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지목장 방문자의 목장 경관 기대와 목초지 및 초지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양떼목장 방문객의 경우

        강대구,이효진,이효원,Kang, Dae-Koo,Lee, Hyo-Jin,Lee, Hyo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1

        첫째, 방문응답자은 여자, 40대, 사무직, 기혼, 대졸이 가장 많았다. 둘째, 목가적 초원에 대한 기대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가축을 방목하는 드넓은 초원이 모든 연령집단에서 가장 많았으나, 평균보다 높은 집단은 30대뿐이었고, 다른 집단은 모두 낮았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50대였다. 셋째, 초지의 색깔은 잡초, 야생화가 어우러진 다양한 색과 공원의 잔디밭 같은 녹색이 41%정도로 두 가지 유형이 80%이상의 응답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선호하는 초지형태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20대미만과 50대는 끝이 보이지 않는 넓은 면적의 초지, 40대와 60대 이상은 산림이 둘러싸여있는 구릉지 초지, 20대는 넓은 면적의 초지와 구릉지 초지가 동일하게 가장 많았으며, 30대는 구릉지초지와 초지사이에 나무가 적당히 섞인 초지가 동일하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다섯째, 방목형태는 연령별로는 20대, 30대는 양, 젖소, 말의 혼목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40대, 50대, 60대 이상은 양, 염소, 유산양 혼목을 원했으며, 20대미만은 양, 염소, 유산양 혼목과 양, 젖소, 말 혼목을 모두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경우는 양, 젖소, 말의 혼목이 모두 높았으나, 결혼경험이 있는 집단은 양만 방목하거나, 양, 염소, 유산양 혼목이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미혼집단은 양, 젖소, 말의 혼목, 양과 토끼 혼목, 기타의 경우가 높았다. 여섯째, 선호하는 목장유형은 성별과 연령별로 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고, 집단별 선호도에서는 각각 가장 많은 경우가 양떼방목이었으나, 남자보다는 여자가 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30대, 40대, 50대 연령집단이 평균보다 많았으며, 20대, 20대미만, 60대 이상은 평균보다 낮았다. 일곱째, 목장의 목책은 생나무에 쳐진 둥근 철사목책, 나무에 쳐진 철사목책, 철조망 목책 순이었고 가시 있는 철조망목책, 철사로 된 전기목책, 기타는 5%미만이었다. 목책기둥의 재료와 색은 결혼여부에 따라서 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목책은 모두 나무 목책을 선호하였으나, 미혼자는 검정색 방부처리기둥, 시멘트기둥을 선호하였고, 결혼경험자는 흰색금속재기둥, 흰색목재기둥, 나무목책을 선호하였다. 여덟째, 직업별이나 결혼여부별로는 모두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은 흙길이었다. 평균보다 높은 직업은 사무직과 기타였고, 학생, 기술직, 자영업, 전문직은 낮았으며, 결혼경험자의 흙길의 선호가 보다 높았다. 목장길 옆의 초생의 형태는 긴 목초가 있는 길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경우는 20대미만이고, 그 외집단은 야생화와 목초가 혼재된 길을 선호하였으며, 학생을 제외한 다른 직업들은 야생화와 목초가 혼재된 길을 선호하고 학생은 긴 목초형을 선호하였다. 아홉째, 목장방문자의 만족도는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체험프로그램이나 양과의 접촉보다는 경관요소를 만족했다.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in hilly pasture landscape expectancy and tourist's satisfaction on grassland facility.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visitors' survey in Daegwallyeong Yangtte Farm on 31, July, 2014. 367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F-test, t-test,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 at 0.05 level after data screening process. Computing factors were sex, marital status, age, academic career and occupation. The results was as followed; First, major respondents group of survey were in oder of woman, forty years old group, married office worker, and university graduate. Second, the expectancy for grassland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ut pasture color expectanc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vorite grassland type with age, marital status. Third, favorite fence typ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long with all group of participants. However, color and material of fenc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Fourth, preferred ranch road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vorite grassland type near ranch road along with age and occupation type. Fifth, the mean satisfaction was 3.6 point in 5.0. Therefore, all respondents were generally satisfaction in visited. Tourists were more interested in ranch landscape than experience or contacts to animal.

