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강충배,김진구,김재원,Kang, Chung-Bae,Kim, Jin-Koo,Kim, Jae-Won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4

        Morphology of the gill in Lateolabrax japonicus was investigated after staining the gill, as a result, we found the gill is composed of gill raker, gill arch, gill filament and gill lamellae. The number of gill raker was 7~10 in the upper and 13~18 in the lower. Ultrastructure of the gill in Lateolabrax japonicus were examined by means of the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he gill have primary filament and secondary filament (lamellae). The following cells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pavement cell, pillar cell, blood cell, mucose cell and chloride cell etc. Simple epithelial layer consists of squamous epithelium contained large nucleus, intracellular organelles etc. and the surface is covered with some of microridges. The lamella pillar structures are characterized by the axial microtubules and lateral membrane interdigitations. The mucous cells were globular in shape, and had almost the mucous granules of same size with various electron density. Chloride cells contain a lot of mitochondria and specifically developed tubular systems.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 KCI등재

        한국산 Somniosidae 어류 1 미기록종, Somniosus pacificus

        강충배 ( Chung Bae Kang ),이우준 ( Woo Jun Lee ),김진구 ( Jin Koo Kim ),정혜경 ( Hye Gyeong Jung ) 한국어류학회 2015 韓國魚類學會誌 Vol.27 No.1

        돔발상어목 Somniosidae에 속하는 Somniosus pacificus 1개체가 2008년 2월 강원도 강릉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두 등지느러미 사이의 길이가 주둥이에서 첫 번째 새열까지의 길이보다 짧으며, 주둥이에서 첫 번째 등지느러미 사이의 길이가 전장의 45%를 넘고 몸은 전체적으로 잿빛을 띠는 특징을 가진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새로운 과명, 속명 및 종명으로 “잠상어과”, “잠상어속” 및 “잿빛잠상어”를 제안한다. A single specimen (192 cm total length, TL) of the Pacific sleeper shark, Somniosus pacificus, belonging to the family Somniosidae, order Squaliformes, was firstly collected from the west margin of the East Sea, Korea in February 2008. This specimen was characterized by having interdorsal space, being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nout and first gill open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nout and first dorsal fin origin more than 45% TL; head and body has overall dark brownish. The new Korean name “Jam-sang-eo-gwa” is proposed for the family Somniosidae, and “Jam-sang-eo-sok” for the genus Somniosus, and “Jat-bit-jam-sang-eo” for the species S. pacificus.

      • KCI등재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악,KIM Yong Uk,HAN Kyeong-Ho,KANG Chung-Bae,KOH Jeong-Rack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앨퉁이,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79.52\%$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1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52.39\%$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갈양태속어류가 $29.36\%$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쥐치, 조피볼락, 까나리 및 벵에돔이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4.3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연안쪽에서는 온배수 영향으로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에 서는 용승류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이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to Kori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1 to January, 1992. The dominant fish eggs included the eggs of Engraulis japonica, Maurolicus muelleri, Callionymus spp. and others. The eggs of Engrualis japonica and Maurolicus muelleri were $79.52\%$ and $1.86\%$ of the total eggs abundance, respectively. A total of 15 taxa of fish larvae were found. The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a accounting for $52.39\%$ of the total larvae and followed by Callionymidae fish($29.36\%$). Other major species were Stephanolepis cirrhifer($6.30\%$), Sebastes schlegeli($3.16\%$), Ammodytes personatus($1.33\%$) and Girella punctata($1.70\%$). These 6 taxa constituted $94.30\%$ of the total larvae collected. In this area, distributions of warm water had a great influence on larvae and juvenile distribution which usually is along the coast and the other places where there layer water movements since, upwelling in the open sea affects ichthyoplankton distribution.

      • KCI등재

        아산만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김용억,한경호,강충배,KIM Yong Uk,HAN Kyeong-Ho,KANG Chung-Bae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Asan Bay,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Bongo net at 8 stations from April, July and October of 1991, and January of 1992. The dominant fish eggs included the eggs of Nibea spp., Engraulis japonica, Callionymus spp., and others. The eggs of Nibea spp. and Engraulis japonica were $97.70\%$ and $1.30\%$ of the total egg abundance, respectively. Twenty three species of fish larvae were identifie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gobiid fishes accounting for $32.84\%$ of the all fish larvae, and followed by Ammodytes personatus($16.69\%$). Other major species were Anguilla japonica, Nibea spp., Pampus echinogaster and Engrualis japonica. These 6 taxa constituted $90.40\%$ of the total larvae collected. 아산만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민어속 어류, 멸치,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민어속 어류의 난이 전체 어란 출현량의 $97.7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2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조사기간중 망둑어과 어류는 7종이 출현하여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32.84\%$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까나리가 $16.69\%$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뱀장어, 민어속어류, 덕대 및 멸치가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0.4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내만쪽에서는 담수의 영향으로 아산호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 보다는 이들 기수 지역에서 많은양이 출현하여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강릉 섬석천의 하추계 어류상

