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강연주,박종완,임승빈,Kang, Yon-Ju,Park, Jong-Wan,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광장이 단순히 공동주택 거주자들만을 위한 내적이고 자기 완결형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 활성화된 열린 공간으로써 그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이 갖는 심리적 접근성,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에 각각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개방성과 접근성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거리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중앙광장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린 정도에 따라 이를 열린 구조와 닫힌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 지역 안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신림 푸르지오와 방학 대상타운 현대, 그리고 관악 푸르지오와 방학 삼성 래미안 1단지를 대상지로 선정, 각각 공동주택 거주자들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두 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총 여덟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의 측정 등을 실시한 결과 위의 연구 가설들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에서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개방성과 접근성이 높은 경우 지역 공동체의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성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지역 공동체의식이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구체적인 대상지를 통해 분석,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향후 실천적인 중앙광장의 계획과 조성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een broken up due to urban residence re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Central squares do not simply function as inner-aiming and self-completed spaces for the residents, but their role can be expanded to a core location which encourages neighbo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upposi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hysical locations of th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affect apartment residents' openness toward their neighbors and non-residents' accessibility to the square. At the same time, it influences the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represented as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form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study, we first categorized central squares as either open-structure or closed-structure based on how accessible it is from outside the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se types of central squares, Sillim Prugio, Banghak Deasang Town Hyundai, Gwanak Prugio and Banghak Samsung Raemian 1 which have similar conditions and different structures were selected as sites of the study. Then each apartment complex was classified by apartment residents and non-residents so that eight groups were prepar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especially regarding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indicated that the suppositions were right. Hence,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are high in a central square with an open-structure while high standards of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guarantee a positive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at the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s reciprocally related to psychological openness, accessibil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may serve as theoretical grounds for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practical central squares.

      • KCI등재

        서울 금호동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계획

        강연주,배정한,Kang, Yon-Ju,Pae, Jeong-Han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서울 금호동은 응봉의 산자락에 위치한 재개발 주거지역으로, 지형적 문제와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조성, 부분적인 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주민들의 물리적, 사회적 단절이 심각한 곳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금호동의 단절된 커뮤니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상적 장소인 오픈스페이스의 기능과 이의 원활한 네트워크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유형의 오픈스페이스를 점 또는 면적인 '거점'과 선적인 '통로'로 단순화하여 구분하고, 전체적인 맥락에서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점과 통로의 연결거리가 500m 이상인 구간이 전체의 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유치권 안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도 다수 나타났다. 축선도에 의한 연결도와 통합도 분석을 통해 연계가 취약한 구간을 점검하였으며, 추가로 거점이 필요한 구간도 산정하였다. 또한 거점과 통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실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거점과 통로의 수적, 질적인 확보를 위한 금호동의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상지 중심부에 주요 거점을 추가하고 6개의 보조 거점도 신규로 설치하였으며, 낙후된 보조 거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연계가 힘든 대현산지역 근린공원 주변에 연결 통로를 확보하여 주요 통로로 기능하게 하고, 일부 구간을 중심으로 통로의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였다. 네트워크 계획의 결과, 연결거리는 상당부분 줄어들었고, 연결도와 통합도는 증가하였으며, 유치권도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를 위한 법적, 제도적 뒷받침과 정량적인 지표화 과정 등의 한계점을 가지나, 복잡한 오픈스페이스의 유형을 단순하고 명확하게 정립하고, 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갖는다. Geumho-dong, Seoul, a redeveloped residential area, is located in the foothills of Mt. Eungbong. The geographical undulation, the composition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and the partial implementation of the redevelopment project have caused the severe physical and social disconnections in this area. In order to recover functioning in the disconnected communi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egeneration of the open spaces as an everyday place and in the form a network system among those open spaces. Various types of the open spaces are classified into points or faces, 'bases' and linear 'paths' analyze the network status. More than half of the open space have connecting-distance of 500m or more. Furthermore, many areas are not even included in the service-area of the open spaces.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value using the axial map has carried out to check weak linkages and to choose the sections where additional bas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ases and the paths, a field investigation is conducted and problems are diagnosed. The network planning of the open spaces in Geumho-dong is established, ensu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bases and paths. The plan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an additional major base in the central area and six secondary bases in other parts, and comes up with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underdeveloped secondary bases. In the neighborhood parks at Mt. Daehyun areas, the major path are added, and the environment of the paths is improved in certain areas. Because of the network planning, the connecting-distances between bases are reduced significantly, the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value of the area are increased, and the service areas of the open spaces cover the whole area properly.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needs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difficulties of a quantitative indexing process,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suggestion of a more reasonable and practical plan for the overall network system by defining complex types of open spaces simply and clearly and by examining the organic relationship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 KCI등재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를 통해 본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의 설계 전략

        강연주,김정화,배정한,Kang, Yon-Ju,Kim, Jung-Hwa,Pae, Jeong-Hann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5

