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ipopolysaccharide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CC Chemokines 성성에 미치는 영향

        고현정,이상엽,이우철,백승호,배광식,임성삼,KO Hyun-Jung,Lee Sang-Yup,Lee Woo-Chul,Baek Seung-Ho,Bae Kwang-Sik,Lim Sung-Sam 대한치과의사협회 200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3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의 감염의 주요 원인들이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PS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치근단 염중의 발병에서 섬유아세포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한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를 추출, 정제한 후,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0.01, 0.1, 1, 10ug/ml 농도의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로 12, 24, 48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단백질 농도는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P. endodontalis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수준은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E.coil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양도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P. endodontalis LP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많은 양을 나타냈다.(p<0.05) 3.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MIP-1α 과 RANTES는 거의 분비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세균의 LPS로 자극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MCP-1의 강한 발현은 만성 치근단 염증의 초기에 단핵세포와 대식세포의 recruitment를 증가시키는 것고 관련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로 진단 받은 소아 중환자에서 vitamin protocol의 효과 비교

        고현정,정민재,김재송,손은선,유윤미,Ko, Hyun Jung,Jung, Min Jae,Kim, Jae Song,Son, Eun Sun,Yu, Yun Mi 한국임상약학회 2020 한국임상약학회지 Vol.30 No.3

        Background: Recently, a study comprising adult patients with sepsis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was conducted.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igh doses of intravenous ascorbic acid, thiamine, and hydrocortisone; the clinical outcomes demonstrated significant therapeutic benefits. The mortality rate in children with sepsis is approximately 25%. However, the effects of additional treatment with ascorbic acid and thiamine ("vitamin protocol") in children are rarely investigate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sepsis and admitted to the pediatric ICU (PICU) between September 2016 and June 2019.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eatment only as per sepsis protocol, whereas the treated group received both sepsis protocol and the vitamin protocol. The primary endpoint was change in Vasoactive-Inotropic Score (VIS) for 5 days. The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the length of stay in the PICU, duration of using mechanical ventilators and vasopressors, and mortality rate.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treated and control groups was 33 and 24, respectively. The treated group showed greater decrease in their VIS for 5 days than the control group (44.4 vs 18.6);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ngth of stay in the PICU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treated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10.0 days (Interquartile range (IQR), 6-18) vs 4.5 days (IQR, 4-10.3); p=0.004]. Conclusions: No significant treatment benefits were observed following vitamin protocol administration to the pediatric patients with sepsi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improv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vitamin protocol.

      • KCI등재
      • KCI등재

        슬롯을 이용한 이중 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고현정(Hyun-Jung Ko),김원규(Won-Kyu Kim),신재철(Jae-Cheol Shin),이학용(Hak-Yong Lee),정용식(Young-Seek Chung),천창율(Chang-Yul Cheon) 대한전기학회 2009 전기학회논문지 Vol.58 No.10

        In this paper, a dual-band antenna aim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as designed and measured.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s are GSM(870~960 MHz) and WCDMA(1920~2170 MHz) bands.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are performed for various design variables such as slot lengths. Using two meandering slots in the ground plane, we can obtain two higher resonant frequencies significantly with broader bandwidths. The measured maximum gain of antenna is 2 dBi in the GSM band and 2.45 dBi in the WCDMA band.

      • KCI등재

        조리조건에 따른 가지(Solanum melongena L.)의 영양 및 항산화 특성 연구

        고현정(Hyun-Jung Ko ),손천우(Tian Yu Sun),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2

