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BsAg 과 Anti - HBs 동시 검출예의 임상적 의의

        강숙경(Sook Kyung Kang),서동진(Dong Jin Suh) 대한내과학회 1988 대한내과학회지 Vol.35 No.2

        N/A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concurrent HBsAg and anti-HBs, we studied the underlying liver disease, HBeAg/anti-HBe status, titer of HBsAg and anti-HBs, subtypes and the follow-up change in 220 patients with both HBsAg and anti-HB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ncurrent HBsAg and anti-HBs was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chronic hepatitis 39%, asymptomatic carrier 25.5%, liver cirrhosis 23.2% and hepatoma 7.3) than acute type 8 hepatitis(5%). 2) Hepatitis R e antigen was detected in 123(78.3%) of 157 patients with concurrence. 3) The serum level of antibody was less than 100 RIA unit in 117 patients(53%), but more than 500 RIA unit in 35 patients(16%), Higher titer was found more common- ly in patients with chronic infection. 4) In 5 patients in whom subtyping was possible, HBsAg was adr and concurrent anti-HBs was anti-y, 5) Anti-HBs persisted with HBsAg in 909o of 30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who were followed over 1 year, It was not related to clinical course. We conclude that concurrent HBsAg and anti-HBs is a common phenomenon in HBV infection, with little clinical or prognostic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한국계 미국인 청년들의 음식과 민족 정체성

        강숙정 ( Sook Jung Kang )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4 Health & Nursing Vol.26 No.1

        본 논문은 현재 민족 정체성에 고민하고 있는 대상자 중 하나인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s, KAs) 청년들의 민족 정체성, 문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건강의 맥락 속에서 음식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하였다: 1) 음식이 민족 정체성에 대한 합리적이고 중대한 결정요인인가 2) 이 관계성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다른 인구에게도 의미 있는 건강관련 시사점을 가질 것인가. 음식은 민족 정체성에 대한 결정요인이지만, 민족 정체성이 음식 선택의 결정요인일 수도 있으며 음식과 민족 정체성은 서로 상호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적인 요인인 언어, 문화적 가치, 자기 정체성(self-identity) 등의 다른 요인들도 민족 정체성에 중요한 결정 요인임을 인지해야 한다. 한국계 미국인은 미국에 있는 동양계 미국인의 십분의 일을 차지하고, 민족 정체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동일성(homohomogeneity)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대상자들에 대한 분석과 차후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계 미국인에게 뿐만아니라 아시아계 미국인, 미국에 있는 다른 민족 소수자와 한국에 있는 민족 소수자에게도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숙정(Sook Ju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암 생존자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하여 안정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2010-20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암 생존자 610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진단경과 기간은 약 11년이었다.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활동제한 여부(β=.30, p<.001)였으며, 연령(β=-.20,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19, p<.001), 경제수준(β=.12, p=.004), 성별(β=-.08, p=.027)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혹은 사회활동 제약이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암 생존자들의 일상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 관리할 수 있는 인력 혹은 건강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in order to identify strategies for cancer survivors to go back to normal life and carry on stable and high quality life. This study us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4),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610 cancer survivors and their average time since diagnosis was about 11 year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were activity limitation(β=.30, p<.001), followed by age(β=-.20,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β =-.19, p<.001), and economic status(β=.12, p=.004). According to the result, limitation on daily activities or social activities due to physical or mental debilitation was a strong factor that lowers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Hence, there is a need for manpower and infrastructure that facilitates, supports, and manage daily activities of cancer survivo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강숙녀(Sook Nyeo Kang),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사람들은 오래된 옛 물건을 통하여 과거를 동경하고 향수를 느끼게 된다. 특히 앤틱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경험하게 하는 실용품으로 대량생산 체계의 획일성과 단순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오래된 물품에서 오는 친숙한 느낌의 심리적 안정과 수공예 작품에서 얻는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생활예술품이다. 앤틱에 대한 동경은 단순히 앤틱 물품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것에서 벗어나 앤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디자인한 것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패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니트웨어에서도 그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점에 착안하여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 특성의 고찰과 미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를 고찰하여 니트웨어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더불어 이를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앤틱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현대 해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의 앤틱 이미지와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앤틱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효과이다. 연구 방법은 우선 2005년 이후 국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 가운데 앤틱 이미지가 표현된 작품을 선별하고, 그 작품들을 중심으로 앤틱 이미지의 조형성 및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의 조형표현은 형태, 소재, 색채, 표현기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앤틱이미지의 유형은 레트로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클래식 이미지, 컨트리 이미지로 대표되었다.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앤틱 이미지의 미적 특성은 역사성, 복합성, 향수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 표면의 텍스타일 장식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People have a thirst for the past and feel the nostalgia through old objects. Especially, an antique, which is a useful reminder of the past at present, satiates the psychologically friendly stability imbedded in old articles and the artful desire from handicraft works by avoiding uniformity and simplicity in mass production. This trend is found in the fashion industry via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ntique in the modern sense out of simple collection and housing of antiques. In the same context, multifaced image expressions are also found in the knitwear. With this idea, the necessity for research is required to examine the specific expression type and analyze the esthetic characteristic regarding the antique image given in the knitwear. Therefore, this study would aim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features of knitwear designs through review over antique image found in them and giving assistance to development of them. The study herein looks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antique and then analyzes the knitwear antique images introduced in overseas collections since 2005. The mainly covered range for study i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esthetic effect of antique image expressed in the knitwear. For the research method, works revealing the antique image were selected among the knitwear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 occasions since 2005. Based on this, the antique image`s formativeness and esthetic feature in them were analyzed. In regard to research material, such vehicles were used as information data base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network browsing on the internet, related books, and printed publications as well as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a result, the antique image`s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knitwear could be classified as form, material,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antique image could be classified as retro image, romantic image, classic image, and country image, The antique design could be characterized in the form of historic feature, complexity, and nostalgia. Results and contents from this study would help to have the organized theories in understanding the textile decoration characteristic about the surface of modern knitwea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available for extension of interpretation scope of the development of new knitwear design and costume culture.

