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Java기반의 MPEG-4 시스템 구현

        강기정,홍충선,이대영,Kang, Ki-Joung,Hong, Choong-Seon,Lee, Da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5

        In this paper,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Java based MPEG-4 system that follows MPEG-4 standard protocols in order to provide multimedia-messaging service is introduced. The multimedia-messaging service is a wireless LAN based wired and wireless service that delivers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Detailed Methods to develop a MPEG-4 system like technology of MPEG-4 system implementation, definition for wired and wireless multimedia service, DMIF implementation, and mp4 file Parsing are described. 본 논문에서는 무선 랜 기반의 유무선 통합서비스 사업을 위해 동영상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바와 자바 3차원 기반의 MPEG-4 표준 규약에 충실한 MPEG-4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MPEG-4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기술, 유무선 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정의, DMIF 구현 및 mp4 파일 파싱 등의 구체적인 MPEG-4 시스템 구현 방법 등을 기술한다.

      • KCI등재

        FDMA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동적채널할당 방법

        강기정,홍충선,이대영,Kang, Ki-Joung,Hong, Choong-Seon,Lee, Da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2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채널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수요에 맞는 충분한 채널을 제공하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는 채널들을 간섭 현상이 없도록 재사용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각 셀의 수요에 맞게 최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에 따라 채널 수요에 대한 변화가 불확실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가 심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셀이 채널을 필요로 할 때 필요한 채널 수만큼을 동적으로 빠른 시간에 최적 할당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erian)을 사용하여 채널간의 간섭 정도를 최소화하는 동적 채널 할당방법을 개발하였다. There is a rapidly growing demand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The restricted number of channels is a significant bottleneck for the capac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Consequently, when assigning the channels to the different base stations, it is desirable to reuse the same channel af much as possible. It is then important to avoid any possible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mobile users, while satisfying the given demand.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hybrid heuristic algorithm to find the channel assignment method for allocating the channels in an efficient way, which does not violate the compatibility constraints. We also show several benchmarking channel assignment problems using proposed channel assignment method for validation in this thesis.

      • KCI등재

        연구논문 : 연구논문 : 수사절차상 긴급체포의 현황과 주요쟁점

        강기정 ( Ki Jung Kang ),류병관 ( Byung Kwan Ryu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9 No.2

        Arrest-detention system symbolizes the standard of human rights and national elegance. Existing urgent arrest system was made better than before, but it leaves room for improvement. The urgent arrest system is pre-arrest warrant, like the post as well as the act does not warrant requirement. A system for realizing the finality of the investigation as if the exception is applicable only in case of an emergency warrant attention can miss the offender committed a serious crime. Much of criminal charges and arrest warrants in relation to the urgent arrested on criminal charges in the same degree of reason much be substantial. But it can not see each other as equal. Another arrest warrant issued by the examination papers or in the case of an arrest warrant is a direct examination. This must be determined individually. Therefore, a significant reason why criminal charges in a different dimension is bound to be judged separately. According to existing Criminal Procedure Act, the object of urgent arrest is the suspected has committed crime which fulfill over 3 years imprisonment. 87% of whole crimes of crimina law is fulfilled the object of urgent arrest. Therefore urgent arrest which is exception of exception should be decreased the scope. If the urgent arrested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rrested after arrest warrants for the post-control then arrested. I think it appropriate to reduce the charge time limit of detention within 48 hours of the current and arrested within 12 hours. For a thorough human rights abolished the system of inspection and approval, we should adopt a system of judicial approval. Further, Systematic improvements of Urgent Arrest necessary, like having more specific criteria and strengthening court’s control in arresting suspect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강기정 ( Ki Jung Kang ),이무영 ( Moo Young Lee ),정은미 ( Eun Mi J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족사례관리 시범 실시를 통해, 사례관리 실천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사례관리 모델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다문화가족사례관리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사례관리자들의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는 사례관리 개념, 목적에 대해서는 혼돈된 상황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나,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개념에 대해 명료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사례관리자의 자질에 대한 인식은 사례관리자 대상 교육과 수퍼비전의 경험을 통해 명료화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족사례관리의 과정과 관련하여 사례관리자들은 대상자 선정이 어렵고, 실천과정 전 과정에 대한 이해 및 체득 기회의 부족 등이 서식기록의 어려움과 복잡함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례관리사업에 대한 내부 환경은 현재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의 수행체계는 기관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 가족사례관리 활성화에 대한 방안으로 이들 사례관리자들은 크게 다문화가족사례관리자의 역량 개발 및 강화의 필요, 다문화가족사례관리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확대 및 수정, 센터 내부와 외부의 운영체계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pilot case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experiences obtained in cas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imed at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pilot pro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asked about multicultural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rs were initially confused about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and its purpose, but came to understand the concept over time. Secondly, the qualities of a multicultural family case manager have been clarified through education and supervision for the case managers. Thirdly, case manag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lecting subjects for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y case management,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scarce opportunities to practice case management led to the difficulty and complexity in document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객관적 귀속이론에 관한 고찰

