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쿄 팝의 이단자 요시토모 나라: 펑크 록과 예술가의 팬

        고동연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3

        “Nara, Tokyo Pop Art's Dissident: Punk Rock and Artist's Fan” will focus on an array of Yoshitomo Nara's artistic oeuvre and activities in light of his love of Punk Rock music and his distinctive way of aligning himself with his audiences--what has been dubbed as his fans in a number of art reviews. Nara, one of the most successful figures in contemporary art market during the late 1990s and onward, is frequently cited as the elder of the 1965 Generation in Japan. Not unlike other Tokyo Pop Artists, who strived to combine the influence of subculture in the context of Western pop art, Nara's works and characters are associated with Japanese mangas and animations for their shared traits of being overly cute. Contrary to the dominant approach to Nara, the artist's preoccupation with Punk music throughout his artistic career, above all, his intimate relationships that the artist himself has established with his audience via SNS (Social Network Service), calls from novel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Nara. The essay will situate Nara in the context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and society for the last two decades with an aim of highlighting how Nara's attitude toward the lay public and collaboration with Y.N.G (Yoshitomo Nara + Graf) can illustrate the artist's new found role among the self-help art and design movements in Japan; it also aims to provide a chance to re-consider the nihilistic and conceptual strategies of Pop Art that equally emphasized the open and less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fine artists and their audiences. “도쿄 팝의 이단자 요시토모 나라: 펑크 록과 예술가의 팬”은 1965세대의 작가들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작가중의 한명으로 알려진 요시토모 나라의 작업과 각종 행보들을 펑크 음악, 관객들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나라는 1965세대의 연장자로서 도쿄 팝의 주요 작가들의 그룹전에 참여하면서 일본의 만화나 하위문화를 가리키는 오타쿠와 깊은 관계를 맺어 왔다. 하지만 실상 나라의 작업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펑크록이나 작가의 블로그를 통해서 관찰되는 작가와 그의 관객, 즉 팬과의 관계는 단순히 그를 팝아트나 도쿄 팝아트의 연관성이 아닌 다른 맥락에서 살펴할 필요성을 제기하여 왔다. 이에 연구자는 나라를 기존의 오타쿠 문화와의 연관성이 아닌 1990년대 일본 사회와 예술의 맥락에 위치시키고, 그라프와 같은 디자인 소그룹이나 커뮤니티와 연계된 나라의 행보나 블로그나 기타 소셜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객들과 소통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자한다. 이를 통하여 나라가 어떻게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 사회에서 젊은이들의 각종 자기 재활, 생존 운동들과연관되고 나아가서 팝아트에서 강조하여온 관객과 예술가의 우월적인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타파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Hallyu Images, Subversive Pleasures and Female Fandom in Cyberspace: Sunhee Lim and Sylbee Kim

        고동연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4

        The paper examines the two female media artists Sunhee Lim and Sylbee Kim with an aim of exploring how the digital environment has shifted the relationship among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known as Hallyu, online community, and contemporary media arts. Lim’s and Kim’s artistic production, comprise of fan cams, clips of melodramas circulated on the Internet, reveal their shared approach toward online community, in which female fans can explore their passion toward the alternative fictional reality of female protagonist as well as toward male idols, also known as “Kkotminam.” Thus, using theories on melodrama, gender dynamics in voyeurism, this essay further purports to explain participatory and even critical nature of (mostly female) fan culture in cyberspace, as best reflected and investigated in Lim’s Landscape in My Room (2011) and Kim’s Lover Boys (2009).

