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 자치어의 골격발달

        변순규 ( Soon Gyu Byun ),강충배 ( Chung Bae Kang ),명정구 ( Jung Goo Myoung ),차반석 ( Ban Seok Cha ),한경호 ( Kyeong Ho Han ),정춘구 ( Choon Goo Jung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2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 산출된 자어를 2007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치어의 성장 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산출직후의 자어는 어 떠한 골격요소도 전혀 골화되지 않았다. 부화 후 3일째의 평균전장 8.0mm에 처음으로 턱뼈의 골화와 함께 액골, 노 정골, 쇄골, 새개골, 새조골 등의 골화가 시작되었다. 새개부 를 구성하는 골격들은 12.3mm에 골화가 모두 완료되었으 며, 두개골과 견대골을 구성하는 골격들은 평균전장 16.2 mm에 골화가 완료되었다. 미골복합체는 평균전장 9.8 mm 에 하미축골의 골화가 시작되었고 이후 평균전장 10.8mm 에 1번째와 2번째 하미축골 및 3번째와 4번째 하미축골이 서로 융합이 일어났으며, 평균전장 18.0 mm에 마지막으로 상미축골이 골화되어 모든 골격이 완료되었다. 척색의 굴절 은 평균전장 8.5mm에 형성되어 평균전장 10.8mm에 완료 되었으며, 26개로 구성된 척추골의 골화는 13.2mm에 완료 되었다. 안와골의 골화는 안전골은 평균전장 10.8 mm에서 안하골은 평균전장 12.3 mm에서 골화가 시작되었으며, 평 균전장 27.5 mm에 완료되었다. 최종적으로 부화 후 71일, 평균전장 27.5mm에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Skeletal development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as studied based on extensive larval rearing conditions from December 2007 to March 2008. Newly-hatched larvae lacked osteological elements, After 3 days of bearing, jaw bones were ossifi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frontal, parietal, clavicle, opercle, preopercle and branchiostegal rays at 8.0 mm average total length (TL). Ossification of the opercular was completed by 12.3 mm and the full complement of ossified elements of cranium and pectoral girdle were completed by 16.2 mm. Ossification of the cartilaginous caudal complex began to at 9.8 mm, and completely ossified by 18.0 mm. The fusing of the first and second, and the third and fourth hypurals initially occurred by 10.8 mm, and their fusion was finally completed at 18.0 mm. Notochord flexion occurred and formed an individual centrum by 8.5 mm and 10.8 mm, respectively, and all 26 centra were ossified by 13.2 mm. The preorbital bone began to ossify on the anterior region of eye at 10.8 mm, and the 1st suborbital bone appeared ossified on the lower of eye by 12.3 mm, and all elements were ossified at 27.5 mm. Finally, after 71 days of bearing, the juveniles became 27.5 mm, and ossification was completed at this stage.

      • KCI등재

        단보 :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 초기생활기의 상대 성장

        변순규 ( Soon Gyu Byun ),강충배 ( Chung Bae Kang ),한경호 ( Kyeong Ho Han ),김진구 ( Jin Koo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6

        We examined the relative growth of Microstomus achne during early life stages of laboratory-reared larvae and juveniles. Turning points in the relative growth of preanal length and upper jaw length against total length occurred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11.12-19.91 mm in total length). However, turning points in the relative growth of head length and eye diameter, as compared to total length, occurred during metamorphosis (17.57-22.47 mm in total length). Our results suggest that Microstomus achne concentrates its energy on the feeding apparatus (jaw) and digestive organs (intestine) rather than sensory or neural organs (eye, head)during early larval stage growth

      • KCI등재
      • KCI등재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성성숙과 생식소발달

        변순규 ( Soon Gyu Byun ),김성연 ( Sung Yeon Kim ),김진도 ( Jin Do Kim ),이배익 ( Bae Ik Lee ),이종하 ( Jong Ha Lee ),한경호 ( Kyeong Ho Han ),정민환 ( Min Hwan Jeong ) 한국어류학회 2011 韓國魚類學會誌 Vol.23 No.3

