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촛불 실험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인식

        공영태,김성규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lated to the candlelight phenomena by questionnaires and follow-up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nswering on the product observed when the candlelight was burned. Only 23.3% teachers had responded the scientific concept, water and carbon dioxide. Although they had learned the law of mass observation in chemical reaction, most of them said that there was a change of weight before and after burning of candlelight because they could be observe the decrease of candlelight's height. Also, all of them had replied that heat was emitted after the reaction. However, the reason of them was not scientific concept by follow-up interviews; for example, it is the reaction of combustion. In conclusion, we knew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andlelight phenomena. To reduce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scientific concept and real experiment phenomena, it is recommended pre-service teachers to carry out a kind of experiments which are useful to grow up the skill of observation.

      • KCI등재후보

        TIMSS2007においての韓国と日本の初等科学到達度の比較

        공영태 한국일본교육학회 2011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5 No.2

        Elementary scientific items released by TIMSS 2007 have been translated according to Korea curriculum. And then, we implemented the survey to find out the science achievement of the 4th grade in 23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and Ulsan cit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we compared the science achievement of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between Korea and Japan. Average correct answer rate, answer rate per areas, and international benchmarks have been examined and considered. Moreover, we also looked into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 scientific concepts and misconceptions which both countries' students hav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on the 71 items of elementary science released by TIMSS 2007 was 69.8 % in Korea, 61.7 % in Japan, and both countries' score was higher than international average correct answer rate, 49.2%. We confirmed that both countries are in the top level internationally. Average answer rate was about the same in most questions between two countries, but answer rate or answered-typ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pletion period or completion contents. And we were able to analyze the current concepts that students have, and this outcome will lead us to have the better teaching tips. Followed by TIMSS 2003 survey, we considered the level of Korea students' international science achievement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IMSS 2007. TIMSS2007において公開された初等科学問題を韓国の教育課程に合わせて訳し、2009年2月に韓国の慶南․蔚山所在の23個の初等学校を対象に科学到達度の調査を行った。その調査から得られたデータに基づいて、韓国と日本の初等学校児童たちの科学到達度の比較を試みた。分析項目としては平均正答率、領域別正答率、国際標識水準問題の正答率などを取り上げた。また、具体的な問項分析を通して、両国の児童たちが持っている科学概念及び誤概念などの現状を探ってみた。 TIMSS2007で公開された71問の初等科学問題に対する平均正答率は韓国が69.8%、日本が61.7%であり、国際平均値の49.2%を大きく上回り、参加国の中でも上位レベルにあることが確認された。たいていの問題に対する両国の児童たちの正答率は等しいが、履修時期や履修内容によって正答率や解答類型に差が見られた。解答用紙から児童たちが持っている概念が分析でき、今後の児童指導に使えるデータが得られた。TIMSS2003調査に続き、わが国の初等学校児童たちの国際的な科学到達度を定量的および定性的に考察することができた。

      • KCI등재후보

        TIMSS2003에 의한 韓?과 日本의 초등학교 4학년의 이과 도달도의 비교

        孔泳泰,盧美暎,白南權 한국일본교육학회 200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3 No.2

        TIMSS 2003에서 공개된 과학문제집을 이용하여 2006년 2월에 한국의 초등학교 4 년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행하고, 이 조사결과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4학년 아동들의 과학성취도 비교를 행하였다. 분석항목으로서는 영 역별 정답률, 국제수준점 문항의 정답률, TIMSS 1995와의 동일 문제에 있어서의 정 답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문항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아동들이 가 지고 있는 과학적인 개념 및 오개념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TIMSS 2003의 초등학교 과학문항의 평균 정답률은 한국이68.7%이고 일본은 67.0%였다. 양국 모두 국제평균치보다 높았고 참가국 가운데에서 상위에 속하였다. 대 부분의 문항에 대한 양국 아동의 정답률은 같지만, 이수 시기나 이수내용에 따른 차 이가 보였다. 또한 해답지로부터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현황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지도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가 얻어졌다.

      • KCI등재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를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측정

        공영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올해 들어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의 영향으로 우리 사회의 모습은 이전과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학교 사회에서는 비접촉 교육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같이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학교 사회에서의 학생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수업 방법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수업 전략 등이 필요하다. 경상남도교육청에서는 최근 관심 대상인 미세먼지에 대한 교수·학습자료를 타 시도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여 왔다. 또한, 현재 경상남도 교육청에서는 관내 초·중·고등학교에 미세먼지 경감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공기청정기에는 자체적으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하는 예도 있지만, 미세먼지의 농도를 표시하는 기능이 없는 제품도 있어 미세먼지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의 강구를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비대면 STEAM 수업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의 일환으로 저가용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를 활용하여 공기청정기의 사용으로 인한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얻어지는 연구 결과는 비대면 STEAM 수업 전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환되어 활용될 예정이며, 첨단분석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여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과학 학습 이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공영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이번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과학 학습 이론 내용 가운데 구성주의적 교육과 객관주의적 교육에 대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과학 학습 이론은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학 학습 모형 이해의 기초가 된다[1]. 이번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과 2021년 3월에 초등교과교육론 수업에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총 20문항으로 자체 제작하였다. 2020년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과정은 의도적인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라는 질문에 42.7%의 학생들이 맞다고 응답하였고, 모르겠다고 응답한 학생이 43.5%, 틀리다고 응답한 학생이 13.7%로 매우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교사에 있다.’라는 항목에 대해서도 42.7%의 학생들이 맞다고 응답하였고, 모르겠다가 34.4%, 틀리다가 22.9%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수학습방법으로 문제해결학습을 중시한다.’라는 항목에 대해서는 69.5%의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021년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문항에서 2020년 조사 결과와 유사한 정답률을 나타냈으며, 이들 가운데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자의 역할에 충실한다.’는 항목에 대하여 16%의 학생들만이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완전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한다.’는 항목에는 31.2%의 정답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의도적인 교육’, ‘구성주의적 교육’, ‘문제해결학습’, ‘교육과정의 실행자’, ‘완전학습’ 등 용어의 이해 부족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주의 및 객관주의적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 학생들은 객관주의적 교육 경험에 기초한 교사론적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