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ホームステイが日本語学習と異文化理解に与える影響-アンケート調査の結果を中心にして-

        齊藤明美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7

        本稿は、1996年から韓国にある翰林大学校の日本学科で実施しているホームステイに関する研究である。翰林大学校の日本学科の学生は、毎年7月の初めから中旬にかけて夏休みを利用して、日本の鳥取県の南部町で10日間のホームステイをしている。また、2年に1度南部町の国際交流委員会を中心とするホームステイ事業の関係者やホストファミリーを経験した人達が韓国を訪れ、翰林大学校の教員やホームステイを経験した学生達と交流会を開いている。ここでは、今年で19回目となった韓国の大学と日本の地方都市との交流の中心であるホームステイに着目し、ホームステイを経験した韓国の大学生の視点にたって、2012年(必要に応じて2013年)に実施したアンケート調査の結果や作文、報告書等をもとにして、ホームステイが学生達の日本語学習や異文化理解及びホストファミリーとの心的交流に与える影響について言及している。調査の結果、多くの学生がホームステイに参加してよかったと考えていること、ホームステイは日本語会話や聴解の勉強になり、日本語学習の動機付けにもなっていること、学生達はホームステイが日本文化の理解に役立つと考えていること、日本に新しい家族ができたことに喜びを感じていること等が明らかになった。これらは1996年から2013年までホームステイに参加した学生達のほぼ共通した認識であると思われるが、最近の傾向として「インターネットが使えない」「携帯が通じない地域があった」等といった新しい問題も起き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 KCI등재

        『交隣須知』の接続助詞 : 原因ㆍ理由を表わす接続助詞を中心にして

        齊藤明美 한국일본문화학회 2000 日本文化學報 Vol.8 No.-

        本稿는, 에도시대부터 메이지시대에 걸쳐 가장 널리 이용된 한국어 회화 학습서 『交隣須知』諸本에서 보이는, 원인ㆍ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により」, 「から」, 「ので」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文例를 조사한 결과 『交隣須知』의 写本類에 있어서는 「ニヨリ」가 「さまり文旬」처럼 사용되고 있었으나, 메이지 16년의 宝迫本『交隣須知』에서 「から」가 급증하고, 메이지 37년본 『交隣須知』에 이르러 처음으로 「ので」가 등장하는 것이 확실해졌다. 또한 「から」와 「ので」에 대응되는 한국어를 보면 『交隣須知』에 한해 「から」에는 「니」가, 「ので」에는 「셔」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점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日韓善隣通語』の硏究

        齊藤明美 한국일본어학회 2005 日本語學硏究 Vol.0 No.14

        『日韓善隣通語』는 明治13年(1880)에 宝迫繁勝에 의해서 작성된、当時의 생생한 会話体를 볼 수 있는韓国語学習書이다. 本稿에서는『日韓善隣通語』의 内容을 検討함과 동시에 本書에 보이는 日本語를 중심으로 한 言語에 관해 言及했다. 먼저(1)母音・子音에 관해서 서술하고, 이어서(2)方言에 관해서(3)「日用人事語」와「商語問答」의 文末表現에 관해서(4)敬語에 관해서(5)命令語에 관해서(6)各物之名詞에 관해서 서술했다. 그리고 作者、宝迫繁勝가 깊이 관계된『交隣須知』와의 関係에 관해서도 調査했다. 그 결과『日韓善隣通語』에 使用된 日本語의 性格의一部를 분명하게 함과 동시에、『日韓善隣通語』의「各物之名詞」에 記入되어 있는 語彙와『交隣須知』와의 関係를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大正七年刊『朝鮮語五十日間獨修』の硏究 2) -「單語」の部門配列と日本語の特色について-

        齊藤明美 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日本語文學 Vol.67 No.-

        본고는 1918년(大正7년)에 시마이 히로시(島井浩)에 의해 작성된『조선어50일간독습(朝鮮語五十日間獨修)』의 부록인「단어(單語)」의 부문명(部門名)과 일본어의 특색에 대하여 기술한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에 대해 기술한 후, 『조선어50일간독습(朝鮮語五十日間獨修)』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조선어50일간독습(朝鮮語五十日間獨修)』의 「단어(單語)」의 부문명(部門名)이 작성되기에 이른 경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어서, 『조선어50일간독습(朝鮮語五十日間獨修)』의 「회화(會話)」부분에서 볼 수 있는 일본어의 특색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조사결과, 시마이 히로시(島井浩)가 작성한 학습서인 「단어(單語)」의 부문명(部門名)에서는 공통 부문도 많으나, 다른 것도 적지 않음이 밝혀졌다. 메이지35년(明治35年)의 『실용한어학(實用韓話學)』은 『실지응용조선어독학서(實地應用朝鮮語獨學書)』등과 같은 학습서를 참고로 했을 가능성이 높으나, 『실용일한회화독학(實用日韓會話獨學)』을 작성할 때는 수, 통화, 단위 등을 나타내는 단어와 함께 다수의 새로운 부문명(部門名)을 첨가하고 있다. 또한, 『조선어50일간독습(朝鮮語五十日間獨修)』을 작성할 때는 지금까지 작자자신이 간행한『실용일한회화독학(實用日韓會話獨學)』이나『일한한일신회화(日韓韓日新會話)』등과 같은 자료나 기타 자료를 참고로 하면서 그때까지 있었던 부문명(部門名)을 변경하거나, 더욱 새로운 부문명(部門名)을 첨가 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리고 「회화(會話)」에서 볼 수 있는 일본어의 특색을 보면 당시의 언어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현대어가 확립되기 이전의 혼돈된 언어 현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ategories of the "Word" section of Chosengo Gojunichikan Dokushu (Self-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Fifty Days) created by Hiroshi Shimai in 1918,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After describing the previous study, the format and content of Chosengo Gojunichikan Dokushu is explained, followed by a discussion regarding the background of how the "Word" section of Chosengo Gojunichikan Dokushu was cre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seen in the "Conversation" section of Chosengo Gojunichikan Dokushu are then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while there were many common categories among the "Word" section, there were also quite a few that diff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seen in the “Conversation” section are believed to reflect the linguistic phenomena of that time. Confusing linguistic phenomena before modern language was established can be s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