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제 금산사의 창건과 초기 가람 구조

        진정환(Joung-hwan J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7 No.-

        이 논문은 미륵신앙의 성지로 잘 알려진 김제 금산사의 창건 시기와 주체, 초기 가람의 구조를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진표 관련 기록을 주도면밀하게 살펴서 금산사의 창건 시기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인근의 대표적인 미륵신앙 관련 사찰인 익산 미륵사, 진표의 제자가 창건한 법주사와 동화사 가람과 비교하여 창건 당시 가람 구조를 살펴보고, 이어서 동-서 축과 남-북 축이 교차하는 현재의 기본 구조가 만들어진 후백제 시기 금산사 가람을 검토하였다. 금산사의 창건부터 후백제 시기 금산사 중창까지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금산사는 진표에 의해 창건된 사찰이다. ② 진표 창건 당시 가람은 동-서 축에 전각을 배치하였는데, 미륵불을 봉안한 금당은 ‘坐東向西’ 하였다. ③ 송대와 미륵전은 창건 당시부터 있었던 것인데, 이로써 「상-송대-미륵보살」・「하-금당-미륵불」의 수직 2단 공간이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④ 금산사에 볼 수 있는 상-하 수직 공간은 인근의 익산 미륵사뿐만 아니라 진표계 사원인 법주사와 동화사에서도 확인된다. ⑤ 후백제 때 금산사는 수계를 비롯한 다양한 의례의 설행을 위한 국가 사찰이 되었다. ⑥ 후백제 때는 수계를 위한 계단을 송대 위에 만들었다. ⑦ 고려 초에 만들어진 석탑의 입지를 볼 때, 후백제 때 만들어진 계단은 현재의 계단보다는 작았을 것이다. ⑧ 아울러, 당간지주의 위치를 보면 후백제 때에는 남-북 축에 새로운 전각이 조성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founding period, founder, and early architectural layout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a revered site within the Maitreya faith. To accomplish this, a meticulous examination of records related to Buddhist monk Jinpyo (眞表) was undertaken, shedding light on the temple's founding period. Subsequently, the temple's layout structure at its inception was scrutiniz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Mireuksa Temple in Iksan, a notable neighboring temple associated with Maitreya faith, along with Beopjusa Temple and Donghwasa Temple, both established by Jinpyo's disciples. Furthermore, the architectural evolution of Geumsansa Temple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its current temple structure, was reviewed. The progression from the founding of Geumsansa Temple to its reconstruction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Geumsansa Temple was founded by Jinpyo. ② During Jinpyo's era, the temple's buildings were aligned along the east-west axis, with the Gold Hall (Geumdang, Maitreya Hall) housing the enshrined Maitreya Buddha, positioned to face westward. ③ The Songdae (松臺) and Maitreya Hall have been integral since the temple's inception, featuring a vertical two-tiered spatial arrangement accommodating 'Upper-Songdae-Maitreya Bodhisattva' and 'Lower - Gold Hall-Maitreya Buddha.' ④ The vertical spatial configuration observed in Geumsansa Temple is also present in nearby Mireuksa Temple in Iksan, as well as Beopjusa Temple and Donghwasa Temple, both related to Jinpyo. ⑤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Geumsansa Temple attained national prominence, serving as a venue for various rituals, including ordination. ⑥ A stone structure for ordination was erected on the Songdae at that time. ⑦ Given the location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built in the early Goryeo period (estimated 976~984), it is presumed that the ordination platform built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was smaller than the current platform. ⑧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flagpole supports at Geumsansa Temple, it is inferred that new buildings were constructed along the north-south axis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下代 雙獅子石燈과 禪宗山門