      • KCI등재

        농업인교육자의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강대구 ( Dae Koo Ka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2 농촌지도와 개발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 교육자에게 필요한 농기업 경영 컨설팅 능력을 도출하고,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에 적절한 수업방법, 평가기준을 도출하며, 이들 결과를 기초로 교과목과 과목별 내용, 수업방법과 평가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과 인터넷검색을 통하여 도출된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을 검토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만든후 전문가집단 17명을 대상으로 한 Delphi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평균점수와 표준편차, CVR값을 분석하여 적절한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을 구성하고, 이들 각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만들었으며, 교과목에 적절한 수업방법과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교육과정을 활용할 때 고려하여야 할 부분과 추가적인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agribusiness management consulting competency for agricultural educator, to find th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competency group, and to recommend the subjects, contents of each subject,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of each subjec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b searching of agricultural consulting company and 17 experts members` reviews as delphi methods, agribusiness management consulting competency for agricultural educator was found of 64 items in 90 items. After educability reviews, it was selected of 45 item in 64 items for necessary and educable competency. And it was selected to good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in each competency groups. Finally, eight subjects, major contents of each subject, instructional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in each subject were recommended for agribusiness management competency, and some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치유농업활동 수용도와 직업 의사

        강대구(Dae-Koo Kang),김혜선(Heaseon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1

        이 연구는 미래의 치유농업 관련 직업의 잠재인력이 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업 활동을 치유농업활동으로 수용하는 정도와 치유농업용어에 대한 이해도 및 치유농업 종사의사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치유농업활동 수용도는 지역, 학교소재지 인구 규모, 학과유형, 학과 선택 동기별로는 대학생 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학년별로는 재활돌봄수용도 하위척도에서만 유의한 차가 있었고, 졸업 후 희망 진로, 치유농업소재의 치유효과 인식도, 치유농업용어 이해도, 치유농업 종사희망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졸업 후 희망 진로는 농사, 전공무관회사 취업집단이 전공무관대학원 진학 집단과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경향은 하위집단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치유농업소재의 건강, 행복과의 관련성은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과 매우 관련 없다고 생각하는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모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교육체험수용도는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과 매우 관련 없다는 집단 간에 유의차가 있었다. 치유농업이해도가 높은 집단은 처음인 집단보다 치유농업수용도가 높았고, 하위척도인 치유휴식수용도 역시 동일하였다. 치유농업종사희망정도별로 치유농업수용도에 차이가 있으며 꼭 하고 싶다는 집단이 절대로 하고 싶지 않다는 집단에 비하여 치유농업수용도가 높았다. 둘째, 치유농업이해도는 학교소재, 지역규모, 학과, 학년, 치유농업소재의 건강행복 관련성 인식, 치유농업종사의사에 따라서 유의차가 있었다. 셋째, 치유농업종사희망은 꼭 하고 싶다는 응답자 비율은 2.8%이고 절대하고 싶지 않다는 집단이 35%였다. 조건적 희망자 비율은 62.2%였다. 치유농업종사 희망은 학교소재지역규모, 학과, 학년, 학교선택동기, 치유농업소재의 건강 행복 관련성 인식, 치유농업이해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꼭 하고 싶다는 비율은 50-100만 미만시지역, 관련학과, 3학년, 취업/진로요인으로 학과 선택한 집단, 치유농업소재와 건강행복관련이 매우 관련 있다는 집단, 치유농업용어를 들어봤고 뜻도 안다는 집단이 평균 비율보다 높았다. In modern society, agriculture is changing from food industry as a primary industry to a sixth industry that can affect human life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new perspective that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human beings, as well as various rural resources, cultures, and communities can contribute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alienation of modern people, has been spreading under the name of “therapeutic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cceptance of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as therapeutic agricultural activities, awareness of the terms of therapeutic agriculture, and the intention to engage in therapeutic agriculture in college students who can become potential manpower of future therapeutic agricultu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therapeutic agriculture activities amo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region, local size of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major selection motive. Bu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y career hope after graduation,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s,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Specially, school grade had a partial effect on rehabilitation care which is one of subscales of therapeutic agricultural activities acceptance. Second,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among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ocal size of the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school grade,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Third, occupation inten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e of college/university students was very low in general.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long with local size of the university location, student’s major, school grade, major selection motive, effect cognition of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The intention to engage in therapeutic agriculture were higher in students whose majors were therapeutic agriculture related, students from city with 500,000 to 1,000,000 residents, juniors(3rd grade) in colleges/universities, students who choose major with job or career related motives, students with very positive effect cognition about therapeutic agricultural resource, and students with higher understandings of therapeutic agricultural terminology than other students groups.