      • KCI등재

        국내 유통 한약재 중 Aristolochic Acid 분석

        강숙경(Sook-Kyung Kang),송경빈(Kyung Bi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7

        국내 유통 중인 한약재에 발암물질로 알려진 aristolochic acid 함유 여부를 검사하고자 방기, 목통, 목향, 마두령, 세신, 청목향 등을 대상으로 aristolochic acid 검출 유무 및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에 대한 TLC와 C_(18) column을 이용한 HPLC의 aristolochic acid 최적 분석 조건을 수립하였고 aristolochic acid 정량분석 결과 방기 type II에는 3.9 mg/g, 마두령에는 2.3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외 목향, 목통, 세신, 청목향 등 시료에서는 aristoloch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Aristolochic acid has been known to be a carcinogenic compound and to cause Chinese herbs nephrophathy (CHN). To determine the content of aristolochic acid in various medicinal herbs marketed domestically, samples of Aristolochia fangchi, Aristolochia fructus, Aristolochia radix, Asiasari radix, Saussureae radix, and Akebia caulis were analyzed using TLC and HPLC. The optimal conditions for TLC and HPLC using C18 column were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ristolochic acid. This study showed that Aristolochia fangchi and Aristolochia fructus examined in this study contain aristolochic acid of 3.9 and 2.3 mg/g sample, respectively. In contrast, aristolochic acid was not detected in the other samples.

