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의 고도를 고려한 확률강우량 산정

        고재욱 ( Jae Wook Ko ),양성기 ( Sung Kee Yang ),정우열 ( Woo Yul Jung ),양세창 ( Se Chang Yang ) 한국환경과학회 201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3 No.4

        Jeju Island, a volcanic island, is the region that shows the biggest rainfall and has a big elevation-specific deviation of precipitation, but Jeju Island River Maintenance Plan does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s it only calculates probable precipitation from four weather stations with elevation less than 100m. Therefore, this study uses AWS observational data in four Jeju Island weather stations and other regions to calculate location-specific probable precipitation, review the elevation-probable precipitation correlation in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and create a probable precipitation map for all regions of Jeju Island, in order to produce better outcom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most basic data to establish a safe Jeju island from flood disaster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climate changes and widely used for Jejudo Basin Dimension Planning, River Maintenance Plan, Pre-Disaster Impact Review, etc.

      • 孔子社會思想的現代的轉換

        고재욱(Ko Jae-W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江原人文論叢 Vol.17 No.-

        이 글은 현대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공자의 사회사상이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구상되었다. 공자의 사회사상은 항상 현실에 바탕을 두고 인간 존중과 사랑을 근본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사상이었다. 그리하여 그것은 시대가 바뀌면 언제나 다시 등장하여 미래 중국의 길잡이가 되었다. 현대 사회는 동서양 어느 곳을 막론하고 인간과 사회가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價値觀의 顚倒와 도덕질서의 붕괴·정치적 불안·식량부족과 飢餓문제·교육의 불평등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공자가 꿈꾼 사회는 대동사회였다. 그러나 그는 먼저 그 앞 단계로서 비교적 안정적인 小康社會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그 理想을 교육의 평등·禮를 통한 사회질서 회복·仁政과 德治를 통한 사회 안정화·민생 중시 경제윤리 공평한 정치를 바탕으로 한 경제정책을 통해 실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의 사회사상은 당시로서는 너무 理想的이었다. 그리하여 비록 그의 사회사상이 富國强兵에 血眼 되어 있던 위정자들에게 採用될 기회는 없었지만 그것은 중국 역사상 轉換期 때마다 다시 나타나서 理想鄕을 제공하는 모델이 되었다. 우리는 물론 봉건제도를 회복하자는 공자의 사회관을 그대로 받아들일수는 없다. 그러나 仁과 禮를 통한 도덕성의 확립이라든가 교육의 평등화 그리고 위정자의 仁과 德을 통한 사회 안정화라든가 민생문제와 경제윤리를 통한 경제정책 등은 현대사회에서도 받아들여서 이용할 수 있는 좋은 사회사상이다. The basic idea of this thesis is that Confucian thought of society could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Confucian thought about society is a humanistic view based on respect and love for human with realistic perspectives. For this reason, his philosophy always can meet the demands of a new era, playing a guiding role for the future China. These days,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human and society throughout the world, regardless of the East or the West, which poses problems such as the overturn of value, the collapse of moral order, political instability, food shortage, famine,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and so forth. The society Confucius dreamed of is a great harmonious society(大同社會). However as a first step forward to it, he tries to realize a comparatively well-off Society(小康社會). He believes that this ideal can be fulfilled through the equality in education, the recovery of social order by courtesy (禮), the social stability through the policy of benevolence(仁政) and virtuous ruling(德治), and economic policy based on economic ethics improving people's livelihood and fair politics. However, his thought about society was too ideal in those days. Therefore, although his thought had no opportunity to be adopted by the politicians who were obsessed by promoting wealth and military power of their nation, it became the model providing the Utopia every historical turning point in China reviving its influences. We could not adopt Confucius view of society claiming the recovery of feudalism. However, as he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morality through benevolence and courtesy, equality in education, social security through ruler's benevolence and virtue, and economic policy through promoting people's livelihood and economic ethics are as fine thought as to be accepted and employed in these days.

