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이해와 실제 적용 방안 제안 및 해설 -Sandel의 정의론과 Kohlberg의 도덕적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곽영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과 이를 교과용 도서에서 적용하고있는 6학년 단원 2에 대해 이해하고, 실제 적용 방안을 제안하며 그 제안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용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역량 중심 자율형통합 심화 단원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의 대표적인 사례로서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실제 적용할수 있는 새로운 방안과 그에 대한 해설을 연구자의 안목을 통해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교과용 도서에서 접근한 방향과 다른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에 대한 예시를제안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핵심 가치인 정의와 중심 역량인 도덕적 사고력을 중점으로 표현하는 것이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단원의 목표와 내용, 방법으로 구성하기 위해 Sandel 정의론의 내용과전개 과정 그리고 Kohlberg의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과 딜레마를 적용하는 방안이 타당할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제안에 대한 부가적인 도덕 교과 교육적 해설은 도덕 수업 현장에서 유의미한 참고자료로 활용될것으로 보인다. 결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표현된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예시의 제안은 초등학교도덕과 교육에서 새로운 의미의 안목을 자율적이며 창의적으로 재창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볼노 교육인간학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곽영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생철학과 실존철학은 이성 중심 철학, 윤리학의 흐름 속에서 삶과 존재의 의미를 되짚어 볼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볼노는 생철학과 실존철학을 토대하여 교육인간학을 주장하는데, 그의 인간에 대한 고민은 도덕 교육, 특히 도덕과 교육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전해준다. 교육인간학은 불연속적으로 실존의 순간을 맞이하는 존재의 의미와 연속적인 삶 속에서 분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인간학적 의미를 받아들인 도덕과 교육에서 교사는 불연속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와 인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학생과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며 존재의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볼노 교육인간학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곽영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2

        Philosophy of life and existential philosoph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life and existence in the flow of philosophy and ethics, which is the center of reason. O. F. Bollnow insists on educational anthropology based on philosophy of life and existential philosophy. His speculation about human beings giv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especially moral education course. Educational anthropolog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being in a moment of existence and the importance of atmosphere in a continuous life. In moral education, which accepts educational anthropological meaning, the teacher will be able to consider discontinuous aspects and enable a broad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o expand the meaning of existence by forming a positive atmosphere with students. 생철학과 실존철학은 이성 중심 철학, 윤리학의 흐름 속에서 삶과 존재의 의미를 되짚어 볼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볼노는 생철학과 실존철학을 토대하여 교육인간학을 주장하는데, 그의 인간에 대한 고민은 도덕 교육, 특히 도덕과 교육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전해준다. 교육인간학은 불연속적으로 실존의 순간을 맞이하는 존재의 의미와 연속적인 삶 속에서 분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인간학적 의미를 받아들인 도덕과 교육에서 교사는 불연속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와 인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학생과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며 존재의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곽영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asures of animal ethics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time and ethical background of animal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ethics education presented in the moral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example of how to apply animal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classes. Result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does not properly express the era and ethical background, questions about its sequence may be raised, and particularly, it does not present meaningful contents in the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animal term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 of the times, and the animal ethics theory of Singer, Regan, and Kant needs to be applied more actively. Conclusion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 times and ethical foundations, securing sequence. In particular,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include various practical approaches that are insufficient.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동물윤리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윤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덕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제시된 동물윤리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도덕 수업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적용방안에 대한 예를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배경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고, 계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의 접근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에 대한 노출 빈도는 시대적 관심에 부합하게 높여야 할 것이며, Singer, Regan, Kant의 동물윤리이론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결론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토대를 바탕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며, 계열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고, 특히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미흡한 실제적인 접근 방안들을 다양하게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벤야민의 아우라, 콘스텔라치온, 멜랑콜리, 알레고리, 지금시간 개념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

