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간세포와 조혈계 손상 마우스에서 퀘르세틴 투여 후의 방사선방호 효과

        강정애(Jung Ae Kang),윤선혜(Seon Hye Yoon),노종국(Jong Kook Rho),최대성(Dae Seong Choi),장범수(Beom-Su Jang),박상현(Sang H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7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 후 퀘르세틴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여 감마선 조사로 인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한 방사선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및 흉선 지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LT와 AST의 활성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체내에서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생체물질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조직을 손상시킨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의 지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방사선에 의한 장애를 감소시켰으며, 항산화효소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항산화 활성도 회복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후에 퀘르세틴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어 방사선 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quercetin against radiation-induced hepatocellular and hematopoiectic damage in BALB/c mice. Mice were exposed to 6 Gy of γ-radiation and orally administered quercetin (25, 50 mg/kg b.w.) for 7 consecutive days. γ-Irradiation caused marked elevation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s well as reduction of spleen index, thymus index, and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In addition, γ-irradiation induced significant elevation of lipid peroxidation as well as reduc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However, post-treatment with quercetin resulted in a significant recovery of all of these parame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ercetin acts as a potent radioprotector against irradiation-induced cellular damage in mice.

      • SCOPUSKCI등재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세포 손상 마우스에서 루틴 투여 후의 방사선 방호 효과

        강정애(Jung Ae Kang),윤선혜(Seon Hye Yoon),노종국(Jong Kook Rho),최대성(Dae Seong Choi),장범수(Beom-Su Jang),박상현(Sang Hyu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 후 루틴을 7일 동안 경구투여하여 감마선 조사로 인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한 방사선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루틴의 투여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조혈 면역계 손상을 억제하여 보호하였으며, 증가된 간독성 지표 효소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체내에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생체물질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조직을 손상시킨다. 루틴을 투여한 군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지질과산화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루틴을 투여한 군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에 항산화 활성을 회복시켰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후에 루틴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어 방사선 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rutin against whole-body γ-irradiation in BALB/c mice. BALB/c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xposed to 6 Gy γ-irradiation. One hour later,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rutin (50 and 100 ㎎/㎏) for seven consecutive days. γ-Irradiation (6 Gy) resulted in cellular damage as manifested by elevated levels of plasma hepatic marker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liver tissue, accompanied with decreased spleen and thymus indices, and white blood cell count. In addition, γ-irradi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Rutin treatment significantly protected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cellular damage, which was evident by the improvement in the status of most of the investigated parameters. Therefore, rutin has beneficial effects against radiation-induced damag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조직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헤스페레틴 투여 후의 방사선방호 효과

        강정애(Jung Ae Kang),남유리(You Ree Nam),노종국(Jong Kook Rho),장범수(Beom-Su Jang),정영진(Young-Jin Chung),박상현(Sang H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5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과 헤스페리딘을 7일 동안 경구투여 하여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조직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감마선 조사 7일 후의 체중 변화에서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투여한 군이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회복됨을 보여주었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투여한 군의 비장 지수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조혈면역계의 손상에 대해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50 mg/kg 투여한 군의 ALT와 AST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투여한 군의 지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보여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회복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50 mg/kg 투여한 군의 XO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투여한 군의 GSH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 항산화 방어 체계를 정상 범위로 회복시켰다. 감마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을 25 mg/kg 투여한 군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방어체계를 회복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후 헤스페레틴의 투여가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헤스페레틴은 방사선 노출에 있어서 방사선방호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onizing radiation induces cell damage through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ost-treatment with hesperetin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cellular damage and oxidative stress in BALB/c mice. Healthy female BALB/c mice were exposed to γ-irradiation and administered hesperetin (25 mg/kg and 50 mg/kg, b.w., orally) for 7 days after 6 Gy of γ-irradiation. Exposure to γ-irradiation resulted in hematopoietic system damage manifested as decreases in spleen indexes and WBC count. In addition, hepatocellular damage characterized by increased levels of aspartate amino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in plasma. However, post-irradiation treatment with hesperetin provided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hematopoietic system damage and decreased AST and ALT levels in plasma. The results indicate that γ-irradiation induced increases in lipid peroxidation and xanthine oxidase (XO) as well as decreases in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GSH) in the liver. These effects were also attenuated by post-treatment with hesperetin, which decreased lipid peroxidation and XO as well as increased antioxidant enzymes and GSH. These results show that post-treatment with hesperetin offers protection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tissue damage and oxidative stress and can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radioprotector during radiotherapy.

