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권개념과 19세기 한국근대사

        강상규(Kang, Sang 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9 No.1

        한국의 사회과학, 정치학, 법학 서적들은 하나같이 주권, 국민, 영토를 국가의 3요소라고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국가를 이해하면 충분한 것일까? 주권개념은 국가라는 정치체의 변치 않는 역사적인 특성이고 미래에도 변화하지 않을 속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역사를 거슬러 살펴보면 이러한 상식이 사실과는 크게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주권국가’의 특징이나 표현은 생겨난지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다. 주권국가라는 형태가 서구에서는 16세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한자문명권에는 훨씬 나중인 19세기 중반 이후에야 도입되어 들어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주권’이라는 개념이 서구에서 등장한 근대국가와 근대국제질서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라는 점, 그리고 아편전쟁 이래 이루어진 이른바 ‘서양의 충격’과 긴밀하게 연관되어있었다. 그러면 주권이란 용어는 어떠한 경로를 거쳐 한자문명권에 들어왔으며, 어떠한 경로를 거쳐 정착될 수 있었던 것일까? 중국, 일본, 한국이라는 동양 삼국에게 주권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다른 뉘앙스로 다가왔던 것이며, 수용과정에는 어떤 유사점과 차이가 존재했던 것일까? 본 논문에서는 주권개념이 한자문명권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게된 국제법 서적, 즉 〈萬國公法〉의 분석을 비롯하여, 조선의 근대 국제질서 진입과정, 중화질서의 붕괴와 대한제국의 외교관계를 조망함으로써, 한국역사에서 주권개념의 도입과 주권국가로의 진입 역사를 살펴보려고 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한반도의 근현대를 세계사와 지역사, 문명사와 정치사적인 맥락에서 전체적이고 입체적이며 역동적인 시각에서 포착하기 위한 기본토대가 되는 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권 자체의 특성을 피상적이 아니라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문맥에서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이해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extbooks of social sciences, politics, and law in Korea all teach sovereignty, people, and territory as the three elements of a nation. However, is this a good definition of a nation? Is it possible to say that sovereignty is an invariant attribute that will never change in the future, as well as a changeless historical feature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nation? Looking back at history, such common knowledge is different from real-world situations. In fact,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a “sovereign state,” which are familiar to the public, emerged not long ago. The idea of sovereign state made its debut in the West in the 16th century, whereas it was introduced much later, after the mid-19th century into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East. This shows that the concept of sovereignty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modern nation and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that appeared in the West. In addition, this concept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alled “Western Impact” which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Opium War. Through what course did the concept of sovereignty enter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East and how did it become established? What different nuances did the concept of sovereignty give to the three countries of the Orient: China, Japan, and Korea? Furthermore,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ed in the course of their acceptance process? This paper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the history of how Korea entered into a sovereign country in the history of Korea. With this view, the paper analyzes 〈萬國公法〉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in which the concept of sovereignty initially appeared in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entering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and explores the collapse of the Chinese world order system and Daehan Jeguk"s diplomatic relations. The current research can provide the basic building blocks that help to capture the modern and present a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a holistic, stereoscopic, and dynamic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world and regional history, and the cultural and political history. It also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raits of sovereignty itself in the context of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in a specific and vivid way.

      • KCI등재후보

        박규수와 고종의 정치적 관계 연구

        강상규(Kang, Sang-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박규수(1807-1876)는 이른바 ‘조선개화파’의 원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박규수를 단순히 개화파와 실학의 가교(架橋)를 놓은 존재로 인식해서는 당대를 고민하며 살았던 박규수의 정치적 사상적 고투는 좀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이 논문은 문명사적 전환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인물 박규수를 통해 당시의 조선정계의 한켠에서 진행되었던 혼돈과 고뇌, 정치적 모색에 관해 고찰하는 글이다. 특히 지금까지 거의 전혀 주목되지 않았던 국왕 고종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재상(宰相)의 자리에 올랐던 박규수의 정치사적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박규수는 19세기라는 문명사적 전환기, 상이한 패러다임 간의 충돌이 일어나는 와중에서 문명표준이 뒤바뀌는 시대적 상황을 살았던 고뇌하는 지식인이자 현실정치가였다. 그는 자신의 두 눈으로 중화질서가 ‘안과 밖으로 동요하는 현장을 직접 목격했으며, 국내의 민생이 무너져 내리는 가운데도 무책임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위정자와 지식인들을 접하면서 ‘지켜야할 것과 변통해야할 것’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했던 인물이었다. 당시 박규수는 뭔가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감지하는 속에서 조선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지 어디까지나 유자(儒者)적 관점에서 현실정치가로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다. 현장의 소리를 경청하려했고, 원칙을 존중하되 항시 실용적이고 구체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기존의 개화파 중심의 역사서술에서, 박규수는 개화의 선구자로서 그와 개화파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주목 받을 수 있었어도, 국왕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그가 갖는 정치사적 의미는 간과되어져 왔다. 당시 조선의 정치구조와 군신(君臣)관계에 대한 이해를 배경으로 박규수의 삶을 차분히 따라가지 않으면 박규수와 국왕의 특별한 정치적 관계는 거대담론의 틈새에 끼어 좀처럼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박규수가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을 현실정치 공간에서 창출해내지는 못했지만, 청년 국왕 고종의 정치의식을 키워냈다는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Gyusu Park (1807-1876) is a founding father of the so-called ‘Enlightenment of Joseon’ faction. However, the mere recognition that Park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Shilhak (realist school) obviat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he struggled in anguish of politics and ideology. This paper looks into the life of Gyusu Park, who lived intensely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o the extent that it investigates the chaos, distress, and political search under way in a comer of the Joseon political world.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developed on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Gyusu Park, who assisted the king and got advanced to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as a teacher of the king, the fact of which has gone unnoticed. Gyusu Park was a distressed intellectual and realistic statesman who lived in the era of changing standards in civilization in which disparate paradigms conflicted in the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period of the 19th century. He witnessed the scene in which Sinicism was at stake ‘in and out,’ and he was continuously agonizing and reflecting on ‘what to conserve and what to compromise’ among other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who remained irresponsible and passive when the public lives were collapsing. Park was seriously concerned about what choices Joseon should make in the turmoil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hich he perceived as a realistic statesman, from a purely Confucianist perspective. He endeavored to listen to the public sentiment and approached problems in a practical and concrete way, respecting the principles. In the literature of the history on the Enlightenment faction, attention has been paid to Park who, as a pioneer of enlightenment,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lightenment fac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consideration of Park’s role in the political history as a king’s teacher and aide. The speci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Gyusu Park and the king gets lost amongst the macro-level discussion, unless a careful examination of Park’s life is carried out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of Joseon’s political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is paper presents concrete evidence that Gyusu Park helped to foster the young sovereign Gojong’s political awareness, although he did not create a new political paradigm in the actual arena of politics.