      • KCI등재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가자의 특성과 교육효과

        강대구 ( Dae Koo Ka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50대와 40대의 대졸수준의 도시출신으로 농업분야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다수로서, 월 200-300만원 미만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주로 남성이 농사지식, 개인적 능력개발, 담당업무처리능력 개발 목적으로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이버교육이나 농업에 대한 선행학습경험이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고, 학습양식은 구체적-순차적형, 두 가지 이상 복합형이 많았다. 사이버 농업기술교육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나 학업성취는 우수하고, 내용구성이나 현업적응도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이며, 운영지원과 영향력, 학습과정은 보통수준이었다. 한과목이 하 이수집단보다 두과목이상 이수집단이 영향력 평가가 긍정적이었고, 수료증과정과 공개과정 모두를 이수한 집단이 공개과정만 이수한 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과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인력의 확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공간 제공, 교육생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 system 도입,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와 사전 제시, 흥미유발과 지원을 도울 사이버튜터 및 인터넷 전화 활용을 제안하였다. It was main objectives to fi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s of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s in RDA. For the research,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net based survey methods. In internet based survey, two staged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adopted from cyber training members database in RDA along with some key word as open course or certificate course, and enrollment years. Instrument was compos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bout cyber education effects and educational effect fact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tems were added in survey documents. It was sent to sampled persons by e-mail and 316 data was returned via google survey systems. Through the data cleaning, 303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d F-test. It`s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ed; First, the respondent was composed of mainly man(77.9%), and monthly income group was mainly 2,000,000 or 3,000,000 won(24%), bachelor degree(48%), fifty or forty age group was shared to 75%, and their job was changed after learning(12.2%). So major respondents` job was not changed. Their major was not mainly agriculture. Learners` learning style were composed of two or more types as concrete-sequential, mixing, abstract random, so e-learning cours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tudents` type. Second, it was attended at 3.2 days a week, 53.53 minutes a class, totally 172.63 minutes a week. They were very eager or generally eager to study, and attended two or more subjects. The cyber education motives was for farming knowledge,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 job performance enlarging. They selected subjects along with their interest. A subject person couldn`t choose more subjects for little time, others, non interesting subject, but more subject persons were for job performance benefits and previous subjects effectiveness. Most learner was finished their subject, but a fourth was not finished for busy(26.7%). And their entrying behavior was not enough to learn e-course and computer or internet using ability was middle level as software using. And they thought RDA cyber course was comfort in non time or space limit,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 Cyber learning group was composed of open course only (12.5%), certificate only(25.7%), both(36.3%). Third,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arning learners were good, and educational service offering for doing job in learning application category was good, but effect of cyber education was not good, especially, agricultural income increasing was not good because major learner group was not farmer, so they couldn`t apply their knowledge to farming. And content structure and design, content comprehension, content amount were good. The more learning subject group responded to good in effects, and both open course and certificate course group satisfied more than open course only group.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 was offered as cyber course specialization before main course in RDA training system, support staff and faculty enlargement, building blended learning system with local RDA office, introducing cyber tutor system.

      • KCI등재

        호주, 뉴질랜드와 미국의 교원 자격 기준 동향 비교 연구

        강대구(Kang Dae-Koo),박선형(Park Sun Hy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3