      • 노인의 여가ㆍ문화 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

        고재욱(Ko, Jea-Ug)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2012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Vol.2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노인 여가?문화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하여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노인들이 보다 행복하고 성공적인 노인 여가?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마련하여야 될 것이다. 첫째, 노인 여가?문화 관련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 여가?문화 관련 전담기구의 설치가 요구된다. 셋째, 노인 여가?문화 교육의 확대 및 홍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노인 여가?문화를 위한 물적, 인적 인프라의 확대가 요구된다. 다섯째, 노인 여가?문화산업의 활성화이다. 여섯째, 친환경성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노인 여가?문화의 개발이다. Senior Leisure and culture on a more systematic plan of action prepared by the communities, at the national level to revitaliz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ts objective is to present the research. Findings elderly people more happy and successful Senior Leisure and culture to achieve the national level, the following policies will be provided. First, Senior Leisure, Cultur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nior Leisure Culture Task Force installation is required. Third,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promotion of elderly leisure and culture to come up with measures to Fourth, Senior Leisure and culture of physical and human infrastructure expansion is required. Fifth and elderly, leisure and culture industries is activated. Sixth, leisure, eco-friendly and suitable for ubiquitous environments elderly. Development of culture.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고재욱(Ko, Jea U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보육교사가 어떤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유형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극복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를 통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10명의 참여자들의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은 2011년 8월에서 10월 사이에 일대일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작업을 수행하면서 제시된 단계를 충실히 따르고자 했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념 및 범주화 자료 분석을 실시했다. 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의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는 보육시설 내에서 보육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원, 긍정적 표출,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는 학부모의 교육을 통해서 교사와 학부모 간의 신뢰를 쌓은 것이 필요하다. 셋째는 체계적인 보육교사 자격발급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개선과 적절한 보상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study of childcare teacher working in childcare cent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labor 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hildcare teacher experience working in some situations, emotions, and feelings caused by work to prevent burnout is to provide a basis for. First, the feelings of childcare teacher find out about the types of labor. Second, th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suggests ways to overcome. Finally, childcare teacher with feelings of relief work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is to provide. This study of 10 participants took place in-depth interviews, data collection in August-October 2011 was done through one-to-one interviews. Grounded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hile working at the same time faithful to follow the steps outlined were: In open coding paradigm based on the concepts of the theory and categor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Childcare teacher in day care in order to resolve the emotional labor of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or childcare teacher in day care and emotional support, expressing a positive, professional support is required to secure. Secondly, through education of parents and gained the 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s necessary. Third, the systematic process of issuing qualified childcare teacher is needed. Finally, childcare teach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ust be accompanied by appropriate compensation.

      • KCI등재

        대법원 어린이집 아동학대 판례분석과 담론

        고재욱(Ko Jea-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오늘날 어린이집의 아동학대가 지속 발생하면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법원 판결문을 통하여 어린이집 학대 판결사례를 분석하여 법원의 아동학대 법정서와 학대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어린이집 학대 판례는 대법원 홈페이지 종합법률정보 및 법원도서관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검색 주제어로 어린이집, 보육교사, 학대 어를 주제어로 하였다. 대법원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판결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 훈육에서 학대행위 판결은 신체적으로 팔을 세게 잡는 행위에서 개인적인 교사의 정상적인 보육지도 방법과 강압적인 행위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정서적 학대행위로 훈육이란 보육지도 방법으로 교구장 위에 아동을 앉혀서 아동에게 공포감과 다른 아동에게 소외감을 준 사례로 유죄를 인정하였다. 셋째, 훈육 지도 방법으로 신체적 강압을 통한 보육 지도는 건강 및 정상 발달 저해 행위로 정당행위로 보지 않는 사례로 판결하였다. 넷째, 입을 주먹으로 때리거나 귀를 잡아당기거나 머리를 주먹이나 손바닥으로 때리는 등 아동에 대한 신체적 학대 행위는 벌금과 더불어 40시간 아동학대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판결하였다. 다섯째, 낮잠을 자기 위해 누워있던 아동에게 휴대전화로 무서운 영상을 보게 하여 공포심 유발은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가 된다고 판결하였다. 결론은 법원의 어린이집 학대 판례를 통하여 법정서와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 학대을 명문화하는 규정과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as child abuse continues to occur in daycare centers today.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the cases of child care abuse judgments through court judgments to raise awareness of the court s child abuse court and the prevention of abuse. In this study, child care center abuse case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Supreme Court website s comprehensive legal information and court library website. The keywords for the search were daycare centers, nursery teachers, and abuse. The Supreme Court website was searched to analyze the judgment on the child abuse case at the daycare center.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judgment of abuse in child discipline was influenced by the normal child care guidance method and coercive behavior of individual teachers from the act of physically gripping the arm. Second, it was recognized guilty as a case of giving a child a feeling of fear and alienation to other children by placing a child on the diocesan as a child care guidance method called disciplinary action as an emotional abuse. Third, it was judged that child care guidance through physical coercion as a method of disciplinary guidance was not considered a legitimate act as an act that hindered health and normal development. Fourth, for physical abuse of children, such as hitting the mouth with a fist, pulling an ear, or hitting the head with a fist or palm, a fine and a 40-hour child abuse treatment program were judged. Fifth, it was ruled that a child who was lying down for a nap to watch a scary video on a mobile phone would cause fear to be an emotional abuse that harms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gulations and guidelines that stipulate the emotional abuse of the court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rough the court s case of child care abuse.