        가지를 세 단계의 경도 범위를 갖도록 조리방법(끓이기, 전자레인지 조리, 찌기) 및 시간을 설정하여 조리한 후 시료의 항산화 및 영양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직감에서는 조리조건에 따라 탄력성과 부착성은 증가하고 응집성과 씹힘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지 껍질의 색은 끓이기와 찌기 조리에 의해서는 색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서는 모든 값이 대조군보다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끓인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나, 전자레인지나 찌기에 의해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찌기에 의해 세 단계 모두에서 대조군인 생가지보다 증가하였으나, 끓이기나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서는 대조군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가지의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클로로겐산 함량은 찌기 조리 이후 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전자레인지나 끓이기 조리 이후에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끓이는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총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자레인지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 내부구조의 붕괴가 두드러졌으며, 끓이기와 찌기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직과 세포벽에서 칼슘의 용출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조리방법에 따라서는 끓이기< 전자레인지 조리< 찌기의 순으로 칼슘의 용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지를 열처리하여 연화시키는 경우, 같은 경도를 기준으로 할 때 끓이기나 전자레인지 조리하는 것보다 찌는 경우에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총폴리페놀 함량, 클로로겐산과 칼슘 함량 등 영양 및 항산화 특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영양 및 항산화 특성은 증가하였으나 연화 2단계를 위해 17분 이상 찌는 경우는 다소 감소하였다. The nutritive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ggplant by cooking conditions based on hardness range were evaluated. Three cooking methods (boiling, microwaving, and steaming) with three different times were used, and cooked eggplant was freeze-dried for analysis. For color of peel, fading was most observed during boiling and least during steaming. Although raw eggplant showed hig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ase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both were further increased upon steaming but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boiling. The amount of chlorogenic acid in eggplant increased upon steaming and decreased upon boiling or microwaving. Notable cell wall collapse was observed in the microwaved sample compared to the other two cooking methods. Calcium elution from tissues or the cell wall was observed in all samples, and the amou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ooking time, especially by steaming.

      • SCOPUSKCI등재

        매작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당근가루 첨가효과 연구

        고현정(Hyun-Jung Ko),왕거(Qu Wang),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6

        전통 한과류 중 하나인 매작과의 품질특성 향상을 위해 밀가루 대비 당근가루를 0, 5, 10, 15, 20%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당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매작과의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바삭함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근가루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색도와 황색도가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15% 이상 첨가할 경우, 색차(ΔE)가 크게 증가하였다. 매작과의 산화특성에서 당근가루 첨가에 따른 항산화효과는 저장 4일째부터 나타났으며, 특히 당근가루를 15% 이상 첨가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과산화물가를 약 1/2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당근가루 첨가 여부에 대한 선호는 뚜렷했으나, 20% 첨가군에서는 색에 대한 선호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1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당근가루의 첨가는 매작과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모든 면에서 첨가량에 비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산패 특성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모든 품질 특성에서 향상효과를 보였다. The effect of carrot powder on Maejakgwa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physical, sensory, and oxidative properties of Maejakgwa after addition of varying amounts (0, 5, 10, 15, and 20%, based on wheat flour) of heat-treated carrot powder. Increasing carrot powder content led to an increase in hardness and color properties (based on ΔE* as well as a* and b* values) of Maejakgwa,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ittleness. Moreover,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sured acid and peroxide values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arrot powder, thus indicating that carrot powder had an antioxidant effect. In the sensory test, the sample containing carrot powder was more preferred in taste, flavor, and crispiness, with 15% of carrot powder being the most acceptable. In summary, carrot powder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of Maejakgwa, indicating that its addition leads to a qualitative enhancement of Maejakgwa.

      • KCI등재

        Tissue response of Pro-Root<sup>®</sup> MTA with rhBMP-2 in pulpotomized rat teeth

        박경태,양원경,고현정,김미리,Park, Kyung-Tae,Yang, Won-Kyung,Ko, Hyun-Jung,Kim, Mi-Ri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5

