굴이 진행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금속공예에 대해서는 이 시기 문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인도네시아의 후기힌두-불교시대 역사와 사회ㆍ종교ㆍ문화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마자빠힛 동제의례용구의 성립 배경을 논하였다. 마자빠힛왕국에서는 힌두교와 불교가 민속신앙과 융합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미술을 창조해 내었다. 그리고 인도문학을 토착화시켜 고대 자바어로 새롭게 재해석한 12세기의 王宮詩(까까윈, Kakawin)와 14-15세기 독창적인 문학 끼둥(Kidung)은 새롭고 다양한 모티프를 제공하였다. 또한 새로운 종파의 유행으로 인한 수행방법의 변화로 은둔과 금욕이 강조되었고 신상은 12세기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이를 대신하여 14세기에는 정교한 동제용구들이 종교의식, 궁정행사 등에 동원되었다. 마자빠힛 왕조는 왕권의 절대성을 수시로 확인시킬 필요를 느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각 지역의 사원을 방문하고 각종 의식을 거행하였다. 특히 소리, 물, 불을 통한 '정화'의 과정은 당시 의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종, 고, 정수용기, 등, 향로 등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담당하였다. 한편 각종 상징들은 신과 조상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This is a study of the Bronze Ritual Implements of Majapahit kingdom during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Majapahit ruled the eastern part of Java between 1293 and 1527. With mighty sovereignty, strong military power, systematically organized politics, religion and social system, they controlled several countries in the region of South-East Asia. On Majapahit Dynasty researches about ancient documents and inscriptio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capital have actively progres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Nevertheless, the metal craft of Majapahit has been discussed by some scholars who studied generally on the culture of this period. In this study first is a commentary on the history, society, religion and culture of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of Indonesia and the background of emerging Majapahit Bronze art. Hinduism and Buddhism were localized and combined with the folk religions. A new art arose from these historical forces. 12th century's Kakawins which were originated from 〈Ramayana〉 or 〈Mababbarata〉, adapted in Ancient Javanese and 14th-15th century's original literature Kidung gave new ideas and motives to the arts of Majapahit. Furthermore, because of ascetic practices and seclusion due to the spread of new sects, no bronze status of deities had been made since the 12th century, Instead exquisite bronze implements were used for religious rituals and royal ceremonies. As Majapahit kingdom was constantly in need of confirmation of the absoluteness of royal authority, the King not only visited every temple but also performed various ceremonies regularly. He also supported literatures and arts, Especially the process of purification with sound, water and fire was a major part of ceremonies, so development of bells, drums, purification bowls, lamps and incense burners reached perfection. In addition to these ceremonial implements, various symbols were used to signify the existence of the God and ancestors.

      • KCI등재

        기대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박진호 ( Jin Ho Park ),곽준희 ( Jun Hee Kwak ) 한국EU학회 2021 EU학연구 Vol.26 No.2

        기대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이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경제주체가 신뢰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미국, 유로지역, 영국 등의 지역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중앙은행이 어떻게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3개 지역에 대해 필립스곡선을 사용하여 가계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테스트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Neoclassical) 필립스곡선 모형, 그리고 이 두 모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세 가지 필립스곡선모형을 각각 추정한 결과를 토대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필립스곡선 모형을 3개 지역(미국, 유로지역, 영국)에 대해 2단계일반화 적률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예측력이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 필립스곡선 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변화 시점(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을 기준으로 표본기간을 2개로 나눠 하이브리드필립스곡선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에서는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구조변화 이후에 확대되었다.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추정 강건성을 테스트하고 필립스곡선 모형의 설명변수 간 상호작용이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를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구조변화 이후에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이 그다지 많지 않아, 기대인플레이션은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 미래지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중앙은행은 물가안정목표에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경제주체와 충분하고도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정책투명성 및 신뢰도를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Inflation expectations are recognized a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economic actors trust whether the central bank can achieve its inflation target.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issue of anchoring inflation expectations is drawing attention as low inflation continues in some countries, such as the euro area, the predictability of households’ inflation expectations focusing on these regions was verified using the Phillips curve. We compared the predictive power of inflation expectations against actual inflation by estimating the New Keynesian model, which presupposes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the Neoclassical model reflecting the back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and the Hybrid model mixing both models.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three models mentioned earlier using the generalized momentum method (GMM) for the United States, the euro area, and the United Kingdom, the predictive power of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which includes both expected and actual inflation variables in the explanatory variable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two mode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effect of inflation expectations on actual inflation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VAR model to verify the robustness of the estimated model an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inflation, and the influence of inflation expectations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n the other hand, inflation expectations were relatively unaffected by actual infla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depend heavily o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choring of inflation expectations is essential in order for actual inflation to anchor the inflation target. A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tual inflation, the central banks need to further enhance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in policy through sufficient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economic agents to ensur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are well anchored against the central bank’s inflation tar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