        본 연구는 한국토지공사가 주최한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2008)의 분석을 통해 도시 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 설계의 성과와 그 수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최근 도시공원 조경설계공모에 대한 이론적 비평이자 도시공원의 미래 위상을 구상하는 작업의 하나라는 의의를 지닌다. 기존에 연구된 설계공모 분석 방법을 고찰하여 인천청라지구 설계공모에 적합한 다층적 분석 방법을 마련하였고,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 연구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공원 설계를 위한 9가지 주요어와 분석 항목의 틀을 작성하였다. 또한, 청라지구 설계공모의 지침을 분석하여 앞의 분석틀을 네트워킹, 부지, 생태, 스케일, 인프라스트럭쳐의 5가지의 주요어로 다시 정리한 후, 이를 청라지구 설계공모 출품작의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청라지구 설계공모 출품작들에 대하여 설계 전략과 개념을 살펴보는 방법과 분석틀을 통하여 살펴보는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을 설계하는 태도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개발지구라는 대상지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상호 연관된 네트워킹과 스케일의 문제, 도시 이미지의 구축을 위한 장소성과 상징성의 창출, 그리고 생태적 도시 환경의 조성과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도시공원의 역할의 강조 등이 각 출품작들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출품작마다 다양한 해석을 통해 제안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에서 이러한 전략들은 단순한 형태의 구현이나 개념적인 해석에 머무른 경향이 있었으며,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으로 발전되지 못한 아쉬움을 남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result and the quality of urban park design as infrastructure by analyzing the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for Cheongna New City, which was organized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broadly examines several recent design competitions for urban parks, thereby discussing what the future urban park should be.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ing analysis methods of design competi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method of analysis for the Cheongna competition. Through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the urban park as infrastructure and the design strategies of landscape urbanism, nine key words and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urban park design a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guidelines for the competition, five key words; networking, site, ecology, scale, and infrastructure have been selected and are us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the competition. The analysis of the contestants of the competition based on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leads to a few implications for urban park design as infrastructure: networking and sca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site; the creation of a sense of place and symbolism in creating the urban image; planning for an ecological urban environment;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urban park as infrastructure. These implications are highlighted and discussed by the contestants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s. These ideas, however, are provided as a simple configuration of shapes and conceptual explanations and fail to be developed into synthetic, practical strategies.

      • KCI등재

        철결핍성빈혈 진단과 RDW, MCV

        조경진(Kyung-Jin Cho),남영미(Young-Mi Nam),강연주(Yon-Ju Kang),민해연(Hae-Yon Min) 대한의생명과학회 1995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1 No.1

        자동혈구계산기에서 산출되는 RDW나 MCV가 철결핍성빈혈의 구분진단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를 보기 위하여 어느 대학병원의 최근 5년 동안의 의무기록과 건강진단결과를 이용하여 227명의 빈혈환자와 143명의 건강인을 선정하고 그 들의 혈액검사 결과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빈혈환자로서는 철결핍성빈혈과 재생불량성빈혈 환자가 많았으며, 그 외에 만성질환과 관련된 빈혈환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인 들에 비하여 빈혈환자에서 RDW는 높게, 그리고 MCV는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철결핍성빈혈에서는 다른 빈혈에 비하여 19.3±4.8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MCV는 62.9±13.7fl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그 빈혈의 정도에 따라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빈혈관련수들을 이용하여 D.F.=0.26-0.012MCV-0.130MCH+0.073MCHC+0.052RDW+0.003PLT와 같은 판별함수가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철결핍성빈혈과 다른 빈혈을 구분하는데 있어서는 MCV, MCH, MCHC, RDW등이 판별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DW and MCV are thought to be the highly sensitive blood cell parameters in the differentiation of iron deficiency anemias. Through the medical records of 227 anemic patients and the physical checking results of 143 healthy persons in a General Hospital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the authors evaluated various blood cell parameters including RDW and MCV.Iron deficiency anemia, aplastic anemia and other anemia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were shown as the three major causes of anemias in Korea. In the patients of iron deficiency anemia MCV was very low(62.9±13.7fl), while RDW was very high(19.3±4.8) showing much lower MCV and much higher RDW in severe IDA compared with in mild IDA. To differentiate iron deficiency anemias form other anemias, a discriminant function was developed from some blood cell parameters like MCV, MCH, MCHC, RDW and platelets(D.F.=0.26-0.012MCV-0.130MCH+0.073MCHC+0.052RDW+0.003PLT).

      • KCI등재

        철결핍성빈혈 진단과 RDW, MCV

        민해연,강연주,조경진,남영미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NE 1995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1 No.1

        자동혈구계산기에서 산출되는 RDW나 MCV가 철결핍성빈혈의 구분진단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를 보기 위하여 어는 대학병원의 최근 5년 동안의 의무기록과 건강진단결과를 이용하여 227명의 빈혈환자와 143명의 건강인을 선정하고 그들의 혈액검사 결과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빈혈환자로서는 철결핍성빈혈과 재생불량성빈혈 환자가 많았으며, 그 외에 만성질환과 관련된 빈혈환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인 들에 비하여 빈혈환자에서 RDW는 높게, 그리고 MCV는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철겹핍성빈혈에서는 다른 빈혈에 비하여 19.3±4.8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MCV는 62.9±13.7fl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그 빈혈의 정도에 따라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빈혈관련수들을 이용하여 D.F.=0.26-0.012MCV-0.130MCH+0.073MCHC+0.052RDW+0.003PLT와 같은 판별함수가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철결핍성빈혈과 다른 빈혈을 구분하는데 있어서는 MCV, MCH, MCHC, RDW등이 판별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할수 있었다. RDW and MCV are thought to be the highly sensitive blood cell parameters in the differentiation of iron deficiency anemias. Through the medical records of 227 anemic patients and the physical checking results of 143 healthy persons in a General Hospital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the authors evaluated various blood cell parameters including RDW and MCV. Iron deficiency anemia, aplastic anemia and other anemias associated with chronic discase were shown as the three major causes of anemias in Korea. In the patients of iron deficiency anemia MCV was very low(62.9±13.7fL), while RDW was very high(19.3±4.8) showing much lower MCV and much higher RDW in severe IDA compared with in mild IDA. To differentiate iron deficiency anemias form other anemias, a discriminant function was developed from some blood cell parameters like MCV, MCH, MCHC, RDW and platelets(D.F.=0.26 -0.012MCV -0.130MCH+ 0.073MCHC +0.052RDW +0.003P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