        이 실험의 목적은 백서에서 치수절단술을 시행시 MTA 시멘트 단독 사용군과 rhBMP-2 혼용 사용군 간의 조직 반응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32마리의 건강한 백서의 상악 양쪽 제 1 대구치를 사용하였다. 치수강을 개방한 후에 지혈을 시행하고 우측 제1 대구치에는 대조군으로 MTA 시멘트 1.2 g을 사용하여 치수절단면을 수복하였고, 좌측 제 1대구치에는 MTA 시멘트 1.2 g에 rhBMP-2 $1\;{\mu}g$을 첨가하여 치수절단면을 수복하였다. 그 후 광중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 충전하였다. 백서는 각 각 16마리씩 2주, 7주 뒤에 희생시키고, 병리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p < 0.05). 염증소견은 7주군보다 2주군에서 더 심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rhBMP-2를 첨가한 군이 MTA 단독 사용군보다 염증 소견이 적어 보였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MTA 시멘트 치수 절단술 시행시 MTA 단독 사용군과 비교시 MTA 시멘트에 rhBMP-2의 첨가하는 것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rhBMP-2 (BMP2) could induce synergistic effect with $Pro-Root^{(R)}$ MTA (MTA) in pulpotomized teeth in the rats. Healthy upper first molars from thirty-two, 10 weeks old,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investigation. The molars were exposed with round bur, and light pressure was applied with sterilized cotton to control hemorrhage. 1.2 grams of MTA cement was placed in right first molars as a control group. In left first molars, $1\;{\mu}g$ of BMP2 was additionally placed on exposed pulps with MTA. All cavities were back-filled with light-cured glass-ionomer cements. The rats were sacrificed after 2 weeks and 7 weeks, respectively. Then histologic sections were made and assessed by light microscop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via student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p < 0.05). Inflammation observed in 2 weeks groups were severe compared to the 7 weeks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MP2-addition groups had less inflammation than MTA groups in both periods, though these differences were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BMP2 and MTA showed no differences with MTA only for pulpotomy of rat teeth.

      • KCI등재

        인공와우이식 환아의 보호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장명렬 ( Myung Youl Jang ),고현정 ( Hyun Jung Ko ),유제복 ( Je Bog Yoo )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hildren`s guardian with cochlear implants in order to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cochlear implants.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potentially relevant website analysis, and validation by an expert group. Two out of twenty-two educational items under four domains that had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CVI) greater than 0.8 by the ten expert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After the children`s guardian participated in this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a specially designed booklet and DV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8 children`s guardia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ir knowledg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mean 15.0±3.02 vs. 19.0±0.93, Z= 2.371, p=.018). Satisfaction levels with the program was high, 4.1±0.87 out of 5. Conclusion: This newly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hildren`s guardian with cochlear implants is proved to be effective and can be used in nursing practic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eemed to be satisfied with the program. Furthermore, this program may also improve the effects of adult with cochlear implants.

      • 초고온 미생물 발효 배지의 총균수 시험 및 16s rRNA sequencing 기법을 이용한 Metagenome analysis 분석

        권영준 ( Young-jun Kwon ),권준형 ( Jun-hyung Kwon ),고현정 ( Hyun-jung Ko ),안희섭 ( Hee-seop Ahn ),박병주 ( Byung-joo Park ),최인수 ( In-soo Cho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구제역 발생시 이동제한 지역 내 발생하는 가축분뇨는 살처분 종료 후 3주 동안 발병하지 않을 때 가축분뇨 공공처리장으로 옮길 수 있다. 그로 인해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이동제한 발동시 돼지농가에서 가축분뇨가 축적되어 농가들의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 구제역 발생시 이동제한 지역내 발생하는 돼지 분뇨는 화학적 분뇨 소독처리 방법 또는 구덩이에 방수포를 깔아서 매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매몰 방식으로 처리시 매몰된 돼지 분뇨에서 침출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화학적 분뇨 소독처리 방법은 활성 오니 미생물 사멸, 교반의 어려움, 침출수 발생 등의 한계점이 있다. 초고온 미생물 발효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분뇨 처리법은 미생물의 발효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최고 100℃ 이상의 초고온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친환경 공법이다. 돼지 액상 분뇨 및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성된 산물을 비료로 자원화할 경우 돼지 액상 분뇨로부터 유입되는 병원체의 검출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병원체의 유무를 검정하기 위한 기존의 선택배지를 이용한 세균 검정법은 특정 병원체만 검정할 수 있으므로 기준 시험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병원체를 검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샘플링의 방법에 따라 검출유무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16S rRNA sequencing 기법을 활용한 metagenome analysis는 샘플링된 시료 전체의 유전자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DB에 등록되어있는 모든 세균의 분포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 장점을 활용해 액상분뇨처리 전후의 초고온 미생물 발효 배지의 세균 분포를 분석하여 사멸되지 않은 균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6s rRNA를 이용한 metagenomic sequencing을 통해 액상분뇨 처리 전후의 초고온 미생물 발효배지의 species richness, taxonomic assignment 데이터를 확보하여 미생물의 다양성과 배지 내 분포하는 분류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