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전시 관람 참여에 미치는 영향: Z세대를 중심으로

        강현웅(Hyun-Woong Kang),박시원(Si-Won Park),주연지(Yeon-Ji Joo),이보아(Bo-A Rh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aning of Instagram posts and Generation Z’s sharing exhibition experience. We set up four hypotheses using four variables such as informational interaction, informational usefulness, exhibition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al participation, and test the hypotheses following literature reviews, surve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test. Our findings show that the survey participants interact with Instagram posts in order to use exhibition reviews, and they highly prefer photo images and a half of them use hashtags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pre-visit phase. In conclusion, the informational usefulness of Instagram posts and hashtags have correlations with actual exhibition participation. The information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al usefulness also affect Instagram posting activities in during and post-visit phase.

      • KCI등재

        임신중기 유전적 양수천자 1,068예의 임상적 고찰

        박현희(Hyun Hee Park),양성천(Seong Cheon Yang),김행수(Haeng Soo Kim),양정인(Jeong In Yang),오준환(Joon Hwan Oh),강현웅(Hyun Woong Kang),김현주(Hyun Joo Kim),주연종(Yeon Jong Joo),오기석(Kie Suk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임신중기 유전적 양수검사 1,068예의 임상적 결과를 살펴보고 타 연구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1994년 9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임신중기 양수천자 총 1,068예를 분석하여 그 적응증 및 핵형검사 결과,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에 따른 합병증 발생 및 산과적 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1,068예 중 모체혈청을 이용한 선별검사 이상이 가장 흔한 적응증(57.7%)이었고, 가장 많은 연령군은 25-29세 군이었다(39.2%). 염색체이상은 56예(5.2%)로 수적 이상이 28예(50.0%), 구조적이상이 28예(50.0%) 였으며, 상염색체 이상이 50예(4.7%), 성염색체 이상이 6예(0.6%) 였다. 임신 결과는 정상 만삭분만이 86.5%이었고, 조산이 7.6%, 인공적인 임신중절이 시행된 예가 4.0%를 차지하였다. 합병증으로 태아손실은 없었으며, 1예는 경미한 양수누출 후 회복되어 임신을 지속하였다. 예방적 항생제 투여군과 투여하지 않은 두 군 간에 합병증 및 산과적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응증별 염색체 이상 발생 빈도에서 초음파 검사상 태아 기형이 의심되는 경우가 1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유전적 양수 검사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 고령 산모에서 현재는 산전 모체혈청을 이용한 선별검사 이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염색체 이상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젊은 연령층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산전 모체혈청에 의한 선별검사, 산전 초음파검사, 기형아 분만 및 염색체 이상의 가족력 및 과거력 등을 바탕으로 하는 유전적 양수검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양수천자시 예방적 항생제 투여 여부에 따른 합병증 발생 및 산과적 결과는 양 군간의 비교분석상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068 cases of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reported studies. Method: We analyzed 1,068 cases of midtrimester prenatal genetic amniocenteses from September 1994 to February 1999, and investigated the fetal chromosomal abnormality, obstetric outcomes and complications by the indications of genetic amniocentesis and prophylactic antibiotic use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esults: Abnormal maternal serum markers were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amniocentesis (57.7%) and the most common age distribution was 25-29 years (39.2%). One case of early amniocentesis (14 gestational weeks) was performed. The overall incidence of chromosomal aberration was 5.2% (56/1,068), of which there were 28 cases (50.0%; 28/56) of numerical aberrations and 28 cases (50.0%; 28/56) of structural aberrations. There were 50 cases (4.7%) of autosomal chromosomal aberrations and 6 cases (0.6%) of sex chromosomal aberrations. The pregnancy outcome was full-term delivery in 86.5%, preterm delivery in 7.6%, termination of pregnancy in 4.0%. There were no cases of se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fetal death except for a case of self-limited amniotic fluid leakage(high leakage) in which the pregnancy was mainta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phylactic antibiotics user group and non-user group i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outcomes.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at the trend in the indication of genetic amniocentesis had changed from advanced maternal age(35 year-old) toward abnormal maternal serum marker(triple test), and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genetic amniocentesis according to the various antenatal screening tests of maternal serum marker, antenatal ultrasound, past history of fetal anomaly or family history of fetal chromosomal anomaly in the younger age groups(< 35 year-old) that are involved in more than half of the chromosomal anomaly.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elucidate the efficacy of using prophylactic antibiotics in amniocentesis.