      • KCI등재

        노인의 인터넷 중독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재욱(Ko, Jea Ug),김수봉(Kim, Soo Bo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를 앞두고 우리나라 노인들의 신종 중독문제를 예방하고자 노인의 인터넷 중독실태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양적 증대를 넘어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 내 복지관, 문화센터, 경로당, 기타 지역에서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노인 인터넷 중독 정도는 평균 36.16점(SD=10.02)이며 최소 20점에서 최대 65점의 분포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컴퓨터 이용시간(β=.248, p<.001), 월용돈(β=.180, p<.01), 연령(β=.139, p<.01), 사회적 지지(β=.087, p<.05), 자기효능감(β=-.078, p<.05), 주이용 장소(β=-.116, p<.05), 가족관계 정도(β=-.147, p<.01), 주택형태(β=-.153, p<.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의 설명력은 17.6%로 나타났다. 즉 컴퓨터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월용돈이 많을수록, 주택이 자가가 아닌 경우, 가족관계 정도가 낮을수록, 주이용 장소가 집이 아닌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정도를 증가시키는 예측변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통해서 인터넷 중독 노인을 대상으로 집단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인터넷 이용 관련 매뉴얼을 제작 및 배포하여 중독 관련 요인에 따른 사례별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잠재적 위험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예방적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head of the aging society in Korea to prevent problems of the elderly aged new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quantitative increas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beyond that aims to promote. To this end, residents in Seoul over the age of 60's targets, local welfare, cultural centers, senior centers and other research in the area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survey. Findings The averag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elderly 36.16 points (SD = 10.02) and the distribution of at least 20 points to 65 points, respectively.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s a computer time (β = .248, p <.001), mon allowance (β = .180, p <.01), age (β = .139, p <.01) and social support (β = .087, p <.05), self-efficacy (β = - .078, p <.05), most used location (β = - .116, p <.05), degree of family relationship (β = - .147, p <.01), housing type (β = - .153, p <.01), were of the order, this factor was 17.6% of the variance. In other words, the more computer time, the higher the age, the more mon allowance, housing is not self, the lower the degree of family relationship, the house is not a place most used, lower self-efficacy, social support is high As increasing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was thought to be the two predictor variables. Survey results to target the elderly through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psychotherapy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anuals related to Internet use and addiction-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case-by-case Case management services are tailored to be done, and the Internet in general for seniors potential risks related to use in training and preventive services for the elderly will need to be made.

      • KCI등재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고재욱 ( Jea Ug K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4

        현대사회는 노년기 부부가 함께 보내는 기간은 양적으로 매우 늘어나고 있지만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부부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다. 성공적이고 행복한 노년기 부부의 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삶의 의미를 만들어내야 하는 학습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1개 기관에서 2010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간 참여한 10쌍의 노인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으며, 총 33회기동안 프로그램과정을 녹취하고, 기록한 원 자료로 삼았다. 따라서 앞으로 노인전문기관에서는 노인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할 수 있는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노년기의 부부 관계개선프로그램은 노년기 부부들의 개인성장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부부갈등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부의 공동여가찾기를 통하여 노년기 부부의 여가활동은 부부관계개선에 큰 효과가 있었다. 넷째, 본 개발 프로그램이 일반 노년기의 부부에게는 부부문제 예방효과를 갈등부부에게는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arried enrichmen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lives of the elderly married couples.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t an elderly welfare center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 elderly married couples in 2010. The study is based on a group program,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learning process of elderly married coup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ples tried to engage in self-actualization activities much more, and they found satisfaction in life through their relationship. However, the men stayed in their fixed traditional role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the elderly participants had a chance to reflect and to project themselves. Second, it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ir marital relationships. Third, finding a couple`s joint leisure activities throughout the ye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couple`s marital relationship. Fourth, a conflict prevention effects was not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의사결정능력과 자기결정권에서 후견인제도 도입 고찰

