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다문화교육적 대안

        강창욱 ( Chang Wook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농문화를 이루고 있는 농사회가 우리 사회 속의 하위문화 공동체로 새롭게 인식되어져야 하며, 이것이 사회과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반영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데, 농인의 사회적 행동을 다룰 수 있는 대표적 교과인 사회과의 근간을 이루는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농사회와 농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008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는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의함”이라는 한 줄로 마감하고 있으며,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는 농인들과 농문화에 대한 내용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것은 농학생의 정체성 확립과 우리 사회 속에 존재하는 농사회와 문화를 농학생들에게 제대로 가르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에 농인학을 적용하기 위해 농교육에서 사회과가 가지는 의미를 농인의 정체성과 농사회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하고,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원용하도록 한 ‘2008 개정 청각장애 사회과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2007 개정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에서 농의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끝으로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다문화교육적 대안으로서 농인학 적용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thought the deaf community and deaf culture should be concerned as one of sub-cultural groups in our society. Moreover, the researcher of the current study believes that this concept should be carried on as on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ince the subject especially deals with socially acceptable behaviors. This study was purposefully designe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ir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deaf culture based on a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schools for the deaf is exactly the same as the curriculum of regular schools. Therefore, there is no credit hour to handle the specialties of deaf culture and deaf community. In order to apply deaf studies into social studies curriculum, meanings of the subject ‘ssoocciiaall studies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searching the identity of the deaf people and the deaf community. Based of the intent taking the same curriculum for deaf educ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deaf studies in the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introduced methods and samples regarding applications deaf studies into the social studies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현대 교통 상황에서 플로이드 알고리즘의 활용

        강창욱(Chang-Uk Kang),이형옥(Hyeong-Ok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현대 교통 상황에서 플로이드 알고리즘은 여러 도시를 방문할 경우보다 효율적인 최단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동적 계획 방식이 적용된 플로이드 알고리즘은 이미 계산된 결과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계산에 반영되어 중복 계산을 방지하고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며 경로를 탐색한다. 아래에 제시된 세 개의 도시를 방문할 때 최단경로의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 간 거리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지역 간 최단 거리를 탐색하고 최종 계산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 언어지도 방향성 설정을 위한 반성과 대안

        강창욱 ( Chang Wook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청각장애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핵심적인 지도가 언어지도이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지도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반성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청각장애학생 언어지도와 관련해서 전통적으로 수화와 구화, T.C., 2Bi-Approach와 같은 의사소통 수단의 문제가 오랜 논의 과제였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수단에 관한 논의가 아닌 언어습득이론, 언어교수법의 변화, 한국어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것들이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지도에 시사하는 바를 탐구함으로써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언어지도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지도는 형태와 의미 어느 한 쪽에 치우치는 접근보다는 형태와 의미가조화를 이루어 통합된 의사소통적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균형적 언어교수법과 형태초점교수법에서의 언어지도 원리를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적 특징에 적합하도록 수정ㆍ적용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teaching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teaching method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was done to reflect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th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raditionally, problems of communication methods, like sign language, oral language, T.C., and 2Bi-Approach, have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language teaching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stead of discussing communication ways, this research analyze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change of language teaching approaches, and features of Korean language to explore implications on language teaching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order to find language teaching alternativ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Language teaching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needs communicative approach in harmony with form and meaning, rather than focusing on one side. For this purpose, language teaching principles on balanced language teaching and focus on form need to be modified and applied in order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 경영품질혁신 지원 도구 개발

        강창욱(Chang Wook Kang),심성보(Seong Bo Sim),백재원(Jae Won Paik),강해운(Hae Woon Kang)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2 No.추계

        We developed the software named as Management Quality Renovation Software in 2002 as a government project supported by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ways to help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improve quality by Management Quality Renovation software.

      • 특수학교 교사의 효능감 관련 변인 분석

        강창욱(Kang Chang-Wook),김혜정(Kim Hye-Jeong) 한국재활과학회 2003 難聽과 言語障碍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job-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efficacy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315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ere asked to respond the Teacher Efficacy Scales for Special and the questionnaire for survey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job related environment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research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all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explained significantly the variance of teacher efficacy(R2=.221. F=8.62: p<.OOl), b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R2=.026. F=2.07: p>.05). The second.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job-related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 efficacy is situation-specific perception rather than personality traits. The third, controlling the effects of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eacher efficacy, the strongest effects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s'(R2= .173, F=21.73: p<.001), followed by 'human environments'(R2=.1l2, F=9.73: p<.OOl), and 'burdens of working'(R2=.036, F-3.86: p<.Ol). Finally, all three variable categories of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s have consistently more effects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an on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personal teacher efficacy is more situation-specific tha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글 내용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창욱 ( Chang Wook Kang ),임정미 ( Jeong Mi L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흥미 있어 하고 관심이 있는 생활 속의 글감들을 학습주제나 도구로 이용하여 활동중심의 총체적 읽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들의 읽기 능력향상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는 Y시 I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지도는 주 2회씩 7주간 총 13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아동의 글 내용 이해능력의 변화과정을 세밀히 관찰 기록하고, 아동의 활동내용을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질적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다. 첫째,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총체적 읽기 지도와, 생활 속의 글감을 재구성한 흥미 있는 이야기 거리로 점차 읽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세부내용 찾기도 처음엔 교사가 들려주는 글에서만 찾을 수 있었으나, 점차 아동 스스로 세부내용 찾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글 읽기에 덜 유연했던 아동들은 글의 의미파악을 잘 하지 못하였으나,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읽기 활동을 하면서 사고가 확장되고 배경지식이 활성화되어 중심문장 찾기에서 높은 언어 맥락 수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y applying whole language reading program made up of interesting text materials as a tool or learning theme found in everyday life. 3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ttending "E" elementary school situated in "Y" city we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language instruction twice a week for 7 weeks, a total of 13 instructions and their improvement of text comprehension ability were carefully observed and recorded in detail. Also portfolio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ir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how this reading program affected participants reading ability.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fter the study. First, In text materials found in everyday life, the holistic reading i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reading materials to more interesting stor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f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at first, can only find detail information through teacher but gradually, they were able to find on their own.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poor understanding of the words but through reading practice of text materials found in everyday life, their thought process increased and familiarity of surrounding helped them to find the key sentence to understand their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