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 건설현장의 응급처치 대응수준에 대한 조사연구

        강순민,장명훈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2 No.2

        On January 27, 2005,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signated Jeju Island as an Island of World Peace based on Article 12 of the Special Act for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the WHO designated Safe Community Jeju in July, 2007. Whenever an industrial accident occurs on Jeju Island, reports in the media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Jeju is a safe city or not.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s in Jeju, it is very difficult to employ workers of a certain level. For the safety of workers, it is also thought that owners should make a decisive investment to introduce an education and reward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level of workers. This research focuses on first-aid on construction sites. It then surveys the level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suggests improvements in construction safety control and first-aid. 제주특별자치도는 2005년 1월 27일 정부로부터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을 받았고, 2007년 7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안전도시로 인증을 받았다. 최근 몇 년 동안 제주에서 발생한 각종 산업재해를 보면, 세계평화의 섬과 국제안전도시와는 어울리지 않는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미숙련자가 늘어나면서 후진국형의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제주 지역의 건설현장은 다른 지방과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일정 수준의 근로자를 채용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하여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수준과 사고발생시 응급처치 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과학 맥락에서 학생간 논의과정의 발달

        강순민,임재항,공영태,남정희,최병순,Kang, Soon-Min,Lim, Jai-Hang,Kong, Young-Tae,Nam, Joung-Hee,Choi, Byoung-Soon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CASE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맥락에서의 논의 과제 해결 시 논의과정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논의과정은 ''설명과 논의과정''과 ''대화적 논의과정''으로 구분되었으며, 다양한 논의과정 요소들을 활용하였다. 학생들 논의과정의 절반 이상은 주장과 근거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단편적으로 상대방에게 제시하는 수준의 논의 기술에 머물러 있었다. 또한 ''설명적 논의과정'' 요소의 활용보다는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 비율이 낮았다. CASE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학생들의 ''대화적 논의과정''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으며, 집단구성에서 대칭집단이 비대칭집단 보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컸으나 그 변화가 불안정하였다. 인지 수준에 따른 논의 참여 정도는 형식적 조작기 학생의 참여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았으나 후기 과제로 갈수록 과도기 학생들의 ''대화적 논의과정''에의 참여비율이 높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rgum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participated in argument tasks with CASE(Cognitive acceleration through science education) programs. Students argumentation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xplanatory argumentation' and 'dialogic argumentation'. Several argumentation components were used in their argumentation. Among argumentation components, claim and ground took place more than half of argumentation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dialogic argumentation' wa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explanatory argumentation'. The percentage of 'dialogic argumentation' was getting higher during CASE intervention. CASE programs had more effect on symmetric group than asymmetric group, however it was unstable. In general, participation ratio in argumentation of the formal operational student was high and the ratio in argumentation of the transitional student was getting higher.

      • 제주도내에서의 수상 인명구조원 교육에 대한 연구

        강순민,김재필 한국응급구조학회 2001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5 No.1

        Post these safety tips in any swimming area for all swimmers to read. 1. Always swim with companions. Swim only in area well supervised by lifeguards. 2. Never drink alcohol or use drugs when you're swimming or boating. 3. Always check the water depth. Walk in from shore or ease in from the dock or the edge of the pool. 4. Know the limits of your own swimming abilities. If you're a good swimmers, don't tempt nonswimmers or beginner swimmers to try to keep up with you. 5. Keep any eye on younger swimmers at all times. 6. Learn the proper way to dive in the water safely. Follow guidelines for safe diving. 7. Follow the lifeguards instructions and respect their judgment, Never fake an Emergency. Obey all swimming ru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전략의 수립

        이정철,강순민,허홍욱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 수업환경을 일반계고등학생들과 과학고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을 알아보고, 남녀별 학번별 학습자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수업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 들의 과학적 태도 수준은 과학고 학생들과 비슷하였으며 일반계 학생들보다 높은 수 준이었다. 둘째, 학습양식은 독립형, 협동형, 참여형이 많았다. 셋째, 선호하는 과학수 업의 형태는 다양화와 높은 수준의 사고화 요구가 높았다. 넷째, 선호하는 수업환경 은 허용적 분위기에 대한 요구가 낮았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과학적 태도에서 개 방성, 협동성, 자기주도성의 수준이 높았고, 학습양식은 독립형의 많았으며, 선호하는 수업환경면에서 교사의 지원성과 과제 지향성, 허용적 분위기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학번에 따른 학습자 특성과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다. 이에 따른 수업전략 4가지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ST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임재항,강순민,공영태,최병순,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STS에 대해서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도구인 HS-VOSTS(Korean students' views on STS)를 개발하는 것이다. HS-VOSIS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 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가지 범주의 10가지 하위 범주와 관련하여 23개의 논제를 포함하는 STS 범주 체계를 설정하였다. STS 범주 체계는 정의ㆍ과학의 외적 사회학ㆍ과학의 내적 사회학ㆍ인식론의 네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91f 범주 체계를 기초로 4단계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각 논제에 대한 짝진술문을 기초로 학생진술 문항지를 작성하여 772명의 고등학생들(16.3세)에게 투입하였다. 2단계에서는 짝진술문 중 하나를 제거하여 문항의 진술문으로 하고, 분류된 공통견해를 답지로 하여 1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고등학생 28명(16.5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고등학생 306명에게 적용하여 낮은 반응비율을 보인 답지들을 제거하여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HS-VOSTS는 학생들의 STS에 대한 신념 및 견해를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S-VOSTS(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which is an instrument that monitors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TS. For this study, 23 multiple-choice items were developed on four categories. First, a categorial scheme was constructed. The categorial scheme was based on many instruments that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n STS, literature review, and STS learning goal that many researchers had asserted. Second, the multiple-choice items wer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eps. In the first step, some pairs of statement on each subordinate category were formed. Next, the student statement questionaries which were based on the pairs of statement were responded by 772 students. In the second step, the response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to common viewpoints and the first multiple-choice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third step,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28 high school students was implemented and the second multiple-choice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fourth step, the final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sponse on the second multiple-choice items. HS-VOSTS is an useful instrument for monitoring students' beliefs and viewpoints on STS topic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HS-VOSTS items reflect the students' own thoughts directly. These results will give som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velopers, the authors of text books and the educational policy makers as well as the teachers.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임재항,강순민,공영태,남정희,Lim, Jai-Hang,Kang, Soon-Min,Kong, Young-Tae,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에서는 1차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화학 영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및 준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많은 비율의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시의 교사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역할 또한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차 설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2차 설문 및 인터뷰에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전달되는 효율적인 방법, 교육과정 개정 참여시 교사의 역할 및 참여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man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re aware and ready to implement new science curriculum as well as its revis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achers had been asked to fill in a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overall understanding and readiness was low a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new curriculum was a burden to a large number of teachers. Some teachers even expressed a negative opinion. Furthermore, it turned out that teachers didn't have an important role in revising the curriculum as a only small number of teachers participated. So, the secon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provided in order to ask for various opinions as to how new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communicated to schools and when school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the revision of curriculum, along with their role and particip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