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미 속성을 중심으로 한 명사 교육 내용 연구

        고춘화 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os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Korean nouns. The nouns are related to the methods of human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semantic classification to compare, analyze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nouns and to extract characters of the nouns in order to mak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nouns more effectively. There are Substance, Non-Substance, Living-things, Abstract in semantic properties of the nouns which are associated with semantic-syntactic characteristics. It is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the noun education must be composed to use semantic properties of the nouns-the semantic structure, the event structure, arguments, bare-predicative nouns, the abstract nouns, cohesive device.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Noun is related to the conform the mental lexicon of the native and it is very important. The educational contents directly 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thinking ability. The study of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s of nouns with the ontological meaning and semantic properties is useful to improve the nouns education.

      • KCI등재

        국어사 교육 내용의 실현 양상과 교육 방법 연구

        고춘화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rediscover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Korean history education has been the part that needs further discuss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discussions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nd Korean Language culture is to seek and exp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history. This article has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s established by justification as a national language, language awareness and the creation of culture, and higher thinking skills and the pleasures of language exploration. I analyzed the texts and 2007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I found out that it did not include the awareness of the sounds in an old language and it is necessary to seek the combin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inquiry instructions considering a language acquisition as a natural process. The criteria of the effective ways of teaching Korean history education were the consideration of natural language learning steps, facilitating the process of learners' knowledge construction, and stepby-step approach of sound, meaning, and grammar. An effective education model of Korean history was designed by these criteria.

      • KCI등재

        언어적 삶과 ‘국어 공부’의 본질

        고춘화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21세기 전자말의 시대, 개인적 삶과 앎에 국어 공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인간 존재의 양상은 개인과 공동체, 구술성과 문자성, 시각과 청각, 개별과 보편의 갈등 속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났다. 입말과 글말, 그리고 전자말의 발전은 우리의 존재 이해 방식의 변화를 이끌어 왔으며 언어적 존재로서 개인의 삶에 관심을 두게 한다. 여기에서 국어는 언어적 중간 세계를 형성하며 국어 공부의 과정이 인간의 자아완성을 추구하는 삶의 경로와 함께 한다고 본다. 국어 공부는 개인의 총체적 삶의 성장이다. 국어는 개인의 사고와 감정을 내밀하게 담는 개인어로서의 성격과 타인과 소통하고 의미를 공유하는 사회어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따라서 국어 공부는 개인의 자아완성과 사회의 성숙으로 이어진다. 이를 위해 ‘나의 언어 이해 — 언어의 주체성 인식 — 언어의 소통과 교류 통찰 — 사회적 언어 작용 확장’의 길을 설정하였다. 언어에는 그 사람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그 사람의 언어의 한계는 그 사람의 세계의 한계라고 말한다. 따라서 국어 공부 자체는 개인의 삶의 지층이며 동시에 그 사람의 세계의 지평의 확장인 것이다. 국어 공부는 인간이 자신의 삶에서 끊임없이 의미를 탐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목적이기도 하다. 언어적 존재로서 개인이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 세계와 교섭하며 살기 위해 국어 공부는 필연적이다. 따라서 국어 공부를 위한 능력을 함양하는 국어 교육은 다가오는 미래 시대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가치를 지닌다. In the 21st century, the age of media language, ‘Korean-language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sonal life and knowledge.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language, the aspects of human existence have been combined conflicts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oral and literal, visual and auditory, and individual and universal. The development of voice, writing and media words has led to changes in the way we understand our existence and has led us to pay attention to individual lives as linguistic being. Korean language forms a linguistic world of the native speaker and ‘Korean language study’ is in line with the course of life in pursuit of human self-realization. ‘Korean language study’ is the growth of an individual's whole life. The Korean language has both a personality as an individual language that express one’s thoughts and emotions out, and a social language that communicates with others and shares meaning.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y’ leads to the self-completion of individuals and the maturity of society. To this end, the path to ‘Understanding my language — Understanding the subjectivity of language — Insight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of language — Expanding the Social Language Action’ be established. The language contains the person’s voice. ‘Korean language study’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humans to constantly explore meaning in their lives. As a linguistic being, studying Korean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to live and interact with the world.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fosters the ability to study Korean language, still has significant value in the coming future era.

