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 VITRO STUDY ON APICAL SEAL AND SEM MORPHOLOGY IN CANALS FILLED WITH RESIN-BASED ROOT CANAL SEALER AND SELF-ETCHING PRIMER

        강삼희,박동성,유현미,오태석 대한치과보존학회 200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5 No.4

        Gutta-percha와 근관sealer를 사용한 근관 충전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성공률이 높은 방법이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든 근관sealer는 미세누출을 나타낸다. 따라서 더 효과적인 근관 폐쇄를 이루기 위한 재료 및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중 상아질 접착제는 근관 충전재와 함께 사용되어 미세누출을 감소시키지만, 근관 내에 사용하기에 술식이 복잡하고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utta-percha와 레진계 근관 sealer로 충전한 근관에서 self-etching primer를 미리 도포한 경우와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하고,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함에 있어 근관 내에 적용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근관sealer와 상아질 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 결과를 미세 누출과 관련시켜보고자 하였다. 36개의 발거된 사람의 단근치에서 치관부를 절단, 제거하고 ProFile로 근관 형성한 후, 무작위로 선택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에서는 주사기와 30게이지 주사 바늘로 self-etching primer를 근관 내에 적용하였고, 2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paper point에 적셔 근관 내에 적용하였다. 3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적용하지 않았다. 1, 2, 3군의 치아를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사용하여 continuous wave 충전법으로 충전한 후 치근단공 주위 3mm를 제외한 치근면에 nail polish를 2회 도포하였고, 4군(음성 대조군)은 치근면 전체에 도포하였다. 1군과 2군에서 각각 2개의 치아는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준비하였다. 모든 치아를 Methylene Blue 수용액에 48시간동안 침적, 수세한 후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양분하여, 10배의 실물확대현미경 하에서 치근단 색소 침투를 관찰하였다.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한 군과 도포하지않은 군 사이에는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사바늘로 적용한 군과 paper point로 적용한 군 사이에도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아질과 근관sealer계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일부분에서 긴밀한 접착 관계를 나타내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간극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강삼희,홍정미,백양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둘째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구미시에 소재하고 있는 W초등학교 2학년 아동 402명중에서, ADHD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았거나 약물치료를 받은 아동은 제외했으며 담임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관찰된 아동을 중심으로 일차적으로 선정을 하여 다시 ADHD 아동을 판별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행동 평가 척도인 ‘교사용 Conners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최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아동들은 무작위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에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것으로 주 2회, 10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유의미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소감문, 연구자와 담임교사의 관찰에 나타난 아동의 행동 변화들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첨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적이다(M=13.70, p<.05). 다시 말하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생각보다는 말과 행동이 앞서는 ADHD 아동의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고, 교실상황에서 친구들을 집적거리거나 큰 소리로 떠들고 충동적으로 엉뚱한 대답을 하며 학습과제를 끝까지 성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M=22.90, p<.001). ADHD 아동의 행동 특성이 자기통제력의 부족과 관련이 있고 이러한 자기통제력의 부족은 즉각적인 반응을 추구하고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산만해지는 행동 양상의 결함 및 낮은 학업 성취,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This study was to show that group art activity had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 and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 The followings were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t was to find out whether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d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 Second it was to find out whether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2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umi city. They were chosen among children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ind of therapy for ADHD. They were selected among children who could be considered impulsive or inattentive by teachers. Then the subjects who were finally chosen after using "Conners evaluation measure for teach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en as a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en as a control group.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used to this study was properly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it was adopted twice a week for ten weeks. By using SPSS/PC, a pre and post test on impulsiveness and self-control of the two groups was conducted, producing mean and standard derivation. And T-test was also used for finding out degree of meaningness. In addition, records of observation of their behavior changes drawn by teachers were describ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 First,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s an effect on decreasing children's impulsiveness(M=13.70, p<.05). In other words, group art activity program can control impulsive behaviour of children with ADHD, such as speaking loud in a class, saying incorrect answers, and lacking sincerity in doing tasks. Second, group art activity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elf-control(M=22.90, p<.001). Deficiency in self - control which influences children's behavior leads to deficiency in behaviors, like wanting immediate respond or being vulnerable to be care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