        김용억,한경호,강충배,KIM Yong Uk,HAN Kyeong-Ho,KANG Chung-bae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5

        The freshwater fish fauna were surveyed in the Sumsuk stream located in Kangreung, Korea in August and October, 1992. The collected fishes includ 19 species, representing 6 families and 14 genera. Of these, Phoxinus keumkang, Coreoleucisus splendidus and Cobitis rotundicaudata are endemic to Ko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Chaenogobius annularis $(32.2\%)$, Phoxinus phoxinus $(27.0\%)$ and P. lagowskii $(21.1\%)$. Comparing to the previous studies, drastic changes have been occurred not only in number of species, but also in species composition. 섬석천 유역에 출현한 어류는 총 6과 14속 19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금강모치 (Phoxinus keumkang),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및 새코미꾸리 (Cobitis rotundicaudata) 3종이었다. 우점종은 꾹저구, Chaenogobius annularis $(32.24\%)$,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 $(26.97\%)$ 및 버들개, P. lagowskii $(21.05\%)$의 순이었다.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6속 9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으며, 기름종개과 (Cobitidae) 어류가 6종 출현하였다. 섬석천의 하류지역은 수질이 오염되어 있으므로 수질정화와 남획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한국산 점줄횟대 Cottiusculus nihonkaiensis (둑중개아목, 둑중개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진주원 ( Ju-won Jin ),강충배 ( Chung-Bae Kang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2023 韓國魚類學會誌 Vol.35 No.2

        The genus Cottiusculus Jordan and Starks 1904 (Cottoidei: Cottidae) comprises four species worldwide, three species in Japan, and two species in Korea. Cottiusculus species are characterized by a compressed head and body without scales, except for lateral-line scales, a preopercle with four spines, a curved uppermost preopercular spine with small dorsal spines, and teeth on the upper jaws, vomer, and palatines. Two Cottiusculus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Cottiusculus gonez and Cottiusculus nihonkaiensis. Among these, “jeom-jul-hoet-dae” specimens were initially identified as Cottiusculus schmidti by many Korean Ichthyologists. However, since C. nihonkaiensis was reported by Kai and Nakabo (2009), most such specimens have been identified as C. nihonkaiensis. To clarify the taxonomic status of “jeom-jul-hoet-dae”, we conduct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South Korea, and compared our findings with previous reports. Japanese and Korean C. nihonkaiensis specimens mostly consistent in some proportional measurements, our molecular results indicate that they are the same species. C. nihonkaiensis, “jeom-jul-hoet-da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gers by combination of following characters: simple nasal spines, two branched cirri at the upper jaw, cirri at the opercular, preopercular, and lateral lines, and a number of blotches below the lateral line.

      • KCI등재

        한국산 바다뱀장어과 (개칭) (Ophichthidae: Anguilliformes) 어류의 종 목록 및 국명 개칭

        지환성 ( Hwan-sung Ji ),강충배 ( Chung-bae Kang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4

        A checklist of snake eels (Ophichthidae) from Korea is presented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synonyms, distribution, occurrence records and key to species of 7 genera and 14 species. Also, we suggest change of the Korean names for the snake eels (Ophichthidae) “Ba-da-baem-gwa” to “Ba-da-baem-jang-eo-gwa”, and it’s members, because Korean names of snake eels (Ophichthidae) is similar to those of sea snake (Hydridae).

      • KCI등재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 자치어의 골격발달

        변순규 ( Soon Gyu Byun ),강충배 ( Chung Bae Kang ),명정구 ( Jung Goo Myoung ),차반석 ( Ban Seok Cha ),한경호 ( Kyeong Ho Han ),정춘구 ( Choon Goo Jung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2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 산출된 자어를 2007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치어의 성장 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산출직후의 자어는 어 떠한 골격요소도 전혀 골화되지 않았다. 부화 후 3일째의 평균전장 8.0mm에 처음으로 턱뼈의 골화와 함께 액골, 노 정골, 쇄골, 새개골, 새조골 등의 골화가 시작되었다. 새개부 를 구성하는 골격들은 12.3mm에 골화가 모두 완료되었으 며, 두개골과 견대골을 구성하는 골격들은 평균전장 16.2 mm에 골화가 완료되었다. 미골복합체는 평균전장 9.8 mm 에 하미축골의 골화가 시작되었고 이후 평균전장 10.8mm 에 1번째와 2번째 하미축골 및 3번째와 4번째 하미축골이 서로 융합이 일어났으며, 평균전장 18.0 mm에 마지막으로 상미축골이 골화되어 모든 골격이 완료되었다. 척색의 굴절 은 평균전장 8.5mm에 형성되어 평균전장 10.8mm에 완료 되었으며, 26개로 구성된 척추골의 골화는 13.2mm에 완료 되었다. 안와골의 골화는 안전골은 평균전장 10.8 mm에서 안하골은 평균전장 12.3 mm에서 골화가 시작되었으며, 평 균전장 27.5 mm에 완료되었다. 최종적으로 부화 후 71일, 평균전장 27.5mm에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Skeletal development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as studied based on extensive larval rearing conditions from December 2007 to March 2008. Newly-hatched larvae lacked osteological elements, After 3 days of bearing, jaw bones were ossifi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frontal, parietal, clavicle, opercle, preopercle and branchiostegal rays at 8.0 mm average total length (TL). Ossification of the opercular was completed by 12.3 mm and the full complement of ossified elements of cranium and pectoral girdle were completed by 16.2 mm. Ossification of the cartilaginous caudal complex began to at 9.8 mm, and completely ossified by 18.0 mm. The fusing of the first and second, and the third and fourth hypurals initially occurred by 10.8 mm, and their fusion was finally completed at 18.0 mm. Notochord flexion occurred and formed an individual centrum by 8.5 mm and 10.8 mm, respectively, and all 26 centra were ossified by 13.2 mm. The preorbital bone began to ossify on the anterior region of eye at 10.8 mm, and the 1st suborbital bone appeared ossified on the lower of eye by 12.3 mm, and all elements were ossified at 27.5 mm. Finally, after 71 days of bearing, the juveniles became 27.5 mm, and ossification was completed at this stage.