      • KCI등재

        이모티콘 유형에 따른 감정소통의 효과성 연구 - 수신자의 성별 및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

        강정애 ( Jung Ae Kang ),김현지 ( Hyun Ji Kim ),이상수 ( Sang Soo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이모티콘 유형이 포함된 감정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해석정도(내용이해, 감정인지, 반응 측면)를 분석하여 온라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인 이모티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모티콘의 변천과정을 반영하여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와 텍스티콘,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이 포함된 메시지의 총 5가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감정상태별 시나리오 상황을 구성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성별 및 전공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감정상태 중에서는 쾌감에서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 등의 효과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불쾌감에서는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의 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남녀 간에는 여학생이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 메시지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은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에 대해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전공계열별로는 몇몇 메시지 유형에서 예체능계열과 자연공학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공학계열이 대부분의 이모티콘 유형에서 다른 계열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감정의 유형과 성별, 전공계열별 차이를 고려하여 메시지의 형태를 가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emoticon type in on-line communication context through analysis decoding(by their interpretation, empathy, reaction) of receiver about emotional message included the various emoticon types. Message types were all 5 - only text message and messages included texticon,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that reflecte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emoticon. Survey questionnaire that included various emotional situations was developed and utilized to undergraduate studen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gender and major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messages had higher effectiveness than others in the pleasure while the text only message had the highest effectiveness of them in the displeasure. Second,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while 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ext only message was. Third, between Arts/Physical and Science/Engineering maj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message types, and especially Science/Engineering majors showed higher average than other majors in all of the emoticon types.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design messages by the emotional situation of sender and gender and major of receiver.

      • KCI등재

        Pair Fed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항증체,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강정애(Kang Jung Ae),채인숙(Chae In Sook),송영보(Song Yong Bo),강정숙(Kang Jung Sook)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7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나 추출물에서 증체 억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녹차성분이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대사율을 올려 열량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이해를 같이 하는데, 예비실험에서 사료섭취량 자체가 억제됨을 감안 할 때 녹차 추출물이나 분말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의 높은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력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체 콜레스테롤 pool size에 강한 homeostasis 기질이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흡수억제에 있어서 녹차분말과 녹차 추출물의 장내 유용성과 체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 생성에 있어서 EGCG를 포함한 차 카테킨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녹차 분말과 추출물은 항산화 지표에도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녹차 카테킨은 수용성으로 bioavailability가 비교적 높은 polyphenol계 항산화 물질로서 녹차 잎의 건조중량 50% 이상이 카테킨이고 이중 80% 이상이 catechin gallate 형태로 강한 항산화 효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다. 노화를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과정이라 볼 때 식품으로서 녹차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 차로 마시는 녹차의 섭취방법에서 분말이나 추출물로 섭취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분말과 추출물의 영양적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유리 (free)된 카테킨 형태로 추출물이 유리할 수 있지만 녹차분말이 식품으로서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분말차의 섭취도 좋은 방법이다. 음료로서 따져 볼 때 일회 분량 2 g의 녹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은 EGCG기준으로 109~147 ㎎정도이고 이를 비타민 C로 환산하는 경우 142~168 ㎎이다.31)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비만이나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We compared antiobese, hypocholesterolemic, antiplatelet and antioxidant effect of 10% green tea powder and 3% green tea extract in rats pair fed 5% cholesterol diets. The final body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Plasma and liver total cholesterol were lower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or extract,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DL cholestero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or green tea extract (p << 0.05). Plasma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green tea powder, and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p < 0.05). Liver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or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1). Platelet aggregations in the maximum and initial slope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Hemolys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Plasma TBARS production was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Na passive leak in intact cells was not different, but Na leak in AAPH treated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than the control (p < 0.05). The leak increase (△Na Leak) after AAP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of green tea powder and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Isotope excretion after ¹⁴C-cholesterol inges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or the green tea powder (p < 0.05). Consumption of green tea in powder or extract may give beneficial effects in weight control and plasma lipid profiles, impeding metabolic syndrome. More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what component of green tea and what mechanism are involved in antiobese and hypolipedemic actions of green tea.

