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건강한식 교육프로그램 개발

        강민지(Kang, Minji),백희영(Paik, Hee Young),위경애(Wie, Gyung-Ah),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6

        Metabolic syndrome is a cluster of metabol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Recentl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has increas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y Han-si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HHNEP) based on commonly recognized Korean foods in order to decrease metabolic syndrome risks.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HHNEP is adult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The initial version of the HHNEP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various dietary guidelines by expert committees as well as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ommon Korean dishes and foods as Han-sik. The focus group discussion conducted of nine participants from the target population. After minor modification, the final version was developed. The contents included five sections: 1) aims, 2) introduction of Korean Food Guidance System, 3) cholesterol contents in food, 4) menu planning method using Han-sik, and 5) examples of daily Han-sik menu. The Han-sik list was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a Han-sik perception answered by 35 Korean adults aged 30-60 years using 517 frequently consumed Korean foods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for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focuses on tailoring education to an individual’s dietary problems. Educational method was developed by a group of expert committees based in planned behavior theory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The education method consisted of assessment of current diet, four 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sessions over 8 weeks, and evaluation after 8 and 16 weeks. Initial version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and methods was tested for feasibility by a select group of nine Korean healthy adult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ould include application by nutritional professionals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the hospitals, public health center, and work sites.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efore large-scale applications.

      • KCI등재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책 읽기 흥미도와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Kang, Minji),김현정(Kim, Hyunjeong),최경남(Choi, Kyungna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책 읽기 흥미도와 배려적 사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한 W유치원에 재원 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40명이다. 두 학급 중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그림책 읽기활동 후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7주간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책읽기 흥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전체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배려적 사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주도적 질문 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책읽기 흥미도와 배려적 사고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ith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has an effect on inducing children’s book reading interest and improvingtheir caring think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children aged five in two classes, attending W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Among the two classes, 20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ith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and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a story sharing activity after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0 times for seven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to independent t 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picture book readingactivity with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in reading books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n the picture book readingactivity with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ing caring thinking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inthe overall caring think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ith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will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method to promote children’s interest in reading books and caring thinking.

      • R&I(Research & Innovation) 관점에서 바라본 자연기반솔루션(Nature-based Solutions)의 이해와 사례

        강민지(Minji Kang),손수정(Soo J. Sohn)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STEPI Insight Vol.- No.281

