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esearch on Interactive Design Approaches of Editorial Design

        Kang, Tae Yim(강태임)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4

        Cipe Pineles is the first woman admitted to the New York Art Directors Club. It is breaking the code of the male dominated professional design societies across the country. She used graphic elements to move readers’ eyes around pages, and the effects of attractive design influences modern design for both computer based and print media. In this study, Cipe Pineles’ designs are reviewed by analyzing interactive design approaches in editorial design.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s of fundamental design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According to the researched information about Cipe Pineles, understanding the different approaches based on promotional and educational design will help to communicate with readers more interactively. For the scope of this research, Cipe Pineles’ editorial design for magazines and annual books are chose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for looking closer to get some ideas about the current design aspects in editorial design by design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new interactive approaches to editorial design. The analyzed cases will help to review Cipe Pineles’ editorial desig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컴퓨터 그래픽을 포함하는 디자인 어워드의 작품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강태임(Tae Yim Kang),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디지털 시대의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은 디지털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모든 종류의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화하여 전세계로 전파된다. 대용량의 디지털 디자인을 관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디자인 어워드도 시대의 흐름에 맞는 디자인 평가 기준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대륙별 디자인 어워드의 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어워드들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한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포함할 수 있는 디자인어워드의 평가 기준을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맞게 미래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평가하는데 활용하도록 기존의 디자인 평가 방법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최근 3년간 컴퓨터 그래픽이 포함된 작품을 평가할 수 있는 각 대륙의 유명디자인 어워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디자인 작품을 디지털 시대에 맞는 평가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 연구 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디자인 어워드의 디자인 평가 기준들을 취합하여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공통점(Mutually)으로 평가 항목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Exclusively) 총체적이면서(Collectively), 철저하게(Exhaustively) 분석하는 MECE Categorization에 의해 전체 집합을 중복되지 않게 재구성하여 디지털화되어 가는 디자인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된 디자인 평가 기준 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디자인 어워드의 평가 기준표를 통합하여 분석한 항목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구성한 디자인 어워드의 디자인 작품 평가 모델을 도출하여 제시 하였다. Computer graphic design of digital paradigm uses multimedia to combine all kinds of information and data, and it spread out the output abroad. In this study, the design awards which can evaluate digital multimedia are selected to analyze current design awards` evaluation criteria in each continental area.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pporting design evaluation model to fulfill the needs of digital design fields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trends, and the new design evaluation criteria will be suggested as a supporting evaluation system.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he most popular world design awards are selected to evaluate digital computer graphic design within recent three year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design evaluation criteria of design awards which include computer graphics used, and analyzed with MECE categorization (Mutually, Exclusively, Collectively, Exhaustively).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 design evaluation model to fit in the digital environment will be suggested. The combined data of design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world famous design awards will apply a suitable design evaluation model for digital technology based design.

      • 전시 디자인의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유형 분석

        강태임(Kang, Tae Yim)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전시디자인은 예술 작품의 개인 홍보나 단체의 특정 목적 등을 위해서와 상관없이 이미 우리의 일상 상활 속에서 중요한 일부분이 되어 가고 있다. 실제로 느끼고 체험한 것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하는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은 전시디자인의 유형과 이를 표현방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인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디자인의 역사, 전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전시디자인의 유형에 대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국내외 전시 사례들을 중심으로 인터랙티브 전시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한 내용을 분석 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유형들을 통해 인터랙티브 전시 디자인을 위해서는 감성적, 행동적, 콘텐츠적 유형으로 나누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항목들은 앞으로 인터랙티브한 전시의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Exhibition design in digital information age does not depend on the purpose of personal or specific organizations" promotion any more. The exhibition design, itself became a core part of our life. According to the feeling and experiencing based on human life styles, exhibition styles are categorized in the various expressions of exhibiting concepts. In this study, the brief history of exhibition design and the role of exhibition design are mentioned to help understanding basic principles of exhibition design theory. Based on the related research works, the exhibition design can communicate with people in three different categories; emotion, activity, and contents focused on communication. These categories will be used to analyze the various cases of exhibition design communication to analyze the new trend of exhibition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모바일 앱 사이트의 컬러 분석

        강태임(Kang, Tae Yim)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of mobile app pages through color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concepts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bile app color combination, and its visual influence were discussed. The winning brand/shopping mall app works of Smart App Award Korea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For this study, the color distribution of selected app pages were reviewed with the color image scale by I.R.I. Color institute in Korea. To analyze the color tone in selected case studies from winning brand/shopping mall app works, the color tone, color combination, and the color theory were recommended as influential visual elements to keep app users longer in mobile app environment. As results, the suggested analysis tool of color showed some possibilities to use it as an evaluation criteria for designing mobile app site in the future. The suggested visual elements of mobile app color analysis will give a simple guideline to design affective mobile app in more effective ways.