        강기정 ( Ki Jung Kang ),류병관 ( Byung Kwan Ryu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0 No.2

        객관적 귀속은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위험실현``이라는 기준을 통해서 행위와 결과 사이의 객관적 귀속관련을 인정하려고 하고 있다. 따라서 행위와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는 점만을 통해서는 직접적으로 행위자에게 죄책을 지울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객관적 귀속이 기존의 인과관계에 대한 해석론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객관적 귀속이론의 전개는 아직까지 마무리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 귀속은 책임의 범위를 객관적 귀속의 척도를 가지고 구성요건단계에서 제한하고자 하지만, 여기에서 주장하는 귀속의 척도는 기존의 범죄론에 이미 해소되어 있다는 점, 객관적 귀속이 그 척도를 불문의 ``객관적`` 구성요건요소로 파악하면서 척도 중의 하나로서 실현된 결과의 객관적 ``예견가능성``이라는 ``주관적`` 척도를 설정하는 것은 모순이라는 점 등 비판이 있다. 이와 같은 비판의 여지가 큰 이론이지만, 현재 우리 판례가 상당인과관계설에 근거해 인관관계의 존부를 판단하고 있는 기준인 ``상당성`` 또는 ``생활경험``이 객관적인 명백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상당인과관계설도 주관적요소로서 ``객관적 예측가능성``과 ``행위자가 특히 예견한 사정``까지도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객관적 귀속이론의 필요성은 존재한다고 본다. 다만, 귀속의 척도를 중심으로 객관적 귀속이론을 좀더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객관적 귀속은 완성된 이론이 아니고, 아직 ``발전과정에 있는 이론``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In Verbindung mit § 17 DStGB hatten die bisherigen Theorien keinen konkreten Mastaebe fuer die Festellung des Ursaechlichen Zusammenhangs, sondern nur das Bestehen einer Kausalitaet zwischen Handlung und Erfolg in Frage. Aber da § 17 DStGB, die keinen besonderen Mastab fuer solchen Fragen hatte, nicht anworten konnte, wuerde in Korea nach 1980`s Jahre von der deutschen ``objektiv Zurechnung`` und ``Kausalitaet Lehre`` beeinflusst, die auch zur heutigen Tage als die herrschende Theorie in koreanischen Stafrecht gilt. Nach dieser Theorie ist zu sehen, dass man bei der Kausalitaetsfrage erst die Tatsachen zu pruefen hat, ob eine Kausalitaet besteht oder nicht. Und wenn die Kausalitaet besteht, muss man die nach bestimmten Voraussetzungen und auch ``rechtlich und normativ`` pruefen , ob der Taeter Objektiv Zurechnung ist oder nicht. Inhaltsverzeichnis Ⅰ. Einleitung Ⅱ. Rechtsposition der objektiven Zurechnung Ⅲ. Voraussetzungen der objektiven Zurechnung Ⅳ. Praezedenzfall von objektiven Zurechnung Ⅴ. Konsequenz