      • KCI등재

        공감능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세종의 정치적 리더십

        강상규(Kang, Sang 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2

        세종이 없는 한국 혹은 한국역사는 상상하기 어렵다. 세종이 없다면 우리는 아마도 지금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고 생활하고 있을 것이다. 한반도에서 세종의 역할은 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세종은 그만큼 위대한 업적을 한반도 역사 위에 선명하게 아로새겨놓았다. 그러면 일상의 과제를 푸는 것도 쉽지 않은 현실정치 공간에서 세종은 어떻게 이처럼 오래도록 미래를 구성하게 될 토대를 만들어놓을 수 있었던 것일까? 본 연구는 위대한 임금으로 박제화 되어 있는 세종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고뇌하며 문제를 풀어가는 정치가로서의 세종에 주목하려고 했다. 본 연구는 세종의 리더십의 덕목과 비전을 정리하여 나열하는 것을 지양하고 세종의 정치리더십과 비전에서 드러나는 핵심적인 특징을 ‘공감능력’과 ‘균형감’ 그리고 ‘발상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 재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21세기 대한민국 정치에서 세종의 리더십이 갖는 현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It is difficult to imagine modern Korea or Korean history without King Sejong’s influence because the country would be vast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landscape. King Sejong’s role is crucial in terms of history and development of social structure, and he has clearly left a mark on Korean history with his great achievements. How was King Sejong able to lay the groundwork that would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future at a time when it was difficult to deal with its own political issues in its day? This thesis looks at King Sejong as a politician who is deeply mulling over issues rather than the viewing him as the already established king. In addition, rather than accepting the already existing list of virtues and vision from his leadership, this study draws out new key ideas that show up in King Sejong’s political leadership and vision and reinterprets them through a lens of empathic ability, sense of proportion, and innov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how the current state of politics in South Korea can learn from King Sejong’s leadership.

      •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의 동아시아적 역설

        강상규(Kang, Sang 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1 No.1

        대일 평화조약(Treaty of Peace with Japan)으로 불리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은 제국 일본이 1945년 전쟁에 패하면서 7년 후에 치러진 조약이다. 미국의 주도하에 ‘제국으로서 일본’이 해체되었음을 국제적으로 선언한 것이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은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규정하는 기본틀이 되었다. 하지만 이 조약의 역사적·구조적 의미는 동아시아에서 협소하게 다뤄질 뿐이며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왜 그렇게 된 것일까? 그리고 동아시아에게 샌프란시스코 조약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동아시아를 철저히 타자화하고 배제’하면서 성립한 사실에 주목하고,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이 조약의 역사적·구조적 특성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보려고 했다. 본 연구는 특히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50년 전쟁’, ‘동아시아 전후체제’와 같은 새로운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전후 동아시아 균열의 태생적인 근거’가 되는 경위를 고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전후체제’와 ‘한반도의 적대적 분단체제’,‘중국의 양안관계와 사실상 두 개의 중국’이 처음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었던 데에는, 국제질서 차원에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를 타자화하고 배제’하면서 성립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틀이 된 것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가 근원적으로 심각하게 뒤틀려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을 바꿔갈 기회를 여전히 찾지 못하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준다.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called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was signed seven years after the Empire Japan lost the war in 1945. It was an international declaration that Japan as an empire was disban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Since the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has become the basic framework for defini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before and after the war.” However,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significance of this treaty is only narrowly treated in East Asia and is not receiving enough attention. Why did that happen? And what does the San Francisco Treaty mean to East Asia? This study attempted to fully review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the context of “East Asia”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was established by “thoroughly otherizing and excluding East Asia.”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how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became the “born basis for East Asian cracks” by applying new concepts such as “the 50 Years’ War on East Asia of Empire Japan” and “the postwar system in East Asia.” In addition,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reation of Japan’s postwar system, the hostil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s bilateral relations and virtually two China.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hich was established by “otherizing and excluding East Asia,” has become the framework for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after the war, paradoxically revealing the fact that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fundamentally seriously distorted and that they still have no opportunity to change it.