      •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분석한 모션그래픽 광고 사례연구

        강태임(Kang, Tae Yim)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디지털미디어와 웹의 사용이 대중화 되면서 모션그래픽을 다양한 매체에 접목시켜 표현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더 이상 모션그래픽은 디지털 미디어의 시각적 표현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대중적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내는 디지털 미디어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한 분야에서 모션그래픽이 활용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모션그래픽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범위가 모호한 경향이 있다. 분석한 국내문헌 자료들 중 대다수의 선행 연구 자료에 자주 언급된 형태와 커뮤니케이션 관련 요소들 중에 중복되는 원리와 요소들을 배제시키도록 카드소팅(card sorting) 방법으로 구성 요소들을 다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적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시간, 움직임, 그래픽, 텍스트, 움직임, 사운드이고, 의미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요소들로는 내러티브스토리텔링, 인터랙티브, 기호, 메타포로 재구성하였다. 분류된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들을 적용시키기 위해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광고 사례들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시각적 이미지나 커뮤니케이션 위주의 표현이 강조되거나 하나의 시각커뮤니케이션으로 표현된 국내외 광고 사례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별 활용도를 체크하고 최근의 광고 디자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고에서 모션그래픽의 개념과 특징을 좀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국내외 광고 디자인을 사례분석 대상으로 삼아 재구성한 모션그래픽 구성요소로 분석한 결과는 모션 그래픽을 활용한 광고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에도 기여를 하였고 다른 매체에서도 모션그래픽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분석의 틀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using web, the cases to adopt motion graphic technologies are increasing. Motion graphics are not only technical tools to express visualization, but also important elements to lead communication with users. However, it is not clear to define the boundary of fundamental elements of motion graphics. Based on the researched information, the similar principles and elements were analyzed by card sorting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basic elements which influence visual elements are time, movement, graphic, text, movement, and sound. The elements which influence communication of meanings are narrative story-telling, interactive, sign, and metaphor. The analyzed elements are used to evaluate advertising products. First of all, visual image dominated, communication dominated, or visual communication which present within well balanced expression are the focused advertising case studies.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checking the use of motion graphics and the recent trend of advertising design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reorganized motion graphic elements will be helpful to bring some other possibilities to explore motion graphics in various design fields.

      • KCI등재후보

        포스터 광고 디자인의 스타일과 특징에 대한 분석

        강태임(Kang, Tae Yim)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디지털 환경 속에 존재하는 포스터 광고 디자인은 수많은 정보와 이미지들 속에서 빠르게 대중에게 보급되고 있다. 인쇄 광고를 중심으로 제작 되었던 포스터가 온라인상에서도 포스터 광고 디자인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시각적 표현 요소로 역사 속 포스터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포스터광고 디자인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포스터 광고의 중요성과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포스터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을 되돌아보고,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홍보 수단의 광고로 선별된 포스터들을 현재 시대의 흐름에 맞게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로 재분석 하였다. 온라인상에서도 포스터 광고의 파급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분석한 사례별 특징들을 도출하여 미래 포스터 광고 디자인의 전략을 예측하고 분석하는데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범위는 미국에 있는 인터네셔널 포스터 갤러리(International Poster Gallery)와 메사츄세츠 컬리지 오브 디자인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and Design)에서 소장하고 있는 국제적인 포스터들 중에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에 의해 정치적 프로파겐다와 사회적 시위를 표현한 대표적인 포스터들을 대상으로 스타일과 특징을 연구 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포스터의 종류를 크게 정치적 홍보와 사회적 홍보 수단의 포스터로 나누어서 지역별, 이슈별로 다시 분류하였다. 포스터의 시각적표현 분석은 현대 시대에 맞게 재구성 된 메타포, 그래픽, 컬러, 레이아웃,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선정한 포스터를 분석 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로 각 포스터의 시각적 표현의 구성 요소에 의해 스타일과 특징적인 요소들을 도출 하였다. 분석한 특징들을 비교한 결과, 정치적인 성향이 강한 프로파겐다 성향의 포스터들은 강력한 시각적 요소들로 표현 되었고, 온라인상에서 사회적인 이슈가 되어 전파된 포스터 광고들은 대중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스터 광고 디자인의 역할과 활용 범위를 되돌아보고 디지털 환경에서도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과 중요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The poster advertising design in digital environment offers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to common people. The posters creating as a printed media shoul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various posters in the historical backgrounds. It should stimulate the usabilities of poster advertising design in digit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principles of poster design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s were recovered to check the importances and the roles of poster advertising design. Political and social poster design was analyzed by the elements of design. Leading people to aware the big influences of poster design in digital environmen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he poster collections of International Poster Gallery and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and Design are used to analyze the visual elements of selected posters. Those posters are focused on political propaganda and social protest. Their styles and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the elements of visual expression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categorizing the selected posters by political and social advertising elements based on the popular issues. The elements of visual expressions are metaphor, graphic, color, layout, and storyte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reorganization of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posters" visu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the propaganda posters are expressed by strong visual elements. The popular issues on the internet are expressed with user experienced images in the posters. The role of posters and its scope of usabilities will suggest the possibilities and importances of poster advertising design in the digital environment.