      • KCI등재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강기정 ( Ki Jung Kang ),이무영 ( Moo Young Lee ),강복정 ( Bog Jeong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상담 현장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상담경험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상담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주제, 12개의 범주,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다문화가족상담의 정의, 다문화가족상담가 자질,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상담환경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이며, 12개의 범주는 상담의 영역상담의 목적, 상담가로서의 한계, 특수한 역량 갖추기, 직급에 따른 상이한 역할 인식, 업무의 비중인력의 배정, 현재 업무에 대한 인식, 새로운 상담환경의 필요네트워크의 필요, 도농간 지역격차관계의 재조정 이며, 16개의 하위범주로 모호함 - 같은 출발, 다른 방향, 특수한 영역으로서의 다문화, 개인측면-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찾기, 가족측면-한국생활적응, 기본적인 상담역량 갖추기, 다문화 역량 갖추기, 가족상담 능력 갖추기, 상담관련 실무에 따른 차이, 기본업무 중심, 인력배치의 부익부 빈익빈, 전담인력의 추가배치, 업무 소진, 사례관리, 자조모임의 활성화, 기존 종사자들의 양성화, 수직에서 수평으로가 나왔으며, 이를 중심으로 다문화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workers in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in order to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difficulties they face in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field. For this, We used focusing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workers in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was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bed, and four themes, twelve categories and sixteen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irst, four themes are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identification, quality of counselor, perception of counseling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enters Network. Second, twelve categories are the area of counseling, the purpose of counseling, the limit of one`s counseling ability, the having a special ability as a counselor,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in career role, the assignment of workers, the perception of one`s duty, the need of new counseling background, the need of local area network, the restructuring of the gap between towns and farm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s findings are discussed and direction is offered for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Model.

      • KCI등재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강기정 ( Ki Jung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2

        향후 다문화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다문화 전문 인력의 개념과 역할을 규정하고, 이들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다문화 전문 인력의 개념과 역할, 이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 델파이조사방법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델파이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모두 38명이었고, 조사결과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전문가는 모두 13명이며, 2팀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content-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번째로 다문화전문 인력은 다문화가족전문가, 한국어지도사, 아동양육지도사, 다문화이해교육강사 등 4가지로 유형하였다. 두 번째로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다문화가족전문가는 가족복지 관련 국가자격증인 건강가정사를 활용하는 방안과 신규로 국가자격제도를 도입하는 방법, 국가공인 민간자격제도를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어지도사와 아동양육지도사는 기존의 한국어교원 자격증 또는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이해와 관련된 추가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이해 교육강사 양성과정은 기존의 양성과정과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연계하여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rol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ervice professional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Delphi method and by focus group interviews. 38 multicultural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Delphi activity and 13 multicultural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rvice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our types were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s,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s who were rearing children and instructors of multicultural studies. Second,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s used a certificate for a healthy family center worker and made a new certificate for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s who were rearing children and instructors of multicultural studies required supp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시대 사회통합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족정책 및 전달체계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강기정 ( Ki Jung Kang ),박수선 ( Su Sun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duce evidence that may contribute to draw promotional measures for family policy. To design development measures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and family policy,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12 professional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Factors for the support subject and scope, the subject expansion and the promotional system maintenance were grasped and the basic requirements to set the long-term direc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developed. Nowadays, various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 existence and policy chang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come the starting point for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at the level of social unity. A stakeholder-centric paradigm conversion considering the aspects of all related members is required and in-depth discussion on how to establish a future multicultural society is necessary.

      • KCI등재

        다문화가족 모(母)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강기정 ( Ki Jung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모(母)의 잠재적인 역량을 개발·강화하여 성공적인 부모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다문화 부모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내용은 부모 정체성 정립을 위해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개인별 변화와 집단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측 첫째 부모정체성 정립을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개인별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정체성 정립을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집단별 변화는 어떠한가? 2008년 7월-9월까지 결혼이주여성과 남편, 다문화활동가에게 다문화가족의 부모정체성 및 부모역량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였다. 이를 기초로 2008년 10월-2009년 1월까지 다문화가족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C센터에서 10회기(20시간)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는 부모됨에 대한 부모정체성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프로그램 참여자 개인은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사전·후 검증에 부모됨에 대한 정체성과 책임감이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집단별 변화는 `부모됨의 기대와 행복한 부모코칭`, `부모기술 배움`, `나의 꿈, 나의 희망 행복한 가족`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Research shows tha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 multicultural parent coaching program has developed and strengthened the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potential abilities and supported successful parenting and adapting to Korean life. The process of change occurr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as been analyzed. The Parent Coaching Program attended by multicultural family women participants has been surveyed for research information on establishing parent identity. In July-September 2008, a demand survey which covered multi-cultural actiulst and matters about identity as well as parent competency was done by married mdonent women and their husbands, the. Based on these, from October 2008 until January 2009, nine (9) multicultural family women attended a 10-week (20 hours) program at the cen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establishing parental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by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Coaching Program. Self-confidence and individual identity of those who participated has been established upon verification of the before and after pars of the Parent Coaching Program. The program participants came up with themes for the three stages: expectations of being a parent and happy parent coach, parents` technical education, and my dreams, my hopes, a happy family, all of which showed change in th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