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Sexual Assertivenes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Hee Sun Kang(강희순),Eun Ko(고은),Hye Young Kim(김혜영)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2

        대학생은 성에 대한 올바른 의식과 가치관을 가져야 하며, 성적자기주장은 여대생에게 필수적인 의사소통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대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성적자기주장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대학교에 재학중인 여대생 16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은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성적자기주장을 48.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증진을 위한 상담이나 중재를 계획할 때, 여대생 스스로가 자신의 외모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University students belong to the life stage of early adulthood, where they are required to establish a right attitude and value system about sexual matters. When teenagers go to college, they have more chances to contact with the other sex and become to live a relatively freer life, which make them face novel situations of dealing with sexual issues. Sexual assertiveness is a mandatory communic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for female students, who are living in this rapidly changing sexual culture. S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assertivenes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6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Body Esteem Scale, Self-esteem Scale, and Sexual Assertiveness Scale,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8.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2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Sexual assertiv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r=.50, p<.001) and self-esteem (r=.64, p<.001).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β=.12, p=.043) and self-esteem (β=.10, p<.001) explained 48.3%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F=52.28, p<.001). Conclusions: Thus, in order to improve sexual assertiveness, it may be helpful to positively accept one’s appearance and self-esteem and to incorporat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hen planning to counseling and intervention about sexual assertivenes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희순(Kang Hee Su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진로개발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차이와, 이들 변인이 진로개발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진로의식은 차이가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태도, 관습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자기이해, 전공직업, 진로결정, 구직기술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진로개발준비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라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개발준비도에는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에 따라서 차별화된 진로발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ought to study how college students' sex, grade, career consciousness influences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resutl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was that college students sex made difference in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grade made differences in attitude and customs. The second was that self-understanding, major vacation, career decision, and job seeking skill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sex, and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ade. The third was that students' sex and grad mad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sex, grad, and career consciousness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This study asserts tha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college students sex and grade to help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the ability of career decision.

      • KCI등재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예측 요인

        강희순 ( Hee Sun Kang ),이은숙 ( Eun Sook Le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4 정신간호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petrations of violence while dat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university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s(N=453) attending 3 regional univers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x2-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Prevalence rates for psychological, physical and sexual perpetration were 50.1%, 32.5%, 5.5%. In adjusted analysis, compared to non-exposed students, students with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ere at increased risk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ting victimization (OR=9.84, p<.001; OR=2.31, p=.001), had experienced emotional child abuse (OR=2.23, p=.001) and depressive feeling (OR=2.09 , p=.012). Compared to non-exposed students, students with physical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ere at increased risk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ting victimization (OR=2.44, p<.001; OR=7.78, p=.001), had experienced physical child abuse (OR=2.04, p=.001), and were female (OR=2.73, p<.001). Conclusion: To prevent dating violence, high-risk groups should be detected by surveying variables including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depressive feeling. Domestic violence could be decreased through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from childhoo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y type of dating violence should be don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영희 ( Young Hee Kim ),문승태 ( Seung Tae Moon ),강희순 ( Hee Sun Kang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 성적 자기주장을 조사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적 자기주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 하였으며,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트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은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변인을 통제하여 성별, 전공,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성별, 전공,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설명력은 3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적 자기주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적 자기주장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았으며, 보건 및 인문계열 학생, 종교가 있는 학생, 성교경험이 없는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성적 자기주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녀를 대상으로 그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결과를 비교하기 어렵다. 