        □ NbS(Nature-based Solutions, 자연기반솔루션) 배경 ●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자연이 주는 경고는 ‘자연’을 활용하는 성장에서 ‘자연’을 회복시키고, 훼손을 최소화 하는 방법 설계관점의 성장동력 확보 필요성 증대 - 전세계 GDP의 절반이상(44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창출이 자연자본(nature capital)에 의존하나 이를 간과할 경우 기후변화, 생태계 균열 등 인류의 삶 위협 - 환경에 국한된 접근이 아닌 혁신성장, 인류가 직면한 난제해결 전반에 대한 지속가능한 혁신의 기반 요소로 인지하고 다양한 주체의 통합적 접근* 필요 * Co-creation, MOIP(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등은 다양한 주체들의 통합적 접근에 주목 ● 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등장한 이후 추상적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후반 IUCN은 자연과 인류를 엮는 개념으로 해석 및 적용 - IUCN은 식량 · 물 안보, 기후변화, 빈곤감소 등 자연을 보존하는 동시에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해 NbS를 제시하였고, 이후 EU가 적극 채택 · 확장 -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및 생물다양성 협약(CBD) 등에서 기후변화 문제해결,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자연기반 접근방식의 중요성이 강조 ● 자연의 회복은 다음 세대를 위해 피할 수 없는 길로, 자연 회복 및 자연 동반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삶의 경제(Economy of Life)”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의 전환을 이끌기 위해 NbS(자연기반 솔루션)의 인식 적용 및 확산 필요 □ NbS 개념 및 중요성 ● NbS는 자연 생태계의 기본적인 본성을 이해하고, 회복시키는 과정이 인간의 삶, 그리고 혁신 과정과 조화롭게 디자인되도록 하는 것 -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자원 효율적이고 적응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 사회, 환경 등의 편익을 제공하는 해결책(living solutions) 모색 - NbS는 기획/설계단계에서부터 회복과 재생을 고려하는 순환경제를 추구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분야, 주체들이 결합하여 지속가능한 생존 환경을 설계 ● 기존에 있던 개념들을 큰 틀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최상위 개념이자, 자연에 기반을 둔 모든 사회 · 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혁신의 기반틀로 접근 - NbS와 여타 유사개념*과의 차이점은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삶과 혁신 관점에서 강력한 실행력에 중점을 둠 * 유사 개념: 생태기술(EE), 그린인프라(GI) 및 블루그린 인프라(BGI), 생태계 기반 적응(EbA), 생태기반 DRR(Eco-DRR), 저영향 개발(LID), 자연형 하천기술(CRT) 등 - NbS는 보다 비용 효율적일 수 있으며, 기대목표(환경보전~녹색경제 일자리 창출 및 혁신 촉진)와 성과가 다양하여 통합적인 접근 필요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NbS를 도입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입 기술의 개념증명(Proof of Concept)과 실행 등의 과정에서 관련 주체들 공통의 노력이 중요 □ NbS 접근 ● 자연환경 회복(Resilience) 관점에서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자연환경 회복을 설계하고, 구성원이 갖는 파급효과를 고려하는 복원을 추진 ● 경제성장의 자본(Capital) 관점에서는 산업화 전후의 자연에 대한 의미와 기능, 역할등 변화로 신자연자본(New Nature Capital)이 등장 - 이전 세대의 성장과정에서 파괴된 자연이 이후의 성장에서 주요 비용으로 작용하면서 국가 성장자본으로서 자연자본의 반영 및 활용전략 설계 중요성 인식 - 신자연자본은 삶과 생태계의 공존,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성장 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규제, 표준, 공동의 대응 등을 포함 [표 본문 참조] □ 국내외 주요 적용 사례 및 시사점 ● 본 연구에서는 도시생태계 측면, 자연생태계 측면, 혁신 측면에서 주요 사례 조사 [표 본문 참조] ● (한국의 NbS 적용) 기존의 유사한 접근들을 모두 포괄하는 상위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초기 단계로 적용 중이며, 도시생태계, 자연생태계 접근 수준 - (문제해결 접근) 현재까지는 환경, 도시계획 분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자연생태계 회복 · 보전, 문제 또는 미션 중심 혁신 기반 접근이 필요 - (정부인식) 지자체와의 협업이 필수적이며, 관련 재원 및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담 예산이나 관련 사업 운영, 인식 등은 부족한 편 - (기업인식 및 노력) NbS 개념을 적용한 개발방식 도입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달성뿐만 아니라, 향후 탄소저감 의무, 배출권 거래시장 참여 등 국가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한국의 NbS 전개 제약) 예산, 통합적인 관점의 논의, 기업들의 참여유인,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혁신관점의 접근,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 참여 등은 부족 - (인식 부족) 과거에 비해 인식이 높아졌으나, NbS가 내재화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보다는 유사한 개념들을 포괄하는 상위의 개념으로만 인식하고, 주체들의 인식수준도 여전히 미흡 - (예산 부족) NbS R&D 과제는 기존의 환경 R&D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자연인지 예산* 고려 필요 * (자연인지예산 Nature-based Budget)예산이 자연과 혁신에 미치는 효과를 예산과정에서 고려하여 R&D예산도 자연회복, 유지를 기반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배분구조를 변화시키고자하는 일련의 활동. 따라서 자연인지예산은 특별한 예산의 종류를 말하는 것이 아닌 R&D, 혁신 예산의 기획 전반에 대한 과정으로 해석 - (규제 부재) 지자체 및 건축물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없어, 기업들의 참여유인 부족 □ EU의 R&I 관점 NbS 활성화 노력 ● EU는 NbS에 대한 R&I 의제 개발을 통해 유럽이 R&I 관점의 NbS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다양한 사업 전개 ● Horizon 2020 R&I 프로그램을 통해 NbS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다양한 R&I 의제개발을 통해 관련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노력 - 4대 목표로 지속가능한 도시화, 생태계 복원,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재난 관리 및 회복력을 설정하고, 7개 분야 R&I의제를 발굴 · 추진 - 기술, 비즈니스, 재무, 거버넌스, 규제 및 사회혁신을 결합하는 체계적 접근방식 개발을 위한 증거기반 방법론 구축, 적정 모범사례 발굴 및 확산 □ 한국의 R&I 관점 NbS 활성화 방안 과제 1. 정부 R&D의 NbS 개념 및 관점 도입 확대 ● 자연자본은 복잡성, 불확실성이 심한 분야로, 파괴시 그에 따른 경제사회적 비용이 막대함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 R&D에 보다 적극적인 NbS 개념의 도입 필요 ● 정부 R&D 기획 시 성인지 예산과 같이 자연환경의 회복과 유지를 위한 적정 사업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가칭)자연인지 예산(Nature-based Budget)’ 확보 필요 - 탄소제로와 같이 글로벌 공동의 환경개선 어젠다에 의해 초래되는 산업규제 대응, 디지털화에 따른 자연환경 침해요소 최소화 등을 위한 R&D기획 ● R&I 사업 추진을 위한 NbS관련 기준 마련, R&I 과정에서 적정 단계 설계 및 모니터링 필요 과제 2. 범부처 NbS 확보를 위한 공동 R&D 접근 확대 ● NbS 접근 필요한 사회문제 해결 공동 목표를 세우고, 이의 달성을 위해 연계 가능한 재원, 제도(규제개선) 등의 □ Rationale for Nature-based Solutions (NbS) ● The nature now alerts us of the need for shifting our focus from exploiting the ‘nature’ to restoring it and minimizing its damages in designing optimal approaches to securing future growth engines. ● Though it was initially devised as a method for sec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 Nature-based Solutions (NbS) had been mainly recognized as an abstract term until the late 2000s, whe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finally adopted the NbS concept as a feasible inclusive approach to linking the nature and the humankind together. □ NbS Concept and Approach ● NbS is defined as nature-based living solutions capable of providing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while addressing an array of societal challenges in resource-efficient and adaptive manners ● NbS is an inclusive higher-level concept, covering a set of exiting related terms and concepts in a broader framework. It is also considered an approach or a response to societ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rise in human interactions with the nature. □ NbS Approach from R&I Perspective ●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resilience, efforts have to be made to restore the natural ecosystem and its recycling system capable of meeting the needs of the current times. In this process, the impact of such restoring efforts on the members of the natural ecosystem also needs to be considered. ●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pital for economic growth, changes are taking place in perceptions of “natural capital”. Since the industrialization, the “utilization” of natural capital has long been emphasized because natural capital has served as key inputs or resources available for growth. More recently, however, amid a growing sense of crisis stemming from global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a focus is now placed on the “coexistence” of natural capital with the humankind as backbone resources that can ensure the sustainable growth of both human living and natural ecosystem. This is now called a “new nature capital-based” approach. ● While previous approaches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or recovery have been mainly focused on structural improvements of hardware (e.g. a balance between grey and green infrastructures), there now arises a need to promote NbS by rolling out R&I projects (e.g. securing technologies necessary for disseminating NbS) aimed at improving internal software capabilities. □ Foreign and Korean Cases of NbS Approach and Their Implications ● Through the Horizon 2020 R&I Program, the EU is making significant investments in NbS projects and developing various R&I agendas to emerge as a global leader in the related markets. ● Foreign approach of these efforts are classified in aspects of Urban Ecosystem, Nature Ecosystem and Innovation is as follows : Urban Ecosystem [Urban GAIA (green & blue infrastructure project), Sustainable City Project, CLEVER CITIES (smart city project)], Nature Ecosystem [BiodiveERsA (biodiversity project), Bonn Challeng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ject), AQUACROSS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Innovation [Connecting Nature (investment initiative), NbS initiative (research & innovation initiative)] ● Korea perceives the NbS approach as an inclusive higher-level concept that covers an array of existing similar approaches. A prime example of Korea’s NbS approach is the “low-impact development (LID)” for restoring and recycling the water resources. Recently, Korea is diversifying the scope of its NbS projects. - Though NbS projects are currently focused on environmental and urban planning,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that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that also preserves the natural ecosystem is a feasible long-term solution for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NbS-based development approach is expected to help