      • 인터랙티브 접근 방법으로 분석한 웹 광고 사례에 관한 연구

        강태임(Kang, Tae Yim)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인터랙션을 주요 요소로 구성하고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변천사를 보면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디자인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들이 기존에 먼저 접하였던 서비스나 제품을 인쇄나 TV영상 매체를 통해서가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이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들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졌다. 이런 무선 인터넷 환경 때문에 웹 광고를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을 시도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 속에서의 웹 광고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발전흐름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인터랙션 디자인의 네 가지 접근 방법 (사용자 중심, 활동 중심, 시스템적, 창조적 디자인)을 관련 광고 사례에 적용시켜 비교 분석해 보았다. 비교 분석한 네 가지 접근 사례들을 시각적인 표현 요소들로 재분석하고 바이럴 마케팅에 성공한 웹 광고들의 공통점과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 요소들은 앞으로의 웹 광고들이 추구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 한다. The history of interactive media with interaction a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is focused on user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smart machines, people started to face web advertising materials, rather than using printed advertisements and TV commercials. Because of the offline internet environment, people want to use web advertisements of viral marketing more than using printed media. In this study, the four interactive design approaches (user-centered, activity-centered, systems, and genius design) with historical backgrounds of interactive media will analyze the selected web advertisements. The results of analyzing visual elements of the selected web advertisements in common and difference will give a new guideline to the future web advertisements.

      • KCI등재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그래픽영역의 시각적 표현 사례 분석

        강태임(Tae Yim Kang),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은 모든 종류의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화하여 보전한다. 대용량의 디지털 정보를 관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미디어의 본질적인 요소들을 점검하고 활용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디자인과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개념과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장단점을 검토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시각적 요소들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사례를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로 분석하여 새로운 타입의 디지털 디자인 콘텐츠가 등장하는 것을 예측하는데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 범위는 소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다양한 미디어의 특성을 디지털 디자인에 활용한 싸이월드, 페이스북, 유튜브를 최종 분석 사례로 선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웹스타일을 분석하는 표현구도(Layout)와 표현기법(Visual Effect)을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웹에 맞게 통합하여 시각적 표현요소분석 기준을 만들었다. 또한 이를 선정한 웹 사례에 적용시켜 각각의 시각적 표현 요소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선정된 디자인 사례를 시각적 표현 분석 기준에 의해 비교 분석한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의 대중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발굴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Digital multimedia design as a new paradigm of information age combines and keeps the data of every informatio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design should be checked and us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igital multimedia to manage various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and digital multimedia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m, the important elements of digital multimedia are categorized.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find the new trend of multimedia by analyzing the selected cases of digital design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For the scope of this study, Cyworld, Facebook, and Youtube which are based on the social networking were selecte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tal visual expression by combining and comparing the layout and visual elements of web. On the selected web, the visual expression analyzes the design elements. This paper will provide the analyzed information of selected cases by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In addition,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popularity of digital media will show the possibilities to find the new types of digit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