      • KCI등재

        다목적댐 가뭄 대응 단계별 해제기준 개발 및 효과 분석

        김정민(Kim, Jung Min),박진혁(Park, Jin Hyeog),장수형(Jang, Su Hyung),강현웅(Kang, Hyun Wo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가뭄발생시 다목적댐의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해 제안된 Standard Flow Index (SFI)와 댐 저수량을 이용하여 가뭄단계별 해제기준을 제안하고 이를 다목적댐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뭄단계별 SFI의 범위를 wet에서 drought까지 총 11등급으로 분류하고 SFI, 저수량과 유지일수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를 낙동강 내 합천댐에 적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기간신뢰도, 공급신뢰도, 회복도 그리고 취약도를 분석하였다. SFI, 저수량 그리고 SFI와 저수량 혼합시나리오에서 모두 기간· 공급 신뢰도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지일수에 따라 회복도와 취약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거 대표적인 가뭄기간(1994년, 2009-2010년)에 대하여 유지기간 시나리오별(5일, 10일, 15일, 30일) 추가공급량 및 추가공급 가능일 수를 분석한 결과 시나리오에 따라 0.95 백만m3 에서 7.67 백만m3 을 추가 공급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에 따른 생· 공용수의 추가 공급가능 일수는 0.7일에서 5.4일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15일과 30일 시나리오에서 추가공급량은 최대 1.82 백만m3 , 추가 공급가능일 수는 1.3일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이후 2015년까지 누적 추가공급량의 경우에도 15일과 30일 시나리오의 차이가 10,284.2 백만m3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목적댐 최적 가뭄단계별 해제기준으로 SFI wet등급(0.5 이상)과 저수량의 상위 가뭄단계 유지일수 15일을 제시하였다. 향후 가뭄시 다목적댐 운영에 단계별 해제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용수공급 제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standard flow index (SFI) and reservoir storage proposed for stable water supply were used to develop the termination criteria at each drought response stage. The SFI of the drought stage was divided into 11 classes, from wet to drought, and scenarios were selected using the SFI, storage capacity, and maintenance period. These were applied to the Hapcheon Dam in the Nakdong River to analyze the time period reliability, supply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scenario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in the SFI, storage, and SFI - storage mix scenarios, the term and supply reli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resiliency aid and vulnerability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days. Additionally, for past typical drought periods (1994, 2009-2010), the additional supply volume and additional supply days were analyzed for each number of maintenance days (5, 10, 15, 30 days).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al supply volume could be obtained up to 7.67 million m to 0.95 million m3,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dditional days of supply from 5.4 days to 0.7 days for the additional life or service. In particular, these were shown to differ vastly by up to 1.82 million m3 and 1.3 days, in the scenarios of 15 and 30 days. It was evalu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15-day and 30-day scenarios is 10,284.2 m3 in cumulative additional supply after completion until 2015. Based on these results, the SFI wet class (0.5 or higher) and the number of maintenance days (15 days) of retaining the upper drought stage with a low water capacity were presented as criteria for releasing optimal drought phases of the multipurpose dam. It is deemed that the use of the termination criteria at each drought response stage for the operation of multipurpose dams in the future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the restriction on water supply.

      • KCI등재

        다목적댐 가뭄 대응 단계별 해제기준 개발을 위한 실시간 표준유입량 지수 적용성 평가

        김정민(Kim Jung Min),박진혁(Park Jin Hyeog),장수형(Jang Su Hyung),강현웅(Kang Hyun Woong),김상단(Kim Sang da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 가뭄 대응 단계별 해제기준 개발을 위해 일 단위 댐유입량 기반의 실시간 표준유입량지수(Standard Flow Index, SFI)를 제안하였고, 낙동강 다목적댐 유역의 과거 대표적인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FI는 다목적댐별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고 동일한 기간의 장기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해 추계학적 모의발생 모형인 SAMS 기반 일 단위 500년 유입량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낙동강 다목적댐을 대표하는 SFI 값은 안동·임하댐, 합천댐 그리고 밀양댐을 대상으로 산정된 SFI과 가뭄발생확률 그리고 국내 다목적댐의 가뭄 대응 단계를 감안하여 6개 단계(WET, N, D1, D2, D3, D4)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SFI를 낙동강 내 다목적댐(안동·임하, 합천, 밀양)에 적용한 결과, 1994년, 2000년, 2008∼2009년 등 대표적 가뭄기간에 대한 심도 및 지속기간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강수량지수(SPI)에 대하여 극심한 가뭄이 발생되었던 2008∼2009년 동안의 운영저수량과 비교해본 결과, SPI보다 SFI가 실제 가뭄현상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뭄변화의 폭도 저수량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the real-time Standard Flow Index (SFI) to develop termination criteria in order of drought response stages and evaluates its performance for historical severe drought events on multi-purpose dams in Nakdong River Basin. To this end, the SFI values were derived considering drought occurrence probabilities from the generated daily dam inflows for 500 years using the Stochastic Analysis Modeling and Simulation (SAMS). Then, the SFI values from three multi-purpose dam (Andong·Imha, Hapcheon and Miryang) watersheds are combined together in order to derive the representative SFI values and classified into six groups (WET, Normal, Moderate Drought, Severe Drought, Extreme Drought, and Exceptional Drought) for Nakdong River Basin. As a result of applying to multi-purpose dams, the derived SFI values could identify the historical severe drought events in 1994, 2000, and 2008 - 2009 with respect to severity and period of droughts well. From the graphical comparison results between SFI and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against historically operated reservoir storage for Andong·Imha multi-purpose dam, the SFI is better to describe the historical extreme droughts rather than SPI with respect to the rising and recession parts of the historically operated reservoir storage 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