      • KCI등재

        한국산 당멸치, Elops hawaiensis의 재기재

        권혁준 ( By Hyuck Joon Kwun ),강충배 ( Chung Bae Kang ),김진구 ( Jin Koo Kim ) 한국어류학회 2011 韓國魚類學會誌 Vol.23 No.1

        2008~2010년 사이에 우리날 부산 및 광양에서 채집된 당멸치, Elops hawaiensis 4개체의 형태특징을 상세히 재기재하였다. 본 종은 아래턱의 봉합부와 협부 사이에 후판을 가지며, 입을 닫았을 때 전상악골의 치대 전체가 노출된다. 한국산 당멸치는 척추골수이 65~67개, 뒷지느러미 연조수가 14개, 측선비늘이 95~101개를 가지는 것이 특징적이었으며 이전 연구결과와 약간 달랐다.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480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4개체는 E. hawaiensis와 99.8~100% 일치하였다. 따라서, 우리 결과는 당멸치가 척추골 및 뒷지느러미 계수에서 지역적 변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사실을 제시한다. Redescription of the Hawaiian ladyfish Elops hawaiensis was carried out based on four specimens collected from Busan and Gwangyang between 2008 and 2010. This species has a gular plate between the symphysis and isthmus, and the entire premaxillary tooth band is exposed when the mouth is closed. Our Korean specimens of E. hawaiensi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65~67 vertebrae, 14 anal fin rays and 95~101 lateral line scales, which values differed slightly from those given in previous studies. Molecular analysis using 480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sequences showed that our four specimens corresponded well with E. hawaiensis (99.8~100.0%).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 exist regional differences in vertebrae and anal fin ray counts for E. hawaiensis.

      • KCI등재

        한국 여수에서 채집된 매가오리과 (Myliobatidae) 어류 첫기록종, Mobula thurstoni

        명세훈 ( Se Hun Myoung ),송영선 ( Young Sun Song ),강충배 ( Chung-bae Kang ),최홍인 ( Hong-in Choi ),김종관 ( Jong-gwan Kim ),윤문근 ( Moongeun Yoon ),임재복 ( Jaebok Im ),한동진 ( Dong-jin Han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매가오리목 매가오리과에 속하는 Mobula thurstoni 2개체 (1770~1850mm 체반폭)가 2018년 9월 전라 남도 여수시 연도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앞부분이 이중 굴곡이고, 등지느러미 바로 뒤 꼬리 시작부분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끝부분에는 흰색이고, 그리고 등쪽의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 Mobula kuhlii와 가장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 이중 굴곡을 가지고 있다는 점 (vs. 직선이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진다)과 등쪽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는 점 (vs. 회갈색)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이종은 M. kuhlii와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에서 유전적 거리 0.030~0.069의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이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매끈꼬리쥐가오리’를 제안한다. Two specimens (1770~1850 mm disc width) of Mobula thurstoni, belonging to the family Myliobatidae, order Myliobatiformes, were first collected from the central coast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eptember 2018.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n anterior margin of disc with double curvature, a white-tipped dorsal fin, and the absence of a caudal spine.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Mobula kuhlii, but has an anterior margin of pectoral fins with a double curvature and the dorsal coloration is bluish black rather than white. In addition, M. thurstoni was well distinguished from M. kuhlii as determined by mitochondrial DNA 16S rRNA sequences with genetic distances ranging from 0.030 to 0.069. The Korean name ‘Mae-kkeun-kko-li-jwi-ga-o-li’ is proposed for the species M. thurston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