      • 나주 불회사 대웅전 및 명부전 목부재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강민지 ( Minji Kang ),이광희 ( Kwanghee Le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나주 불회사 대웅전은 익공계 맞배지붕형태의 건물로 1799년(정조 23년)에 나한전과 함께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그 외의 중건 및 수리 기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웅전, 명부전 건물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을 실시하여 건축물의 정확한 연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웅전 목부재 60점과 명부전 목부재 16점을 대상으로 특수제작된 코어형 비트를 이용하여 수피근처에서 연륜 연대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소나무류 19점, 상수리나무류 13점, 졸참나무류 4점, 느티나무 16점, 전나무속 3점, 비자나무 2점, 측백나무속 1점, 미송속 1점, 가문비나무속 1점 등으로 식별되었다. 명부전에서의 목부재 16점 중 느티나무 9점, 소나무류 2점, 상수리나무류 1점, 단풍나무 1점, 졸참나무류 1점, 서어나무속 1점, 삼엽송류(외래산 소나무) 1점 등으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시료를 고정대에 부착 후 사포로 연마하여 연륜폭측정기를 이용해 0.01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연륜폭그래프는 그래프와 통계분석을 이용한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을 통해 시료의 정확한 생육연대를 각 연륜에 부여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대웅전의 소나무류 연대기는 1718-1797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명부전의 소나무류 연대기는 대웅전 소나무류 연대기 연륜패턴과 일치하여 최종 1750-1798년 연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나주 불회사 대웅전과 명부전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중건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륜연대 대상 시료들 중에서는 중건 연대 이외의 시기가 확인되지 않았다. 수종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일제 강점기 이후의 수리 이외에는 중건 이후 수리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중견기업 정책지원 이슈 분석