        찰가자미는 우리나라 연해, 일본 서해, 발해,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겨울철인 12월에서 3월 사이에 어획된다. 채집이 가능하였던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찰가자미의 생체지수, 생식소발달, 생식주기, 난경조성 및 포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찰가자미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11월에 3.8에서 12월 9.76, 1월 12.46 까지 계속 상승하다가, 2월에 9.01, 3월 2.7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컷도 11월 0.44에서 12월 2.46로 상승한 후 1월에 1.77, 2월에 1.18로 점차 감소하여 3월에는 0.4로 감소하였다. 생식소 발달 단계는 성숙기 (11~1월), 완숙 및 산란기 (12~2월), 퇴화 및 휴지기(2~3월)의 연속적인 생식 주기가 관찰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1~2월이었다. 포란수 (F)와 전장(TL)과의 관계는 F=29.027TL-767.8 (r2=0.7686)로 나타났고, F와 체중 (BW)과의 관계는 F=0.3998BW+24.288 (r2=0.8919)로 나타났다.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is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west sea of Japan, BoHai,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They are mainly caught by bottom trawl net during winter, from December to March. Sexual maturation of slime flounder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commercial catc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November, 2006 to March, 2007. The ovary of the slime flounder is a conical bag in shape and is bilateral structure develops lengthily from the posterior of the abdomen to the end of the anal fin. The testis also is bilateral in structure, usually located in small size in the abdomen. In females, the gonadosomatic index (GSI) were peaked in January (12.46), then decreased rapidly thereafter. Female GSI values plummeted to 2.72 in March just after spawning. Male GSI values were peaked in December (2.46) before in the spawning season, then decreased slowly thereafter. The reproductive cycle w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uccessive developmental stages: maturation stage (November to January), ripe and spawning stage (December to February), degenerative and resting stage (February to March). Relationships between the fish sizes in total length (TL) and the number of ovarian eggs (F), the body weights (BW) and the number of ovarian eggs were indicated by the exponential equation respectively: F=29.027TL-767.8 (r2=0.7686), F= 0.3998BW+24.288 (r2=0.8919).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저온 배양한 L-type 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의 적정 영양강화 수온, 시간 및 영양강화제 종류

        유해균,변순규,최진,남명모,이해영,강희웅,이주,Yoo, Hae-Kyun,Byun, Soon-Gyu,Choi, Jin,Nam, Myeong-Mo,Moon Lee, Haeyoung,Kang, Hee Wong,Lee, Chu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mprove the survival and early life growth rates of cold-water fish by culturing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with low-temperature tolerance. The enrichment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over different time intervals. Cultivation of the rotifer at low temperatures was repeated, with the selected and cultured as the water temperature was gradually lowered from $20^{\circ}C$ to $10^{\circ}C$. Enrichment of the rotifer was completed using A, S, SCV and SCP. Enrichment was carried out after 6, 12 and 24 hour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0, 15 and $20^{\circ}C$). In the growth experiments, the rotifer increased to approximately triple their original size, from $350{\pm}7.9ind./ml$ to $1,064{\pm}5.7ind./ml$ at $10^{\circ}C$ over 50 day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four enrichment materials was species-specific, with the highest ratios belonging to eicosapentaenoic acid (EPA, C20:5n-3) and docosahezaenoic acid (DHA, C22:6n-3) in SCP.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otifers was affected by the enrichment materials. The EPA (% of total fatty acid) was more than 2 % in SCP, which showed a higher ratio than the other enrichment materials. DHA was higher in S reaching 12.40 % at $15^{\circ}C$ for 24 hours. The highest levels of EPA (3.09 %) and DHA (11.65 %) were obtained after the rotifers were enriched with S at $20^{\circ}C$ for 12hours. 본 연구는 유용 냉수성 어류 등의 종묘생산 시 초기의 성장과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에서 증식할 수 있는 저온 내성을 가진 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를 배양하여, 수온 및 시간에 따른 영양강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로티퍼의 저온 배양은 $20^{\circ}C$에서 배양하던 로티퍼의 수온을 점차적으로 낮추면서 활력이 있는 개체의 선별 배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10^{\circ}C$에서 사육하였다. 영양강화는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영양강화제인 A, S, SCV 및 SCP의 4종류를 사용하여 10, 15 및 $20^{\circ}C$의 수온에서 6, 12 및 24시간 실시하였다. 수온 $10^{\circ}C$에서 50일간 로티퍼의 증식률 실험을 한 결과 접종 밀도 $350{\pm}7.9$개체/ml에서 최종 배양 밀도는 $1,064{\pm}5.7$개체/ml로 약 3배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영양강화제에 포함된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n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인 eicosapentaenoic acid (EPA, C20:5n-3) 및 docosahexaenoic acid(DHA, C22:6n-3)는 SCP에서 각각 15.49%, 35.03 %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강화한 로티퍼의 지방산 조성은 영양강화제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EPA는 SCP가 영양강화 수온 및 시간에 관계없이 2 % 이상을 차지하여 다른 영양강화제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DHA는 S가 $15^{\circ}C$, 24시간 실험구에서 12.40 %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강화 로티퍼의 EPA와 DHA의 비율을 고려하면 S를 $20^{\circ}C$에서 12시간 영양강화한 실험구가 각각 3.09, 11.65 %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명태 초기 생활사에 고수온이 미치는 영향

        유해균,변순규,야마모토준,사쿠라이야스노리,Yoo, Hae-Kyun,Byun, Soon-Gyu,Yamamoto, Jun,Sakurai, Yasunori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4