      • KCI등재

        성 구분의 혼란과 가족의 몸: 레리 리버스의 누드화와 1950년대 미국

        고동연 서양미술사학회 200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28 No.-

        During the 1950s, the idealization of conservative ideologies centered on the image of the American family–particularly the nuclear family composed of a responsible father, a careful mother, and two loving children. As Elaine Tyler May lays out in her Homeward Bound: American Families in the Cold War Era (1990), an increasing number of media outlets and politicians depicted the family and the home as the safest places for ordinary Americans to protect themselves from a range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nflicts. This study will explore how Larry Rivers challenged this idealized image of the American family and the strict gender dichotomy of that decade while he was closely affiliated with the circle of gay writers working in New York during the 1950s and 1960s. To this end, I will concentrate on Rivers’ nude paintings of families and friends in the mid 1950s through which he reconfigured how the naked bodies of the “ordinary” man and woman had been represented in both history of art and the decade’s notion of gender. The image of O’Hara (1954) was accorded with both exaggerated machismo and ambiguous gender attributes, moving away from its original source–a nineteenth-century nude study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Likewise, in Augusta (1954), a nude of his ex-wife, Rivers inserted the image of a staff, a motif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ale nude. O’Hara’s and Augusta’s ambiguous bodies (neither feminine nor masculine) questioned the idea of gender division as the basis for the ideal family, as best theorized in Talcott Parsons’ study on the postwar American family. Moreover, a pair of leather boots in O’Hara compl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ily image and identity of the “proper” heterosexual man. As part of the postwar macho gay subculture, the image of the gay men in leather boots effectively challenge the notion that homosexual men are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normal” heterosexual man by virtue of their obvious gender ambiguity, supposedly written in their body images.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homosexuality and heterosexuality is hardly rooted in bodily characteristics of gender; the category of “homosexuality” occupies an interesting place within the discourse of body, gender, and sexuality, never fitting into the traditional linkage between the body and identity. In situating my study on Rivers within the arenas of gender and sexuality, I will quote Judith Butler’s theory of “gender performance” (as best captured in her Bodies That Matter (1993) and Gender Trouble (1998, second edition)). For Butler uses her theory of body, ironically to question its stable and permanent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definitions of identity–either the normal homo or abnormal heterosexual man. Therefore, this study will shed light upon the complicated roles of body images within both historical and theoretical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and sexual ori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Un)making the “Korean” Astro Boy Atom: National Manhwa, Korean Pop Art, and Cultural Hybridity

        고동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1

        When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lift the ban on the circulation of Japanese popular culture in 1998, it immediately articulated its intention to support “genuinely” domestic comic books (called manhwa in Korean) and animation in Korea. This policy move demonstrated the government’s ambivalence toward the influence of Japanese manga; at the same time that the government officially encouraged cross-breeding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opular cultures and audiences, they became overly protective of Korea’s domestic popular culture industry.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r national aesthetics by looking at the official policy toward manhwa in Korea. In addition, Lee Dong-Gi’s and Hyun Tae-Jun’s artworks prove to be important alternatives to the notion of an authentic Korean manhwa culture. Using theories of the hybridizing process by Arjun Appadurai and Nikos Papastergiadis, I also investigate Lee Dong-Gi’s Atomaus, a hybrid of Japanese Astro Boy and Disney’s Mickey Mouse, as well as Hyun Tae-Jun’s 2007 replicas of classic Japanese animation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nd artworks show the ambiguous state between original and copy, or national and hybrid cultural products.

      • 초 투과성 할로우 파이버 기반 이산화탄소 접촉막

        고동연 한국막학회 2018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8 No.11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탄산음료는 전 세계적 상업 음료 시장의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 기존에 이와 같은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방식은 보통 배치형의 기계적 공정 (McCann 탄산기, 제트 믹서 등)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계적 교반을 동반한 탄산화 공정은 연속식 운전이 어려우며 물질전달 상의 한계점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단점을 탈피하여 기존의 배치형 탄산화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초소형 연속식 탄산화 장치를 할로우 파이버 시스템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이산화탄소 기체 버블이 발생하지 않으며 물로 이산화탄소를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이와 같은 시스템은 여러 산업 분야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메모리 효율을 증가시키는 송신단에서의 콘텐츠 저장 및 배치 기법

