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적인 길이 척도 환산에 대한 역사 · 문화적 재고

        김재효(Kim JaeHyo),강연석(Kang YeonSeok),고호경(Ko HoKyoung) 한국의사학회 2010 한국의사학회지 Vol.23 No.2

        Currently, in Korea, all lengths are written in “meter” unit, and the non-statutory measuring units are banned for use. However, in some fields, traditional measuring units are widely used with necessary modifications, and people in such fields raise varying arguments on conversion to “meter” unit. This research examines traditional measuring units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viewpoints, and provides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consistency and standardization for more accurate and effective exchange of scientific opinions.

      • KCI등재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통한 교사의 AI 교사와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분석

        고호경 ( Ko¸ Ho Kyoung ),허난 ( Huh¸ Nan ),노지화 ( Noh¸ Jihw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 Vol.60 No.3

        본 연구에서는 롤플레이 게임(Role-play Game) 개념을 차용한 역할연기발표(Role-play Presen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미래 교육에서 인간 교사-인공지능 교사 간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기대감을 시각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협업과정에서 성과 있는 토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수업 상황에서 인간 교사가 수업의 주도권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전제로 수업의 질적 향상과 개별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보조 도구로써의 인공지능 교사의 상호작용 요인들을 제안하고 있었다. As many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re expected to come, efforts are being made to draw the shape of the future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being employed to support the attempts. While many research studies use methods for deriving generalized results such as expert survey and trend analysis in along with a review of literature, there are attempts to apply the scenario methodology to explore ideas and information needed within a changing context. A scenario method, one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strategies, aims to seek various and alternative approaches by establishing a plan from the present conditions considering future changes. In this study,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the interactivity between human and AI teachers were visualized by applying the role-play presentation technique that grafted the concept of role-play game to the scenario method. In addition, the mandal-art method was introduced to support in conducting productive discussion during the teachers’ collaboration. This method appeared to help to depict teachers' perceptions of AI teachers in the detailed and concrete form, which may flow in the abstract otherwise. Through analyses of the teachers’ role-play presenta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madal-art method it was suggested that most teachers would want to collaborate with an AI teacher for improved instruction and individualized student learning while they would take the instructional authority over the AI teacher in the classroom.

      • KCI등재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남가영,맹은경,고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인)정 교과서 선정 과정을 살피고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1)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은 무엇이며 교과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교과서 선정 과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준과 실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 사이에는 차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정량 분석한 결과, 첫째,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된 기준이 교과별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기준별로 가중치나 배점을 달리하거나 교과서 선정 맥락에 부합하는 기준을 선별하는 등 교과서 선정 기준을 체계화하고 교과별로 특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준과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반영한 기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실제에 부합하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합리적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를 체계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ion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selecting textbooks and analyzes teachers‘ perceptions on evaluation areas and standards for selecting textbook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election criteria. A survey was conducted and 278 second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frequencies, cross-tabulation analysis, MANOVA, and paired t-tes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subject area, mostly used the general standard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en they were selecting a textbook for their school. Second, the degrees and orders of perceived value and applied value of the teachers on the general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ppeared different. Overall, they perceived 'Content Selection (4.02)’ as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nd 'Assessment (3.98)'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area. They considered, however, 'Content Selection (3.65)' and Content Organization (3.65)' the most important sub-standards, followed by 'Assessment(3.83)', when they were actually selecting their textbooks. In addition, 'motivating', 'appropriate levels of content', and 'appropriate amount of materials' were perceived, in that order, as important sub-standards. Third, the results of the above perceptions varied according to teacher subject area: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