      • KCI등재후보

        글의 사고과정 해체를 통한 논증문 읽기지도 연구

        고춘화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07 국어교육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o teach reading of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writer's thinking process. Many students do not know how to argue for their views on issues based on rational reasons and only write out stereotyped statements when they are asked to write argumentative essays. Students need to learn how to think for themselves and to form their own views in a responsible way. The ability to express to support their views could be developed by learning how to write argumentative essays.This research compares four different views on argumentative essays and clarifies some definitions of argumentative term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ng elements of augumentative essays. It also applies the four views to analyzing an essay and chooses Dr. Lee's model most suitable for Korean students.Through the research, I arrive at a conclusion that critical reading should come first in order to write argumentative essays and practice following writer's thinking process. In this step, teachers should specify the problem-solving process to students. In addition, meta- cognition is recommended to realize and examine students' thinking process.In summary, teaching writing needs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teaching reading and teachers should focus on cultivating students' abilities to think critically and creatively.

      • KCI등재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정체성

        고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Grammar education has explored various answers on how to look at language and with what language to be looked at. In the process, unit of language dealt with in grammar expanded from sentence to unit of text. Accordingly, grammar education became interested in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human society - in the past, grammar education dealt with language as autonomous system. Change in perspective about language led to expansion of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and improved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grammar education and other domains. In this writing, identity of grammar education is being sought in exploring natur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hapter 3, nature of grammar education was explored in grammar education as philosoph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essential ques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at is Korean language?’ can be solved in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classical value by making content of existing grammar education firm in the core content while expanding and re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where other areas can be integrated. This writing divid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 natural content,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language and formation of spirit. And th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tent in content aspect of Korean language be strengthened. And as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areas, functional grammar and expressional grammar were suggested. 문법에서 다루는 언어의 단위는 문장에서 텍스트 단위로 확장되었고, 문법 교육은 언어를 자율적인 체계로만 다루던 데에서 언어와 인간․사회의 관련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언어관의 변화는 문법 교육의 내용 확장으로 이어지고, 문법 교육과 다른 영역과의 통합 가능성을 높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었다. 문법 교육의 정체성은 문법 교육이 국어교육철학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문법 교육은 국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철학의 근본적 토대를 이루는 영역이다. 문법 교육의 내용은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국어 사용의 규범과 국어 사용의 바른 수행,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문법 교육의 본질적 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질,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 내용 측면의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다른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기능 문법과 표현 문법과 관련된 내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모국어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그 내부 기반으로서의 문법 교육은 재해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어휘 수업 개선을 위한 추상어 교육 방안 연구

        고춘화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2

        This paper is the suggestion of the application to vocabulary teaching class on cognitive linguistic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comprehend abstract vocabulary of advanced lexical competence. A mental lexicon is a network that represents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s and the world knowledge. In vocabulary teaching it is necessary the denotative converts the connotative. The direction of the vocabulary teaching is based on the Cognitive Linguistics. The teaching methods of vocabulary are as follows. 이 글은 교실 현장에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실제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학습자가 구체어가 많은 글보다는 추상어가 많은 글을 더 읽어 내기 더 어려워하고 의미적인 엮음을 하기 힘들어 하므로 추상어를 어휘 수업 현장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추상어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기존에 이루어진 어휘 교육이 어휘의 뜻 찾기 교육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으로 낱말 깁기 검사의 활용, 머릿속 사전의 구체화 방안으로서 브레인스토밍과 사전적 정보의 활용, 추상어를 은유의 기제로 구체화시키는 연습, 추상의 사닥다리에서 상위 단계의 어휘를 하위 단계의 어휘로 전환시키는 활동, 의미 속성을 적극 활용하는 방법 등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서 실제 활용하고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선행 어휘력에 따라 수준별로 각각의 교육 방안을 단계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어휘 교육과 관련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방언 교육의 내용과 방향