      • KCI등재후보

        근대지식체계와 조선사 이미지

        강상규(Kang Sang-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20세기에 진행된 한국의 민족주의사학이나 내재적 발전론, 민중사학의 입장은 식민사학이나 ‘서구의 아시아에 대한 문명적 편견’에 대해서는 강렬한 거부감을 표명하면서도 조선의 정치를 ‘후진적’이라고 본다는 점에서는 거의 그대로 닮아 있다. 우리에게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조선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저들은 우리를 어떻게 인식해 왔으며, 우리는 과거를 어떻게 ‘기억’ 혹은 ‘망각’하고 있는 것일까? 본 연구는 우리의 과거 그중에서도 19세기 조선을 기억하는 방식의 계보를 ‘구조와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근대인의 지식체계와 조선사 이미지의 형성’, ‘동아시아 지역차원의 수용과 굴절’, ‘20세기 한반도의 경험과 굴절’라는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본 연구는 조선사를 서술하고 기억하는 방식의 논리적‘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근대적 지식체계에 입각한 시공간에 대한 구획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근대적 지식체계에 입각한 조선사의 이미지가 역사적 ‘과정’에서 ‘객관적 사실 혹은 진실’이라는 이름으로 동아시아 지역, 나아가 한국인의 의식 속에 구체적으로 자리잡아가게 되는 경로 혹은 계보를 추적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이미지가 만들어진 경위를 계보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The perspectives of the nationalist history, domestic development, or people’s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Korea are vigorously antagonistic toward the colonist history or the ‘West’s bias against the Asian culture’; however, they all regard Joseon’s politics as being “underdeveloped.” How has the understanding of Joseon, which has been accepted as common knowledge to us, been formed? How have we perceived ourselves and how do we ‘remember’ or ‘forget’ the pas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genealogy of how to remember the past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e and process.’ The study consists of three sections, ‘modern people’s pantology and the formation of the history of Joseon,’ ‘East Asian acceptance and distortion,’ and the ‘Korean Peninsula’s experience and distortion in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grasp the logical ‘construction’ of the way to delineate and recollect the history of Joseo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method of planning time and space on the basis of the modern pantology. It further pursues the course or genealogy of how the image of the history of Joseon, which is based on the modern pantology, established itself as the ‘objective fact or truth’ in the historical ‘process’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s, as well as in East Asia, which may help to understand the pedigree of how the image of Joseon was made.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주권"과 "국제" 개념의 탄생 -『만국공법』의 판본 비교와 번역

        강상규 ( Sang Gyu Kang ) 한국중국학회 2010 中國學報 Vol.62 No.-

        In our daily life in the sovereign nation, we are faced with international and global phenomena. These expressions, ``sovereign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o much familiar to us; however, they became used in the East Asian Hanja (Chinese character) culture not too long ago. ``When`` were these terms introduced into the East Asian Hanja culture, and ``what process`` did they undergo to get established? What does it politically entail that the phenomena, which are called by these terms, become universal? This paper addresses these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the account and significance of such concepts as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that emerged in Europe. Then it looked into how such new notions were translated, disseminated, and accepted into the Hanja culture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West moves to dominate the East.`` It was the books of Mangukgongbeop, which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law of today that played a matrical role to the birth of new political concepts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the 19th century. In this light, the paper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Mangukgongbeop of those days. Based on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is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a ``sovereign nation`` has appeared in the East Asian culture as a new concept for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ies has changed in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which connotes independent and mutually parallel relations.

      • 運搬用 스프링鋼에 미치는 環境腐蝕 特性의 影響

        강상규(Sang-Gyu Kang)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09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4 No.1

        In this study, Compressive residual stress of Suspension Material SAE5155 Steel formed through shot peening processing was digested in the three solutions(3.5%NaCl solution, 10%HNO3 +3%HF solution, and 6%FeCl3 solution) for 720 hours and compared its environment corros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eight loss and dislocation difference, and its fatigue crack progress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un peening materia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As for the weight loss of un peening materials, it de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first 360 hours of the corrosion digestion and began to rise gradually during the next 720 hours. RCC material had the most weight loss in 6%FeCl3 solution. RCC material had much weight loss in all the solutions, compared to CIS material. Shot peening material had similar weight loss tendencies to un peening material. However, it had about 8% more weight loss in 6%FeCl3 solution than in other solutions and RCC had the average of 12.5% weight loss compared to CIS material, suggesting that RCC has a more corrosio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