        고수온이 명태 부화자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별 사망률과 부화 4일 후까지의 유영행동을 알아보았다. 실험 수조는 ${\O}10cm{\times}h85cm$ 실린더형 실험수조로 상층과 하층의 수온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작은 규모의 수온약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자어는 친어를 실내사육을 통해 자연산란한 수정란을 부화시켜서 사용하였다. 사망률 실험에는 $3.1^{\circ}C$에서 $9.7^{\circ}C$까지 4개의 수온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50 % 사망까지의 일수는 $3.1^{\circ}C$에서 18.7일, $9.7^{\circ}C$에서 10.3일로 수온이 높아질수록 짧아졌고, $5.1^{\circ}C$에서는 17.9일로 $3.1^{\circ}C$와 유사하였다. 고수온에 대한 부화 자어의 유영 행동은 성장함에 따라 상층 수온이 올라가면 수온약층 부근으로 분포 위치를 바꾸었다. 부화 2일 후 부터 상층의 고수온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부화 3일 후 부터 뚜렷하게 상층의 고수온을 회피하였다. 이 결과는 산란장의 표층 수온이 상승하면 부화 자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시사한다. We examined the effect of warm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larvae of walleye pollock and on their swimming behavior during the four days of post-hatch. Observations were conducted on larvae in Petri dishes and in 85 cm tall, cylindrical tanks that had a warmer upper layer and cooler lower layer separated by a small thermocline. Mortality was carried out in four temperature ranges from $3.1^{\circ}C$ to $9.7^{\circ}C$. The number of days to 50 % mortality ($D_{50}$) was longest (18.7 days) at $3.1^{\circ}C$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o 10.3 days at $9.7^{\circ}C$. And $D_{50}$ were similar level to that at temperature 3.1 and $5.1^{\circ}C$(17.9 days). Larval responses to warmer temperatures varied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2dph larvae changed the distribution to the thermocline of the water column. And, 3dph larvae had a ability for escaping from the unfavourable warmer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rmer water negatively affects the larval survival.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Hur, Young Baek,Cho, Kyu Tae,Byun, Soon Gyu,Jeon, Chang Young,Cho, Kee Chae 한국패류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9 No.2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 (L-3,4-dihydroxyphenylalanine, 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35.4{\pm}2.0%$, $19.2{\pm}2.1%$, $11.0{\pm}1.2%$, $15.2{\pm}0.9%$ 및 $42.7{\pm}2.7%$ 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 및 $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pm}2.7%$, followed by GABA ($35.4{\pm}2.0%$), 5-HT ($29.1{\pm}2.2%$), L-DOPA ($19.2{\pm}2.1%$), epinephrine ($15.2{\pm}0.9%$), and norepinephrine ($11.0{\pm}1.2%$). The chemicals ${\gamma}$-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pm}1.42$ and $2.37{\pm}1.86\;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 KCI등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와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잡종의 형태적 특징

        남명모 ( Myung Mo Nam ),변순규 ( Soon Gyu Byun ),이배익 ( Bae Ik Lee ),이종하 ( Jong Ha Lee ),김이청 ( Yi Cheong Kim ) 한국어류학회 2008 韓國魚類學會誌 Vol.20 No.4

        넙치 암컷과 강도다리 수컷을 인공교배하여 만든 잡종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잡종은 두 종의 중간 형태를 나타내지만 대부분의 형질이 수컷인 강도다리에 조금 더 가까웠다. 잡종은 체장에 대한 체고 비율이 56.3%로서 체고가 높고, 두장에 대한 문장 비율 20.6%, 두장에 대한 상악장 비율 34.2%이었으며, 체장에 대해 전배기장 10.5%, 전흉기장 32.2%, 전복기장 29.8%, 전둔기장 28.0%로서 강도다리 체형에 다소 가까웠다. 눈이 있는 쪽은 암황록색 바탕에 옅은 검은 얼룩이 흩어져 있으며, 강도다리 체측에 산재해 있는 작은 골판은 없다. 등지느러미에 6~20개, 뒷지느러미에 5~10개의 가로띠무늬가 있으나 가장자리로 갈수록 흐려져 불명료해진다. 지느러미 기조수는 등지느러미 60~66, 뒷지느러미 40~51, 꼬리지느러미 18~21, 가슴지느러미 11~12개였으며, 아가미의 새파수 13~18, 새사수 73~98개였다. 척추골수는 34~37개였으며, 미추골 시작부위에서 척추골 2~3개가 융합된 개체가 많았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oss-bred F1 hybrid between female Paralichthys olivaceus and male Platichthys stellatus were studied. The hybrids showed comm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parents, but showed more morphological similarity to P. stellatus than P. olivaceusin the following biometries: higher ratios of body length to body height (56.3%), head length to snout length (20.6%), and head length to upper jaw length (34.2%). They also showed some significant biometric characteristics similar to P. stellatus, such as ratios of predorsal length (10.5%), prepectoral length (32.2%), preventral length (29.8%), and preanal length (28.0%) to body length. The hybrids had black spots on the dark brownish-green area near the eyes, and they lacked the small bony tubercles that area characteristic of Platichthys stellatus. The hybrids had unique bands: 6~20 bands on the dorsal fin and 5~10 bands on the anal fin that gradually lost their coloration towards the fin margins. The number of fin rays were 60~66 for dorsal fin, 40~51 for anal fin, 18~21 for caudal fin, and 11~12 for pectoral fin. The gills of the hybrids contained 13~18 gill rakers and 73~98 gill filaments. The vertebrae of the hybrids numbered 34~37, with 2~3 vertebrae fused from the start of the caudal vertebra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