        고재욱(Ko, Jae-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1

        2013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새로운 후견제도 도입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의사결정과 자기결정권리보장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인간 존엄의 핵심은 개개인이 자신의 존엄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의사결정능력을 결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결정권 보장, 후견제 도입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의사결정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실상 부족하였다는 문제인식하에 의사결정능력 판정 기준과 원칙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현장에서 취약계층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데 이러한 원칙들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시사점을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후견인(전문직 후견인, 시민후견인 등)의 역할, 특히 가족과 독립되어 있는 제3자 후견인의 역할 중 하나는 피후견인의 재산과 신상을 가족이나 제3자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후견인의 역할이 의미하는 것은 국가로부터 선임된 후견인이 피후견의 가족관계나 사회관계에 적극적 보호목적으로 개입할 권한이 부여됨을 의미하며, 후견인 역할의 내용에 있어서도 후견인의 임무가 소극적 재산관리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적극적 신상보호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특히 장애인, 노인에 대한 인권침해는 시설에서뿐만 아니라 가족 내에서도 더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제3자 후견인의 경우 피후견인의 신상보호자로서의 역할, 권리옹호기관으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할 것이다. Conducted in July 2013 and the introduction of a new guardianship system decision-making and self-determination of a development of child with a disability is an important challenge is to guarantee the right. The core of human dignity, the dignity of the individual with respect to his that they should be able to decide for themselves. Meanwhile, this study lacks decision-making capacity in the country and ensure self-determination for the people, after the introduction of checks and lively discussion about decision making progress. However the discussion of how to evaluate whether the problem was in fact recognized under the doctor shortage principles and criteria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bility of our country vulnerable in the field to ensure the self-determination of how these principles can be combine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purpose of getting to be. The Guardian (Guardian professions, including civil guardianship) role, especially families with independent third-party custodian's role in one of the ward's personal property and family and will protect you from third parties. This means that the role of the guardian appointed guardian of the blood from the State under the tutelage of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to actively intervene was granted to the purpose of protection means, and even information about the role of the guardian Guardian Wealth Management's mission is modest in Rather than focusing on personal protection unexpectedly aggressive means. In particular, the disabled, the elderly, as well as facilities for the human rights violations are occurring more frequently within the family, because in the case of a third-party custodian role of ward's personal guardian, as the role of advocacy organizations will be more important.

      • KCI등재

        공정 트러블에 따른 안전장치 선택방법에 관한 연구

        고재욱(Jae Wook Ko),정인희(In Hee Jung),정상용(Sang Yong Jung) 한국가스학회 2009 한국가스학회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Risk-based design개념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설계방향을 제시하고 현존하는 법에 더욱 안전한 방향으로 법안이나 규격을 수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안전설계 부분의 초기설계 집중도 및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체계화된 안전설계 요소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Advanced Safety Analysis Table (ASAT)을 개발하였다. 또한 ASAT를 토대로 공정 트러블에 따른 안전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SAT, 공정 트러블에 따른 안전장치를 선택방법의 사례 연구로 NCC(Naphtha Cracking Cent앙) 공정의 PGC(Process Gas Compressor)에 대한 ASAT를 구축하고 공정 트러블에 따른 안전장치를 선택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This study reflects the concept of risk-based design to present a systematic design means and a method to adjust regulations and standards towards a more reliable direction within the current law. In order to enhance the early design concentration and level in the part of safety design, a new Advanced Safety Analysis Table (ASAT) was develop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ystematized safety design element from the early design phase. Furthermore, a guideline was put forth about the selection of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process trouble, on the basis of the ASAT. To apply the proposed ASAT and the selection method of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process troubles, the ASAT was executed for the PGC (Process Gas Compressor) of the NCC (Naphtha Cracking Center), and the result of selecting the safety device was analyzed according to process trou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