        고동연,최완 한국통신학회 2017 정보와 통신 Vol.35 No.1

        본고에서는 저장장치가 송신단 부분에 있는 환경에서 통신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콘텐츠 배치와 전송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부호화(encoding) 되지 않은 온전한 콘텐츠를 제한된 메모리 에서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그래프 기반의 격자 모형에서부터 출발하여 페이딩이나 경로손실 또는 간섭과 같은 무선 채널 환경을 보다 엄밀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확률 기하학 모형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저장 기법인 콘텐츠 인기도가 높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저장하는 MPC(Most popular caching) 기법이나 콘텐츠의 인기도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저장하는 UC(Uniform caching) 기법에 비해 평균 콘텐츠 전송 성공 확률(Successful transmission probability)를 증가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저장 부호화 기법 중 MDS(Maximum distance separable) 코드를 기반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중복없이 저장할 경우 기지국에서 메모리 적재의 부담을 갖지 않고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콘텐츠 다양성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비분할 저장의 경우 단일 노드에 해당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면 기지국과 사용자 간 1개의 채널만 고려하여 성공적인 전송을 유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콘텐츠가 중복 없이 MDS 코드 기반으로 분할되어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된 경우 온전한 콘텐츠를 복구하기 위해서 무선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노드가 협력하여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MDS 코드에 기반하여 분할된 패킷들로부터 오는 콘텐츠 다양성 확보와 온전한 콘텐츠를 복구하기 위한 최소한의 소형 기지국 수 간의 상관 관계(tradeoff)를 통해 메모리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저장 및 배치에 대해서 알아본다.

      • KCI등재

        일본식 대안공간과 커뮤니티 아트의 시작: 나카무라 마사토

        고동연 미술사학연구회 2016 美術史學報 Vol.- No.46

        The essay focuses on Masato Nakamura’s path toward a successful curator of community art in Japan in light of the sociological condi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in the 1990s. As I will argue, Nakamura’s undertaking of “Command N,” “Chiyoda Art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3331 Arts Chiyoda” should be understood in close relationships with a number of guerrilla art events, either in the streets of Ginza or in Shinjuku during the early 1990s. Th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a group of young artists called “Geidai,” the graduates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 will also look at Nakamura’s 3331 Arts Chiyoda, the renowned community art center in Japan, regarding its financial support system as the essay is also purported to address both achievement and dilemma involved with community arts designed to popularize and exp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art in Japan from the 2000s and onwards. 일본의 대표적인 커뮤니티 아트의 기획자이자 작가인 나카무라의 성장기를 1990년대 초 일본 미술계의 사회구조적인 상황에 비추어서 다루고자 한다. 1999년 아키아바라에서 열린 커맨드 N, 2005년 지역의 공예 예술가나 생활 예술가를 모아서 벌인 페스티벌, 그리고 3331 아트 치요다 등은 1990년대 초중반부터 작가가 동년배 작가들과 공동으로 조직하여 온 각종 거리 미술전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져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는 나카무라의 3331 아트 치요다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일본의 기금체계와도 연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예술을 통한 도시 재생이나 도시 속의 다양한 공동체를 연결시키려는 나카무라의 활동이 일본 사회에서 예술의 대중적인 역할을 확충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성과와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는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베트남 전쟁과 물건의 기억: 임흥순의 ‘귀국박스’ 아카이브전들과 작업 (2008-2009)