        이 연구는 단선형 학제를 취하고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 미국의 교사자격기준과 교사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교사자격기준에 대한 제언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들 국가들의 인터넷 자료들과 연구보고서, 관련 문헌들을 검색하여 정리하였고, 4~5명의 협의진과 협의하였다. 이들 국가는 나름대로 우수한 교사를 위한 양성 표준을 마련하고 있었고, 교사들의 능력을 규정하고 있거나 일부 국가는 교사들의 전문적인 능력 발달 과정을 전제하고 있었다. 교사의 능력개발과정에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사 양성의 경로도 다양하였다. 농어촌 지역이나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교사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내용이나 방안들이 규정되고 있었다. 교원 양성이나 임용 전에 교원으로서 등록하는 제도나, 인정받은 기관을 이수하여 자격을 부여받도록 규정한 경우, 졸업자의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과 추천을 요구하며, 기본적 능력 평가는 대학 입학 전에, 교사로서의 전문적 능력이나 교과 이해는 졸업 시에 시험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교생 실습 전에 일정한 정도의 학생들을 다루는 현장경험을 요구하고 있거나, 교생실습 시에 교사나 실습 부서에 의한 평가를 규정한 경우가 있어서 교사 교육 과정의 질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교사자격은 일차적으로 각 자격에서 요구되는 교사들의 능력은 무엇인가를 상세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집단과 다양한 외부 전문가 집단의 참여를 통한 자격기준 설정 작업이 이루어져야하고, 더 나아가 과목별 기준을 관련 학회의 주도 하에서 제시하는 작업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standard of teacher certificate in some foreign country. For the research,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based materials of Australia, New Zealand, and U.S.A. In Australia, educational change is going to take for excellence of education and teacher quality. Specially, it is various routes for taking a teacher certificate. But for early retirement trend of initial teachers and old teacher's ratio and no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ern for teacher in educational policy,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s supported by TQELT and NSWIT in New South Wales. And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 composed of four level was developed by NSWIT in views of teacher career development focus. And seven components about teacher competency was recommended. In New Zealand, it is compulsory for new teacher candidate to register to New Zealand Teacher Committee. In registration, candidates had some difference category registration along with their experience, training and certificate. New graduates of teacher preparation course had a provisional registration, but they can't teach in school except anyone who have full registration and practising certificate. For full registration, good character and aptitude, and satisfied training and recent teaching experience is necessary. Professional standard is coincide with full registration of teacher. Person having good aptitude for teacher should be take the satisfactory teacher dimensions composed of professional knowledge, professional practice, professional relationship, professional leadership. In U.S.A., Teacher education is obligate to each state, so every state tried to take a good teacher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nd support system for initial teachers. And every state has a their standard of teacher certification inclu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very state tried to get more good standard for teacher by some nonprofit organization as INTASC, NCATE, NBPTS. Based on the research, we will recommend that our teacher certificate standard and policy should be reorganized in view of good teacher traits and our teacher selection strategies should be reviewed in focus of selecting good teacher.

      • KCI등재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강대구 ( Dae Koo Ka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4

        This research was for reviewing the people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 and recommend to some policy implication for supporting it.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was doing and seeking about return farmer meaning and motive, return type, moving problems, adaptation problems, satisfactions degree and farm life and rural life continuance will, and return farmer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twelve policy recommendations offered.

      • KCI등재

        도농통합지역 교육복지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강대구(Kang Dae Koo),이병환(Lee Byung 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도농통합지역의 교육복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 관내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급별, 교육복지사업 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관내 40개 학교 46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교사의 특성과 만족도, 교육복지방침, 교육복지대상자, 필요한 지원사항, 성과지표, 교육복지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지역사회활동만족도가 50%이하로 낮았고 그 외의 항목은 모두 만족하는 수준이었으며, 학생관계나 수업, 교직원과의 관계 등에서는 만족 수준이 70%이상이었다.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이해는 비사업학교 보다 사업학교 교사, 그중에서도 지역형 학교의 교사가 교육복지를 잘 아는 수준이었고, 교육복지의 대상자와 사업영역 확대는 밀집형을 제외하면 다른 유형들은 모두 찬성하였으며, 밀집형은 보통수준이었다. 학교급별로는 교육복지정책과 사업에 대한 이해는 차이가 있었으나, 보통수준이었고,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질 높은 교육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집단별로 차이는 있으나 찬성수준이었다. 교육복지대상자에게는 학비, 급식비, 심리치료와 상담, 긴급의료비, 학습능력 개발과 상담, 기초학력 보충, 진로탐색 활동 및 상담 지원이 매우 시급하였다. 교육복지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체나 공공기관, 관련인사들과의 연계와 협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ducational welfare needs and the cognition of teachers in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specifically the Special Autonomy Cit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literature reviews about educational welfare's meaning, related articles, and a survey method given to teachers were used.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in relation to the various teachers' background and job satisfaction, their views about ideal educational welfare policy and management, target students, support methods, and educational welfare output indicators. A sampling for survey was composed based on the school with or without an educational welfare program. The school stage was set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such as kindergarten, prim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along with teacher numbers. A three staged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used. Finally, 153 teachers in 7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307 teachers in 33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re were 381 questionnaires returned and these were analyzed by F-test and Chi-square test in .05 after data cleaning.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First, it should be strongly recommended from the regional people's or organizations support for education welfare beneficiaries. Second, target students for educational welfare activitie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regional conditions. In addition, a basic standard level for educational welfare should be developed. The support guideline for an educational welfare fund should be developed by the local authority together with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코로나 언택트 시대에 따른 ‘방송을 위한 연극’ 제작 연구 - 연극 <나는 꽃이 싫다>를 중심으로 -