      • SCOPUSKCI등재

        감마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방사선방호 효과

        강정애(Jung Ae Kang),김혜림(Hye Rim Kim),윤선혜(Seon Hye Yoon),장범수(Beom-Su Jang),최대성(Dae Seong Choi),박상현(Sang Hyu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in vivo에서 BALB/c 마우스에 나린진과 나린제닌을 7일 동안 경구투여 한 후 6Gy의 감마선을 조사시켜 24시간 뒤 감마선 조사로 인한 세포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사선 예방효과를 검토하였다.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평가에서 나린제닌이 나린진보다 ABTS 제거 활성 및 FRAP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아글리콘 형태인 나린제닌이 글리코사이드 형태의 나린진보다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전 나린제닌을 투여 한 군이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지수, 흉선 지수 및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린제닌을 투여 후 감마선을 조사한 군의 ALT와 AST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전에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지방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보였으며, XO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마선 조사 전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GSH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에 항산화 활성을 회복시켰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전에 나린제닌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세포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어 방사선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ve effects of Naringin and Naringenin in γ-irradiated mic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Naringin and Naringenin was evaluated by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Healthy female BALB/c mice were administered Naringin and Naringenin orally (90 μM/dose and 180 μM/dose) for 7 consecutive days prior to γ-irradiation (6 Gy). Naringenin displayed a much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ABTS and FRAP than naringin. γ-irradiation resulted in cellular damage with decreased spleen and thymus indices and white blood cells (WBC) count. Additionally, γ-irradi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and decreased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and glutathione (GSH) in the liver tissue. Strikingly, prior administration of Naringenin resulted in considerable prevention of these symptoms. Protection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cellular damage by Naringenin is likely due to its higher its antioxidant activity. Together, these results confirm that Naringenin is a potent antioxidant and radioprotector.

      • KCI등재
      • KCI등재

        메시지 송신자의 성별, 메시지의 감정유형, 그리고 수신자와의 친밀도에 따른 이모티콘 유형별 사용 선호도

        김현지(Hyun-Ji Kim ),강정애(Jung-Ae Kang),이상수(Sang-Soo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by emoticon typ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sender, emotion types of message and intimacy with the recipient. Results show that women mostly prefer to use dynamic and imaged emoticon than men. However, the preference of using text messages increases when both men and women express uncomfortable emotion. Especially, when users send family messages, they tend to prefer for text message. And when users send close friends messages, the preference for dynamic and imaged emoticon is high. When users send distant friends messages, the similar tendency is shown regardless of emotion.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use emoticon in the filed of education and take advantage in digital education and mobile education.

      • KCI등재

        교육학과 학부생의 진로 탐색을 위한 메타버스 개발 연구: 교육의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의 접근

        김은영(Eun-Young Kim),이수민(Su-Min Lee),강정애(Jung-Ae K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1

        The universitys Department of Education aims to teach overall knowledge of education and produce educational experts in various fields. However,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f this, many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y choosing their career path. As students career choices are postponed, unnecessary social costs also increase, and this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is study, a metaverse environment using ZEP was established so that education students could explore their careers in their major fields using design thinking techniques to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career areas to education students,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ield, use them for self-development, and promote exchanges with seniors working in the field. The established metaverse was reviewed by experts and students, and metaverse space was finally completed through final re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a metaverse digital content to solve social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sponsibility i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