        곽영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벤야민 철학의 몇 가지 테마가 도덕과 교육에 전해주는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현대 사회 아우라 상실은 도덕과 교육의 위상 변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관점을 전해준다. 콘스텔라치온은 도덕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인식론에 대한 유의미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해준다. 멜랑콜리는 인간이 본연으로 내재하고 있는 슬픔과 어두운 부분에 대해 이전과 다른 도덕교육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알레고리는 거짓된 상징의 체계 속에서 다르게 말하는 도덕교육적 방법론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도덕과 수업에서 지금시간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several themes of Benjamin philosophy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loss of modern society's Aura conveys a new view regarding the status chang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Konstellation allows us to provide a meaningful direction for the epistemology that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ursue. Melancholie enables moral education access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ethod, which is to understand and care about the sadness and darkness inherent in human nature. Allegorie constructs a moral education methodology that can be said differently in a system of false symbols. As a result, we can emphasize again the importance of Jetztzeit in moral lessons.

      • KCI등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ethics regarding bioethics. First, I expl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bioethics domain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utilitarianism’ concepts Singer presents. Secondly, I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Kant's ethics in the domain of bioethics. Lastly, I suggest that Aristotle's virtue ethics should be realized in the domain of bioethic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his. Singer's argument brings up a new topic about the meaning of evolved life not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ethics. He presented undeniable opinions about human dignity that he took for granted. In addition, it is assessed that the scope extension for the life respect target has been reasonably achieved. Contrary to this, Kant's ethics explains the meaning of human dignity based on its metaphysical meaning. Furthermore, it provides an appropriate orientation for human life. Embracing their claims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aning of Good Life. The meaning of Good Life is likely to be resol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istotle's virtue ethics. The meaning of a being of substance is living and furthermore, it is inherent to being itself.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첫 번째로 싱어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가 생명윤리 분야 내에서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 칸트 윤리학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해 보고, 그럼에도 부족했던 관점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가 생명윤리로 실현되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의미를 제언하고자 한다. 싱어의 주장은 기존 윤리학사(倫理學史)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진화한 생명에 대한 새로운 화두를 던져준다. 그는 당연시 되었던 인간 존엄에 대해 부정할 수 없는 차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명 존중 대상에 대한 범위 확장을 합리적으로 이루었다고 평가할만하다. 이와 구분하여, 칸트 윤리학은 인간 존엄의 의미를 형이상학적 의미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더 나아가 인간 삶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들의 주장을 수용함에도 결핍되었던 삶의 의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의 적용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을 듯하다. 인간을 비롯한 존재자의 삶의 의미는 생명, 더 나아가 존재 자체에 내재된 것일 수 있다.

      • KCI등재

        일반적 신뢰와 관련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의미 연구: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곽영근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도덕적 신뢰를 토대한 일반적 신뢰를 이해하고 관련한 효과의 대표적 사례를 이론적으로 탐구하며 도덕교육에서의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의 신뢰 정도를 파악하여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신뢰의 주요한 개념으로서 도덕적 신뢰와 일반적 신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뢰와 관련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삶에서 플라세보와 노세보 효과, 도덕과교육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를 탐색하고, 일반적 신뢰를 통한 긍정적 기대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신뢰와 함께 일반적 신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뢰에 따른 효과의 의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도덕과교육에서 교사의 일반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의식적 접근의 당위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덕교육에서 일반적 신뢰는 인간 삶을 더욱 즐겁게(placere) 할 것이기에 관심을 가지고 의식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도덕과교육방법론의 목적에 대한 철학적 접근 연구 -초등도덕과교육과 교사를 중심으로-

        곽영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aning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for elementary moral subject education methodology being developed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Methods: To this end, the teachers’role in elementary moral subjects and elementary moral subject education as subject education were explored philosophically. In addition, the role of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methodology derived from the feature of elementary moral subject education and teachers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each item has a dual feature. It was confirmed that a clear understanding of this is required by all members. Conclus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first, explored the dual feature of elementary moral subjects and teachers, secondly, it confirmed the role of professo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ethodology, and thirdly, there was emphasis placed on the meaning of a new dimension beyond the general level of each item and particip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