하지만 유사개념으로서 성적 자율성을 성별로 비교한 연구들을 보면, 여자대학생군이 남자대학생군보다 성적 자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Chang & Lee, 2003; Kim et al., 2012),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남학생의 성 개념이 행위 중심적이며 성기 중심적인 점에 비해, 여학생들은 성행동의 결과가 원하지 않는 임신, 인공유산, 성병감염 등 여성의 몸에 직접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스스로가 자기몸을 돌보고 대처하고자 실천적인 의지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일상생활에서 성에 대한 고정관념으로부터 탈피하지 못하고, 성행동에 있어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성폭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 지식의 강화만을 목표로 교육할 것이 아니라, 자기주장능력 및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시킨 성적 자기주장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다. 또한, 여학생들의 성의식 향상과 성경험에 있어서 성별 빈도 차이가 줄어드는 현 상황에서 여성용 성적 자기주장 척도를 남녀학생에게 적용하는 것이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후속 연구로서 성적 자기주장 문항에 대한 성별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요인분석이 포함된 남녀공용 성적 자기주장 도구 개발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계열별에서는 보건계열 학생들이 전공 특성상 생물학적 성(sex)에 대한 지식이 높고, 임신·성병 등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정보에 노출되는 기회들이 많기 때문에 타 계열 학생들보다 성적자기주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종교가 있는 학생들이 성적자기주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Han (2010)이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종교와 성태도 간 관계 연구에서 종교성이 높을수록 혼전 성관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확률이 높고, 종교성은 성태도에 있어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이러한 결과는 성적인 순결성 등을 강조하는 종교적 가치규범에 의한 태도 차이로 사료된다. 성교경험 여부에 따라 성교경험이 없는 학생이 성교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성적 자기주장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성적 접촉이 심화됨에 따라 성적 자기주장능력의 감소를 보였다는 연구(Lee, 2001)와 Choi (2005)의 연구에서 성교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성교경험이 있는 경우가 성적 자기주장능력이 낮았다는 결과를 지지하였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전통적 성태도는 성적 자기주장에 부적인 상관을 보임으로써, 이 두 요인은 성적 자기주장과 부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남녀 대학생이 개방적 성태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성적 자율성이 높다는 Kim 등(2011)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자기주장은 성적 자기 주장에 정적 상관을 나타내 자기주장과 성적 자기주장은 긍정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여대생의 자기주장능력이 이성교제 간 성접촉 경험에 영향을 준다는 Song (2006)의 주장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이는 성적 자기주장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 내용에 성역할 고정관념과 전통적인 성태도는 낮추고, 자기주장을 높이는 방안이 도움 될 것임을 시사한다. 성적 자기주장의 요인에 성역할 고정관념, 전통적 성태도, 자기주장에 의해 예측되는데, 그 중에서도 자기주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장은 대인관계의 출발점이자 의사소통의 핵심 요소로, Choi (2005)의 연구에서도 성교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일치형 의사소통이 성적 자기 주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성적 자기주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에 자기주장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이는 평소 개인의 권리존중과 정신건강 측면에서 자기의 생각과 감정에 일치되는 의사를 표현하는 훈련, 그리고 대인 관계적 측면에서 자신의 욕구와 기대를 솔직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훈련을 통해 성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의 정당한 요구나 기대, 생각, 견해, 감정과 일치되는 성적 자기주장 능력이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전통적으로 성별화된 사회규범을 말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여성성과 남성성을 내면화한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것이 여대생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거절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성적 상황에서 안전을 위한 자기주장을 어렵게 한다(Morokoff et al., 1997). 이는 사회 규범화된 성역 할이 많은 영역에서 인간의 행동을 안내하고 구속하는데, 특히 친밀한 관계에서의 남녀가 만나는 성적 상황에서는 더욱 성역할을 따라야 할 것 같은 사회적 압력을 느낀다(Kiefer & Sanchez, 2007)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성태도는 성적인 활동에서 남성에게는 성행위를 주도하기를 기대하지만, 여성에게는 남성의 성적 주도에 따르기를 기대하는 것으로(Muehlenhard & McCoy, 1991), 이는 전통적 성태도가 수동적 성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성적 자율성을 저하시킨다는 연구결과(Kiefer & Sanchez, 2007)를 지지해주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성태도를 지양하고, 성적 상황에서도 남녀가 보다 성적으로 평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 성적 자기주장 훈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나타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대부분의 국내의 성적 자기주장에 관한 연구가 거절과 예방요인 위주로만 진행되었던 것을 성적 자기주장의 개념이 인간의 자율성에 근거한 것이기에, 자율성에는 원하지 않는 것을 거절하는 것 뿐 아니라, 원하는 것을 주도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단지 거절이라는 상대방 파트너의 요구에 대한 반응적인 성적 자기주장 개념이 아니라, 주도적이고 주체적일 수 있을 때 예방도 잘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원하는 성행동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주도 개념을 포함한 성적 자기주장의 개념으로 확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Hong (2002)도 그동안 청소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 금욕적인 절제 위주의 전통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해왔으나, 청소년 성문제 예방이나 해결에 효율적이지 못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성과 관련해서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성적 자기주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에 주도성을 포함한 주체성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성적 자기주장의 하위요인인 주도, 거절, 예방을 모두를 잘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둘째, 원하지 않는 성행동의 거절 여부로 성적 자기주장을 판단하는 것이 자칫 편협한 이해를 가져올 여지가 있음을 조심스럽게 지적하고자 한다. Impett와 Peplau (2003)는 원하지 않는 성적 응낙을 하는 사람의 동기에 따라 성관계 이후의 심리적 안녕에 다른 결과를 나타냄을 밝혔다. 그러므로 원하지 않는 성적 응낙을 하였더라도 동기에 따라 다르다는 외국의 선행연구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나타내는지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갖는다면, 원하지 않는 성적 응낙에 관한 교육과 상담에서도 단지 원하지 않는 성적 응낙을 거절하여야 한다는 교육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동기를 파악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최선의 방안을 찾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성적 자기주장에 관련된 연구이므로, 성적 다양성을 갖는 관계로까지 확대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표집에서 성적 정체성에 관한 질문 없이, 설문에 응한 모든 학생들이 이성애자임을 암묵적으로 설정한 부분은 본 연구의 표집의 순수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차후의 연구에서는 이성교제 중의 성적 자기주장 연구에서는 성적 정체성을 구별한 후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in dating college students.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468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dating experiences were recruited and answ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assertivenes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raditional sexual attitude, gender role stereotypes. Significant predi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were traditional sexual attitud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elf-assertiveness. These variables explained 37%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improve communication patterns in relation to sexual assertiveness. There is a need for sex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that are relevant and effective.