      • KCI등재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 연구

        강숙녀(Sook Nyeo Kang),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현대 의복의 디자인과 장식적 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의 하나인 플레어 기법은 부드럽고 아름다운 조형성의 표현을 위하여 의복 전반에 걸쳐 폭넓게 활용되는 것으로써 착장자의 체형과 착장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표현된 플레어의 특성을 고찰하고, 플레어 의복의 형태 조형성을 분석하여 패션의 표현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를 미래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플레어에 대한 정의와 변천, 디자인 요소에 의한 플레어의 표현 분석, 그리고 현대 패션에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진다. 그 결과 플레어의 표현은 실루엣의 발현, 디테일의 활용, 의복 구조선의 변형으로 구분되며, 컬렉션에서 나타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은 선의 재구성, 의복 공간의 확장, 성의 이질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패션의 디자인 기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the modern clothing design, a variety of techniques are applied for the decorative effect. The flare type technique as one of them has been widely used in designing the formative expression of clothing, which is considered as smooth and aesthetic. The reality of its study in modern fashion, however, is found to be inefficient. The necessity to examine further takes place, accordingl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d the formative pattern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The study herein aims at the specific understandings about techniques of fashion expression and application to design in the future fashion by doing so.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is study were grounded in the separate volumes published domestically and overseas, academic dissertations, and papers reported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as part of the preliminary procedures. The leading designers` pieces of work in modern fashion were adopted as empirical materials for the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rough the study that the flaring technique was peformed in such a way of change in silhouette, application of details, and change in structural line in the apparel. In addition, the formativeness in flare in the modern fashion stream turned out to be another nature for the emphasis of line restructure, spatial expansion in clothing, and unique feministic expression. With these basic results, it could be expected that some foundation may be provid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method of flaring skill, and through its application, this may be contributed to the creative fashion design.

      • KCI등재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강숙정 ( Sook Jung Kang ),양민지 ( Min Ji Yang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22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n pregnancy stress among pregnant women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8 pregnant women in Korea, recruited from online communities on pregnancy and/or childbirth, from June 2019 to April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were at average 18.25±8.28 weeks gestation, 56% were in the second trimester, 31% had one or more health issues in the current pregnancy (e.g., hyperemesis gravidarum), and 76% were first-time mothers. Participants had moderate levels of pregnancy stress (mean, 23.09±7.11 points out of 48) and maternal knowledge (mean, 14.42±4.67 points out of 21), whereas social support was somewhat high (mean 45.88±7.81 points out of 60). Pregnancy stress was weak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37, p<.001). Main source of pregnancy information (β=-.21, p=.011), marital satisfaction (β=-.18, p=.036), and social support (β=-.19, p=.038)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regnancy stress, and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2.7% for pregnancy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nurses should assess pregnancy-related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onsider main source of pregnancy inform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hen providing education or counseling. Moreover, strategies to reduce pregnancy stress through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regnant women.

      • KCI등재후보

        만성 B 형 활동성 간염에서 간조직내 항원 검출의 임상적 의의

        강숙경(Sook Kyung Kang),서동진(Dong Jin Suh) 대한내과학회 1988 대한내과학회지 Vol.35 No.3

        N/A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BV antigens in the liver in chronic HBV infection, HBsAg and HBcAg were detected in the liver tissue of 156 patients with HBsAg-positive chronic active hepatitis by the ABC immunoperoxidase method. The correlation of tissue antigens with serologic markers of HBV and the underlying liver histolog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156 patients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HBsAg was detected in the liver in 57 patients (36.5%), both HBsAg and HBcAg in 58 patients (37.2%), and HEkAg in 12 patients (7.7%). 2) While tissue HBsAg was commonly found irrespective of HBeAg or anti-HBe, HBcAg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HBeAg-positive patients (47%) than in anti-HBe-positive patients (21.4%). 3) The presence of tissue HBcAg was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positive serum HBV-DNA and IgM anti-HBc. 4)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HBcAg and the severity of chronic active hepatitis. It is suggested that in chronic active hepatitis, HBcAg in the liver is often associated with serum HBeAg, HRV -DNA and IgM anti-HBc and can be used as a marker of active viral re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