        고춘화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8

        Based on how dialect acts as a marker of speaker identity in actual language life, this study propose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Previous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organize dialect education. The process in which dialects influence the speaker's identity and self-composition in the speaker's communication scene was investigated. Dialect education was presented in two directions: the level of life and the level of knowledge. At the former,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recognizing the identity of the local speaker were proposed together, and at the latter, the contents of deep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dialects were proposed. In the practice of dialect education, educational methods such as observation and collection of dialect data, analysis of such data, and practice of dialect life with an identity were suggested. A dialect education well done at the aforementioned levels will awaken the identity as a local speaker, recognize the dialect as one of various linguistic phenomena, and lead an independent linguistic life by balancing the relevance to the standard language. 이 연구는 입말 담화로서 방언이 갖는 구성적 기능과 방언이 화자 정체성의 표지로서 실제 언어생활에서 작용하는 양상에 기반하여 방언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방언 교육의 내용과 관점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화자들의 소통 장면에서 방언이 화자의 정체성과 자아 구성에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지역 화자에게 유의미한 방언의 특성을 찾고, 방언 교육의 교수·학습 방향을 방언의 일상성과 실제성 인식, 소통과 지역 화자로서의 정체성 인식, 방언에 대한 깊은 이해와 탐구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수·학습의 예로 방언 자료의 관찰과 수집, 방언 자료의 분석, 정체성 있는 방언 생활 실천하기 등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앎의 층위와 삶의 층위에서 잘 이루어진 방언 교육은, 지역 화자로서의 정체성을 일깨우고 방언을 다양한 언어 현상의 하나로서 알게 할 것이며 표준어와의 관련성을 균형감 있게 인식함으로써 주체적인 언어적 삶을 영위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 문법의 목적과 성격 연구

        고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inking functions of grammar, to establish the frame of the the pedagogical grammar by illuminating the elements of contents of logic and thinking processes and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is, I sought practical methods in real classroom. To perform it, I reestablished the purpose of the pedagogical grammar, and build the frame by clarifying the levels of Korean sentence generation process. In addition, I took thinking functions of Korean grammar from modality and constructed the contents of the pedagogical grammar to correspond with the purpose and frame of education. It is established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the pedagogical grammar. I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on grammar education, pointed out that these studies still stuck to necessity of teaching students grammar knowledge,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contents of the pedagogical grammar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grammatical competence. Conceptualism and general semantics found out that a language did not exist by itself but was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speakers had of the world. Therefore, I demonstrated in the concrete that the purpose of the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to develop and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think right with logic and express right with objectivity. Furthermore, I found out it in speakers' locutionary acts that Korean grammar worked as the frame that Korean speakers perceived the world with and the elements of grammar were selected by how speakers perceived the world. Ultimately, I suggest that the pedagogical grammar not only has the aspect of Korean's thinking grammar but are als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이 논문은 문법 교육의 정체성과 그 교육적 가치를 정립하기 위해 사고 문법으로서의 교육 문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교육 문법의 필요성을 살피고 기존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교육 문법의 목적을 ‘바르게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춘 학습자의 양성’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문법의 성격을 모국어 화자가 사고하는 도구로 설정한 후 이러한 모국어 문법의 기능을 문법의 사고적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근거로 문법이 화자가 세계를 인식하는 틀로 작용하고 화자가 대상 세계를 인식하는 관점을 구축하는데 작용한다는 연구 성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세계 인식의 과정에서 화자의 언어 작용은 의미의 사용과 기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고 보았다. 요컨대 교육 문법은 교육적 가치를 표상한 문법으로 이는 문법의 사고적 기능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현함으로써 학습자가 문법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바른말과 바른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핵심 바탕이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의미 생성 기능 중심의 전제 교육 내용 연구

        고춘화 한국중원언어학회 2019 언어학연구 Vol.0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on the level of language, thinking, and life by conceptualizing presuppos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ts function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resupposition is background information shared by language participants as well as a basic meaning for logical meaning. Since the presupposition is a hidden meaning that is not easily displayed on the surface of a sentence, language participants should recall and restore the meaning from a clue. The presupposition education aims to create a mature linguistic self.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followings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of presupposition: to learn how to create presuppositions, to learn how to think logically, and to interpret lives and the world in various ways. The presupposition education enables learners to fully understand and create meaning, to form logical thinking, and to reflect on various aspects of the world and our lives by observing and interpreting the hidden side of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