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이은숙 ( Eun Sook Lee ),강희순 ( Hee Sun K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4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exual issue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 survey collected responses from 469 university students in three region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χ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While male students’ scores on sexual assertiveness and sexual assault recognition were lower than female students’, their scores on gender role stereotype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were higher. Female students’ sexual violence victim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ir scores on sexual violence perpetrations were lower than male students’. Sexual violence victims and perpetrations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ual assault recognition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violence perpetrations experience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in male student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violence victims and inflictions experiences and sexual assertiveness in female studen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programs for preventing or arbitrating sexual violenc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by gender becaus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exual issue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취업준비 여부,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정영해(Chung, Young Hae),강희순(Kang, Hee Sun),김정숙(Kim, Jeong S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개발 준비도간의 관계와 진로개발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내재적 직업가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진로개발 준비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개발 준비도는 내재적 직업가치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또한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이 진로개발 준비도가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외재적 직업가치는 다른 변수의 값이 동일한 상태에서, 그 값이 높을수록 진로개발 준비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진로개발 준비도 관련 요인으로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 여부, 외재적 직업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를 향상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시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와 대학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와의 관계와 진로개발의 실제적인 성과물인 취업과의 연계성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02 university students.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sks about employment preparation and uses instruments such as the Work value Inventor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Short Form(CDSE-SF) and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CDRl).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H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SPSS/PC ver 18.0 program Results: It was foun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university stud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trinsic work value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extrinsic work valu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48% of the variance for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intrinsic work valu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employment preparation, and extrinsic work value. Conclusion: Findings suggests that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 KCI등재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및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Hyun Jung Kim),강희순(Hee Sun K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S시에 소재하는 2개의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기 위해 내원한 임부 20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불안, 교육수준, 사회적 지지, 결혼생활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적영향을 미치지만, 불안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계획할 때 불안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A total of 202 pregn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A/IC 15.1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were identified as anxiety, educational level,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β=0.27, p< .001), but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β=−0.56, p<.001). Conclusions: When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strategies for lowering the anxiety and improving the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성희롱고충상담원의 직무내용, 우울, 스트레스반응에 관한 연구

        이혜경(Lee, Hye-Kyung),강희순(Kang, Hee-S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연구 Vol.24 No.4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job Contents, depression, and stress reactions of university sexual harassment counsel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amination of job demands, a sub-factor of job specification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job demands were high among researchers that were ‘unsatisfied’ or ‘moderately satisfied’ with their places of work. Job autonomy was shown to be high among those in their 50s that were religious and majored in nursing or counseling. Depression was high among those who had ‘less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ere ‘unsatisfied’ with their ‘places of work’, and specialized in ‘other majors.’ Job demand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autonomy(r=.187, p=.043), gastrointestinal disorder recognition(r=.272, p=.003), a sub-factor of stress reactions.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astrointestinal disorder recognition(r=.349, p=.000), muscle pain(r=.343, p=.000) and the form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a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university sexual harassment grievance counselors’ depression and stress reactions were high when their job demands were high.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to promote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