        강민지 ( Kang Minji ),박찬수 ( Park Chansoo ),유재연 ( You Jaeyeon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0 중견기업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견기업과 관련된 정책의 변화와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언론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중견기업 정책지원을 위한 이슈를 도출하였다. 2000년대 후반 본격화된 한국 중견기업 정책은 2018년 중견기업 비전 2280을 발표하는 등 점차 세분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정책변화 양상을 추적 분석함으로써 실효성있는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2000년대 이후 언론기사를 대상으로 삼아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은 중견기업 정책의 시기를 3기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의 경우, 중견기업과 연관된 주요 단어 7가지(혁신, 성장, 육성, 월드클래스, 창조경제, 성장사다리, 기업생태계)의 어휘를 중심으로 어떤 단어들이 자주 등장했는지 분석하였고, 이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어떤 단어들이 어느 기사에서 주로 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 정책과 차별화 되도록, 일방적인 시혜 중심의 육성 정책이 아니라 업종별, 유협별 세분화된 전략이 필요하며, 중견기업 중심의 산업·지역 혁신 생태계 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an uncertain global economic environment, just like expansion of Japanese export regulations and spread of COVID 19,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securing the role and competitiveness of Korea’s mid-sized enterprises that lead to job creation and innovation growt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mpirically exploring changes in keywords and issues of Korean mid-sized enterprises supporting policies and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In this study, from 2000 to 2018, media articles were analyzed for big data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o confirm changes in policy and social perception related to mid-sized compan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keyword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by period, it can be seen that mid-sized company policies and the issues related to mid-sized companies have been subdivided and diversified since the second period. As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related to each keyword, most of the 7 keywords are analyzed with related words such as investment, growth, nurturing, and globalization. However, while growth, investment, and nurturing were linked at the same level, innovation appeared to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growth.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pread and disseminate cases of successful corporate growth through innov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