        고동연 한국미국사학회 2012 미국사연구 Vol.35 No.-

        이완 월터스(Ian Walters)는 1997년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미군병사들이 소지하였던 지포 라이터에 관한 연구에서 특정한 물질문화가 역사적 배경과 시점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되고 다양한 의미를 부여 받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 바 있다. 전쟁 당시 전장에 배치된 미군 병사들의 심리적인 압박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표출하는 수단이었던 지포 라이터는 1975년 전쟁이 종료되고 베트남이 서방 세계에 개방되면서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소장품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이후 베트남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지포 라이터는 개인의 소장품일 뿐 아니라 중요한 역사적, 물질문화사적인 연구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또한 ‘공식’적인 전쟁의 역사 대신에 잘 알려지지 않은, 혹은 잊혀진 개인사와 물질문화의 관점에서 베트남에 참전한 한국군인들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한국 정부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5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베트남 전쟁에 투입하였고, 베트남 파병은 1960년대 말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 함께 주요한 외화벌이의 수단이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 때문에 베트남 전쟁과 연관된 국내의 담론들은 파병의 정당성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거대 담론에 의하여 간과되어온 참전 군인들의 개인사를 고찰하기 위하여 한국 군인들이 귀국할 당시 자신들의 소지품을 담아서 국내에 보냈던 귀국박스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왜냐하면 귀국박스는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율화 이전에 한국인들이 단체로 외국의 문물과 대중소비문화를 받아들였던 역사적 사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기획한 일민미술관에서의 전시 「여의도비행장에서 인천공항까지」(2011)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물건을 대여한 참전 군인들을 만나본 결과 귀국박스에 담기고 이제까지 보존되어온 물건들은 그들이 개인적으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주요한 문화적 사료라고 할 수 있다. 이이서 연구의 후반부는 2008년부터 귀국박스의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개인전을 개최하여온 임흥순 작가의 작업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임흥순은 귀국박스에 담겨져 있었던 참전 군인들의 사진, 편지, 훈장과 각종 물건에 대한 사연들을 아카이브 형식으로 나열한 「귀국박스」(2008)와 「월남에서 온 편지」(2009)의 전시들을 기획한 바 있다. 이들 전시에서 작가는 이제까지 베트남 참전 군인들의 사회적 의의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사진 속 이미지가 희미해지는 「귀국박스: 무명용사 기념비」(2008)나 귀국박스 속의 외제 물건들로 한 밑천을 삼고자 하였던 참전 군인들의 수기를 담은 「전쟁구술사진」(2009) 연작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연구자는 임흥순이 과거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하여 인덱스(Index) 기법을 사용하는 과정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인덱스는 상징이나 아이콘과는 달리 지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물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상징체계이다. 따라서 미술사에서 인덱스 수법은 사라져가는 기억을 되살리고 이에 대한 관람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파병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나아가서 과거 전쟁으로부터 파생된 물건과 물건에 대한 기억들을 현재의 시점에서 예술가가 새롭게 인 ... The Zippo lighter used by American military in Vietnam between 1967 and 1974 call for a revised approach toward the studies of material culture; its meaning is in a consistent state of flux, contrary to the traditional archeological explanation of an artifact as a conveyor of particular historical significance inherited from the past. As Ian Walters, the author of “Vietnam Zippos”(1997), argu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fferent personal and collective meanings attached to these lighters depending on where these objects have been situated and recovered - either in the middle of warfare, or in the hands of businessman as a collector’s item. This essay will use the example of material culture, especially personal belonging sent via “homecoming boxes(Guiguk Box)” of Korean soldiers as one way of investigating transient and ever-changing meanings of objects and material culture during the Vietnam war. Instead of ferreting out authentic meanings of these objects, this essay, however, use these artifacts or the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se objects as initiators of open and alternative historical knowledges and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ed: rather than utilizing information from the history of war strategies and political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Vietnam war, this essay will concentrate on the daily lives, well-beings and even emotional states of ordinary Korean soldiers, who fought on the battlefield of Vietnam. As the Korean installation artist, Heung-Soon Lim has pointed out, the official discourse of the Vietnam War has overly been constrained within the grand history of warfares during the cold war.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stories about American PXs and black market to reconstruct the lives of Korean soldiers serving in Vietnam. Secondly, this essay will highlight the extremely greedy and materialistic nature of the Vietnam War. The American Government poured on unpreceded scale of materialistic resources in the Vietnam War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American military - constructing huge recreation centers and American PXs on site. By observing consumer culture brought to Vietnam and the black market in Vietnam, I will look at how consumer culture was used by Korea soldiers to explain their limited perspective of everyday products; as Japanese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were pouring in the black market at Danang and Nha Terang in southern Vietnam. At the same time, most of ordinary Korean soldiers were not able to fully enjoy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 and material culture as there had been limited venues and money to purchase these products. Most of small consumer goods stored inside “homecoming box” were sold out to illegal smuggler and merchants at the port as soon as they return from Vietnam. Finally, throughout this two exhibitions of <Homecoming Box> in 2008 and <The Letters from Vietnam> in 2009, the artist Heung-Soon Lim strived to recover material culture of Korean soldiers in Vietnam,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He juxtaposed official renditions of anti-communist ethos on the one hand, and writing and photographs of soldiers. The contents inside the <Homecoming Box> continuously attested their ambiguous position between the Vietnam, the colonized citizens, and American soldiers and consumerism. Furthermore, Lim has also used the method of indexicality as he engraved a Korean soldiers’s testimony related to the memory of consumer products, which can be also interpreted as indicating their unfulfilled hope for economic prosperity. This indexical sign enables the artist to demonstrate his way of bringing up memories of forgotten and marginalized soldiers of the Vietnam War in Korea. His interpretation of material culture enjoyed by Korean soldiers will demonstrate the way in which artistic intervention can open up a new theoretical framework of looking at past objects in the field of archeology, art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