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협력 노드 선택 기법

        고상,이주현,박형근,Gao, Xiang,Lee, Juhyeon,Park, Hyung-K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2

        인지무선통신(Cognitive radio, CR)은 사용하지 않는 대역을 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여기서 CR 사용자는 주사용자와 동일한 스펙트럼을 공유하면서 주사용자에 대한 간섭을 최대한 배제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각 CR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지역을 센싱하는 것으로 스펙트럼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CR 사용자가 다중 경로 페이딩이나 섀도잉와 같은 불확실한 무선 환경에 있을 경우 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때 협력 센싱 기법을 활용할 경우 이러한 무선환경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 센싱 판정을 위해 연판정 기법을 활용할 때 주어진 시스템 요구치를 만족하면서 detection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력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SNR이 상대적으로 높은 협력 노드에 가중치를 주는 maximum ratio combining(MRC) 방식으로 최적의 협력 노드를 찾았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시스템 요구치에 부합하는 최적의 센싱 노드를 선택할 수 있었다. Cognitive radio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dynamically access unused-spectrum. The CR users can share the same frequency band with the primary user without interference to each other. Usually each CR user needs to determine spectrum availability by itself depending only on its local observations. But uncertainty communication environment effects can be mitigated so that the detection probability is improved in a heavily shadowed environment. Soft detection is a primary user detection method of cooperative cognitive radio networks. In our research, we will improve system detection probability by using optimal cooperative node selection algorithm. New algorithm can find optimal number of cooperative sensing nodes for cooperative soft detection by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MRC) method. Through analysis, proposed cooperative node selection algorithm can select optimal node for cooperative sensing according to the system requirement and improve the system detection probability.