        정주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연극을 비롯한 공연예술계의 환경변화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공연 전달방식에 대한 모색과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에 대한 강구 책 비대면 ‘언택트 공연’의 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달되는 ‘언택트 공연’을 탐구하였다. 이에 실제 코로나 사태로 인해 기존 관객과의 대면공연 방식을 포기하고‘방송을 위한 연극’으 로 제작된 연극 <나는 꽃이 싫다>를 중심으로 제작과정에서 방송 송출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공연 전달 방식은 기획에 있어서 몇몇 변화를 갖게 되었는데, 그에 따라 방송 송출을 위한 촬영팀 섭외, 관객유치가 아닌 시청자 포섭을 위한 마케팅 전략 등에 변화가 있었다. 방송이라는 마케팅에 비해 시청률 은 기대에 크게 못 미쳤지만,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자들의 평가와 반응 그리고 그에 대한 기획팀의 간단한 답변은 새로운 공연의 소통문화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테크니컬디자이너들도 ‘방송을 위한 연극’제작을 위해 변화를 피할 수 없었는데, 온라인 송출 방식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출 과 더불어 명확한 의도와 내용을 방송으로 송출하기 위해 촬영감독과 사전 협의를 필히 진행해야한다는 결론이다. 아울러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영상제작이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생방송 송출에서는 철저한 약 속과 계산된 ‘카메라 워크’ 계획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카메라 감독들은 대본을 숙지해야하고 ‘카메라 워 크’를 배우의 연기 호흡과 함께 해야만 섬세한 표정과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 기존에 방송국마다 연극뿐 아니라 뮤지컬이나 오페라 등을 제작·편성하여 방송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까지는 대부분 녹화하여 편집 방송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각 포털사이트를 통해 연극도 라이브 송출이 되는 구조로 변모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코로나 상황이 종식되지 않는다면 ‘방송을 위한 연극’제작과 생방송 송출은 당분간 유행처럼 지속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The study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cluding plays triggered by the Corona(Covid-19) and ways to deliver new performances to overcome them. Therefore,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of the ‘untact performing' on the Corona situation, while exploring ‘untact performing' delivered in various forms at the site. In response, due to the actual Corona incident, we gave up on the way to face-to-face performances with existing audiences, and even looked at broadcasting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focusing on the play <I Hate Flowers> produced as a ‘Play for Broadcasting’. As a result, the new method of delivering performances has changed a few things in planning, including casting a filming team for broadcasting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attracting viewers, not attracting audiences. Technical designers were also forced to make changes for the production of ‘Play for Broadcasting’.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nline transmission methods, it is concluded that prior consultation with the filming director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send clear intentions and contents to broadcasting as well as directing. Camera directors must be familiar with the script and ‘camera walk’ must be accompanied by the actor's acting breathing to convey delicate expressions and emotions. Previously, each broadcasting station produced and organized musicals and operas as well as plays, but until now, most of them were recorded and edit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pla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live broadcast through each portal site since the Corona. Therefore, if the Corona situation does not end, the production of ‘Play for Broadcasting’ and live broadcasting will continue like a trend for the time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