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성의 시대, 타자 중심 윤리의 실천으로서의 한국문화교육

        강희숙 ( Hui Suk G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2 No.-

        This research is about suggesting the way to a new cultural education in light of checking the problems occur from previous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perspective of necessity of switching into ``other-centered morality`` from the ``actor-centered morality`` as a new social value, in need of exerting the moral ability which is suit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are experiencing. We can say the hypothesis is true that interruption from learner``s mother-culture could be matt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the aim culture, just like mother language``s negative transition or interruption are common errors occur by learners in situation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So we should grope for diverse ways to support forego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of letting learners broad their cognition and sympathy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n culture and their mother cultures so that they can be developed in balance regarding cognitive, affective aspects, instead of trial to persuade learners to adapt to Korean culture by one-sidedly provi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it. Especially,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onstitute education or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can foresee the interruption of mother culture of learners and find ways to decrease its effect, and communicate lively between cultures by sympathizing to the learner``s culture, when they have knowledge of learner``s mother culture.

      • KCI등재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접두사"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강희숙 ( Hui Suk G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본 연구는 통신언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어 온 문법적 기능 바꾸기 현상 가운데는 단순히 품사의 전성 또는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문법화나 역문법화 현상으로 기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최근의 통신언어에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는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문법화(degrammaticalization) 현상이란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문법화(grammaticalization)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이긴 하지만, 영어를 비롯한 다른 몇몇 언어에서도 엄연히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어의 일상어에서도 종종 발견되어 온 현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언어학에서의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원리와 함께 오늘날 통신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기능 바꾸기를 문법화 현상과 역문법화 현상으로 구분하여 그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본 다음, 이를 토대로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관찰·분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grammaticalization of ``gae-`` which has been actively realized in the internet language in terms that it includes types which need to be described through a phenomenon of grammaticalization or degrammaticalization rather than just a transformation of parts of speech. Degrammaticalization has been often discovered in our Korean offline language as well as it exists in a few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lthough it is opposite to grammaticalization which is commonly discovered in many languages. Therefore, the study categorized changes in grammatical functions into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to speculate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n analysed degrammaticalization of ``gae-``, a prefix.

      • KCI등재

        드라마 인물의 명명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강희숙(Gang Hui-su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본 연구는 드라마 인물의 성격 창조가 이름 짓기, 곧 명명(命名, appellation)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전제하에, KBS, MBC, SBS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상파 방송사에서 2010년∼2012년에 방영한 드라마의 인물명을 대상으로 명명 방식 및 인물명의 사회언어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인물 이름의 명명 방식은 상징적 방식과 실제 언어 현실과의 연관성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물의 이름과 사회적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계량적 분석의 결과,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이름의 끝 음절 유형에 실제 한국인 이름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직업과 관련해서는 이름의 첫 음절 유형에서 일정한 사회적 의미를 드러내는 단어들이 높은 중복 빈도를 보이는 방식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reation of characters in dramas can be achieved through naming, that is, appellation, aims to analyse the methods of naming and the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used for characters in dramas broadcast from 2010 through 2012 by the representative Korean broadcast companies KBS, MBC and SB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methods for naming characters can be categorized into a symbolic method and one showing a connection with linguistic reality indirectly.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o discover any correlations between the names of characters and social factors, the types of ending syllable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real Korean names according to sex, and with respect to occupa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volving words that showed a certain social meaning were repeatedly used in the first syllable of the names used.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인 이름의 특성 및 변천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강희숙(Hui-suk, Gang),양명희(Myung-hee, Yang),박동근(Dong-geun, Park)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살아오면서 축적하고 있는 언어문화 가운데 하나로, 한국인 이름의 전형적 특성은 무엇이며, 그러한 특성은 시대별로 어떠한 변화를 겪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방 이후 시기인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50년간에 걸쳐 출생한 한국인 이름의 특성을 사회언어학의 연구 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계량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60,000명, 광주·대전·대구 등 지방 대도시 지역 61,200명, 전라도·충청도·경상도 군 지역 61,200명 등 총 182,400명의 이름을 표본으로, 각 연대별 이름의 특성 및 그 변천 양상을 이름의 어종별 분포, 중복 빈도, 이름의 첫 글자와 끝 글자의 유형, 음절수, 음절말음의 유형 등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한자어 이름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되, 한자어 이름은 여성보다 남성이, 고유어나 외래어 이름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남성은‘영수>성수, 정호>정훈>지훈>지훈>민준’이, 여성은 ‘영숙>미숙>은영>지혜>민지>유진’이 각 연대별로 중복빈도가 가장 높은 전형적인 이름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름 끝 글자의 경우, 남성은‘수, 호>훈>현>준’이, 여성은 ‘자, 숙, 순, 희, 옥’ 등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 이후에는‘영’이나‘은’ 같은 글자가 구성요소로 나타나는 가운데,‘희’가 모든 시대에 공통적으로 출현함으로써 가장 오랫동안 여성 이름을 구성하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름의 음절수를 분석한 결과, 2음절로 이루어진 경우가 98%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1음절 이름의 경우는 남성이, 3음절, 4음절 이상의 다음절인 경우는 여성이 훨씬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과 함께, 이름의 끝 음절 말음으로 선택되는 음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ㄴ’이나 ‘모음’이며, 남성은 모음보다는 자음 ‘ㄴ’이, 여성은 ‘ㄴ’보다 모음으로 끝나는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typical characteristics of names for Korean people, one of Korean linguistic cultures, are and what changes they have had. For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names of Korean people who were born for 50 years from 1950s to 2000s were analysed with a use of qualitative method, one of socio-linguistic methodologies. A total of names of 182,400 persons including 60,000 from the capital area and 61,200 from local areas including Gwangju, Daejeon and Daegu were sampled and analysed with a focus given on distribution of language types, frequency of duplication, types of the first and last letters in the names, the number of syllables, and types of the lat sounds of syllable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occupancy rate of Chinese names was overwhelmingly high. More male names were in Chinese than female names. Names of Korean or foreign origin were usually used for females. The names with the highest duplication frequency were‘Yeongsu>Seongsu, Jeongho>Jeonghun>Jihun>Jihun>Minjun for males, and ‘Yeongsuk>Misuk>Eunyeong>Jihye>Minji>Yujin’ for females. The last letters of the names which were frequently used were ‘Su, Ho>Hun>Hyeon>Jun’ for males, and Ja, Suk, Sun, Hui, Ok’ for females. However, since 1980s, letters such as ‘Yeong’ or ‘Eun’ have appeared as components of the names, but 'Hui' has appeared in the most common for such a long time.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names, it was discovered that more than 98% were made of two syllables. One syllable names were usually used by male subjects and the names with more than three or four syllables were usually found in female subjects. 'ㄴ' or 'vowels' were most frequently used as the last sounds in the last syllables of the names. ' ㄴ ‘ a consonant, was more used for the last sound of male names and ' vowels ' were more used for the last sound of female n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