      • KCI등재

        가정대체식(HMR)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고상아(Ko Sang A),정유화(Jeong Yu Hwa),강경태(Kang Kyung Tae) 한국식공간학회 2018 식공간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대체식(Home Meal Replacement)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조사하여, 가정대체식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어떻게 발전했으며, 이에 따른 연구가 어떤 방향들로 진행되었는지 파악하고 연도별, 연구 목적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 지역별로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가정대체식과 연관 있는 국내 학술지 연구 논문 중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되어지는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되거나 등재후보인 논문들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정대체식과 관련된 논문들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개재되었으며, 2005년부터 2010년 사이에는 10편(18.5%),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는 26편(48.1%)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2016년과 2017년에는 17편(31.5%)으로 최근 몇 년간 가정대체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정대체식 연구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에서는 54편의 분석대상 중 양적 연구가 42편(77.8%), 질적 연구 6편(11.1%), 혼합 연구 4편(7.4%), 문헌 연구 2편(3.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대체식 연구 대상 지역별 연구 동향에서는 대도시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23편(54.8%), 기타 지역에서 14편(33.3%), 해외 3편(7.1%), 중소도시가 2편(4.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대체식 연구의 목적별 연구 동향에서는 54편 중 소비자의 선택속성 파악 및 차이가 29편(53.7%), 마케팅 전략이 11편(20.4%), 제품 개발과 산업 및 시장이 각각 6편(11.1%), 개념 및 분류가 2편(3.7%)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 관점에서 가정대체식 연구 분야의 기초정보를 제공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home meal replacement and to understand how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esearch has developed and the research has proceeded in categories of yearly based, purpose, method, and the area of research. Among the national journals related to the home meal replacement, papers listed or listed as candidates at least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were considered reliable in this study. The primar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icles related to the home meal replacement were introduced from 1998 to 2017 with 10 (18.5%) between 2005 and 2010 and 26 between 2011 and 2015 (48.1%). In 2016 and 2017, 17 (31.5%) of the articles were made. Second, in the research trends of methods of home meal replacement study, there were 42 (77.8%)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six (11.1%) of the qualitative study and four (7.4%) of mixed, and two literature studies (3.7%). Third, 42 studie swith quantitative research were selected among the total 54 studies and after reviewing regional trends, we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in large cities took up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Of the total 42 studies, 23(54.8%) were made in large cities, 14(33.3%) were in other areas, 3(7.1%) were from abroad, and 2(4.8%) were in small and medium cities. Fourth, in the research trends of the purpose of home meal replacement study, we found 29 items (53.7%) of selected attributes and differences of consumers, 11 items of marketing strategy(20.4%), six items of product development, industry and market and two of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3.7%).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field of home meal replacement research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 중학생의 인지과제 수행 시 학업스트레스 수준과 아로마 흡입 여부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고상인 ( Ko Sang-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8 뇌교육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여자 중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를 검사한 후,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상위 17명과 하위 17명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5분간 인지과제 수행 시 아로마 흡입 유무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 결과, 첫 번째, 무처치 상태에서 인지과제 수행 시 두 집단 간심박변이도(SDNN, LF, HF, HRV index, pNN50, RMSSD)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아로마 흡입 전에 비해 흡입 후 인지과제 수행 시 학업스트레스 상위군은 SDNN의 증가와 pNN50의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학업스트레스 하위군은 SDNN, HF, HRV index의 증가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아로마 흡입이 인지과제 수행 동안에 두 집단 공통적으로 스트레스 저항도를 높일 수 있었고,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아로마 흡입에 따른 자율신경계 조절력에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academic stress with 140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vided them into 17 subjects having higher academic stress level and 17 ones showing lower academic stress level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aroma therapy during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for five minute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variability between two groups during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in no therapy condition (SDNN, LF, HF, HRV index, pNN50, RMSSD). Secondly, higher academic stress group during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after aroma therapy showed increase of SDNN and decrease of pNN50 after aroma therapy compared to before the aroma therapy. However, lower academic stress group showed increase of SDNN, HF, and HRV index. These results showed that aroma therapy enhanced stress resistance in both groups during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and lower academic stress group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autonomic nervous system from aroma therapy than the higher academic stress group.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향기흡입이 인지과제 수행동안 전두엽 뇌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상,심준영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향기 흡입이 인지과제 수행 동안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자 중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를 검사한 후,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20명과 낮은 20명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런 다음 향기 흡입 전과 후에 인지과제를 각각 5분 10초간 수행하여 전두엽 뇌파 활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향기의 활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두엽 뇌파 활성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우측 전두엽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낮은 난이도에서 향기 흡입 후에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은 Alpha파가 증가하고, Low-Beta파는 감소하였으며, 높은 집단에서는 상반되게 나타났다. 높은 난이도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High-Beta/Alpha 비율이 감소되었으며, 낮은 집단은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상태일 때 향기흡입이 정신적 스트레스 감소시켜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좌·우 비대칭 변화를 살펴보면,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의 Theta, Mid-Beta, High-Beta에서 향기 흡입 후에 좌뇌가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향기 흡입으로 유도된 좌뇌의 비대칭적 활성은 인지과제의 적응력과 효율성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향기흡입의 효과가 유도될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are shown by aroma inhal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stress level during the cognitive task performance. For this, after testing academic stress with 140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higher stress group of 20 girls and lower stress group of 20 girls. They were asked to perform cognitive task for 5 minutes and 10 seconds before and after aroma inhalation respectively and differences between EEG activation of prefrontal lobe were examined to seek how to use aroma according to academic stress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ight frontal lobe of two groups according to changes of EEG activation of prefrontal lobe. The lower academic stress group showed the increase of Alpha wave and decrease of Low-Beta wave in low level of difficulty after aroma inhalation and the higher academic stress group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e lower academic stress group showed decrease of High-Beta/Alpha ratio reflecting mental stress in high level of difficult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aroma inhalation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by reducing metal stress in the state of lower academic stress. Second, according to right and left asymmetry changes, the lower academic stress group showed activation of the left brain in Mid-Beta, and High-Beta after aroma inhalation compared to the higher academic stress group. Asymmetrical activation of left brain by such an aroma inhalation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could be induced to increase adaptation and efficiency of cognitive task.

      • KCI등재

        Adaptive Power allocation inenergy-constrained wireless ad-hoc networks

        고상,박형근,Gao, Xiang,Park, Hyung-Ku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2

        Amplify and forward(AF)와 decode and forward(DF)의 두 가지 모드에 대하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전력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수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력을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에게 균등하게 할당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안된 전력할당기법에서 송신전력은 노드의 잔여전력에 비례하고 목적지 노드에서 요구되는 수신 SNR을 만족하도록 할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AF와 DF의 두 가지 모드에 대하여 할당전력을 계산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전력할당 방식은 균등할당방식에 비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We proposed a simple power allocation scheme to maximize network lifetime for "amplify and forward(AF)" and "decode and forward(DF)". To maximize network lifetime, it is important to allocate power fairly among nodes in a network as well as to minimize total transmitted power. In the proposed scheme, the allocated power is proportional to the residual power and also satisfies the required SNR at destination node. In this paper, we calculate power allocation in model of AF and DF. We evaluated the proposed power allocation scheme using extensive simulation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power allocation obtains much longer network lifetime than the equal power al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