        진정환 ( Jin Joung Hwan ) 호남사학회 2024 역사학연구 Vol.95 No.-

        이 논문은 신라 하대 본격적으로 유입된 선종산문 주도로 새로 만들어진 불교미술품 연구의 하나로, 쌍사자석등의 특징, 조성 시기, 주도한 세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서 있는 쌍사자로 간주석을 대체한 석등 3기 가운데,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석등이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으로서 옥룡산문의 개창조인 도선이 860년대 조영한 것이다. 도선이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석등과 같은 독특한 조형을 만든 이유는 실상산문에서 산문 고유의 고복형석등을 창안한 것처럼 옥룡산문만의 상징물을 만들고자 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화엄사 출가하고 화엄교학에 능통했던 도선의 경험과 인식이 강하게 투영되었다.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석등의 비례와 유사한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석등은 중흥산성 석등을 모델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두 석등의 동질성은 합천영암사가 옥룡산문 소속 사찰일 가능성을 높여 준다. 한편, 보은 법주사 쌍사자석등은 후삼국기 이후 조성된 석등에서나 볼 수 있는 부등변 팔각형 화사석이나 원구형 상·하대석 등을 볼 때, 쌍사자석등 가운데 가장 먼저 만들어졌다는 지금까지의 추정과 달리 고려 초에 조성된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newly created Buddhist artwork led by the Zen School,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the period of its creation, and the leading force behind it. Among the three stone lanterns that replaced the octagonal stone pillar with a standing double lion,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at Jungheungsanseong Fortress in Gwangyang was made in the 860s by Zen master Doseon (道詵), the founder of the Okryong Zen School. The reason for creating such a unique form as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at Jungheungsanseong Fortress in Gwangyang was a desire to establish a symbol unique to the Okryong Zen School, just as the Silsang Zen School created the swollen hourglass-drum shaped stone lantern unique to the Zen School. Here, the perception of Zen master Doseon, who became a monk at Hwaeomsa Temple and was well-versed in Hwaeom (Avatamsaka), would have been strongly reflected. Furthermore,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at the Yeongamsa Temple site in Hapcheon, which has similar proportions to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at Jungheungsanseong Fortress in Gwangyang, is presumed to have been modeled after the stone lantern at Jungheungsanseong Fortress. The homogeneity of the two stone lanterns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Yeongamsa Temple in Hapcheon was a temple belonging to the Okryong Zen School. Meanwhile, the Double Lion Stone Lantern at Beopjusa Temple in Boeun appears to have been built in the early Goryeo period, considering the spherical pedestal and scalene octagonal stone, which can only be seen in stone lanterns built after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 SCOPUSKCI우수등재
      • KCI등재

        삼척(三陟) 봉황산(鳳凰山) 미륵불(彌勒佛)의 특징(特徵)과 조성(造成) 배경(背景)

        진정환 ( Jin Joung-hwan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이 논문은 三陟 鳳凰山 彌勒佛과 불상과의 조형적 상관성, 불교 조형물로서 삼척봉황산 미륵불의 조성 배경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특히 삼척지역 불교조각 양상을 검토하여, 봉황산 미륵불의 조형적 원류가 같은 시기 같은 지역 불교조각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조성 배경 관련, ‘殺氣’의 정체가 무엇이며, 왜 불교미술품으로 그 살기를 막으려고 했던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삼척 봉황산 석상은 삼척지역의 여러 불상, 예를 들면 삼화사, 천은사, 신흥사, 영은사 불상 등을 모방·변형한 것이다. 그러나 모방의 한계와 불상 조각에 능숙하지 않은 집단이 조성을 주도하면서 유기적 조화를 살펴볼 수 없고 조각 수법이 뒤떨어진다. 능묘 석인상의 얼굴과 봉황산 미륵불의 얼굴 표현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삼척 및 關東 일대에서 활동하며 유교조각을 담당했던 장인들이 봉황산 미륵불 조성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규헌이 봉황산 정상에 석상을 조성한 배경과 이유는 고려시대 확립된 ‘비보사탑설’의 영향이 크며 당시 빈번했던 화재를 예방하고 삼척부민들의 삶을 위협했던 災異를 물리치기 위해서였다. 20여 년 후 삼척부민들은 彌勒下生의 염원과 함께 토착 신앙인 미르(용)신앙의 영향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미륵불로 지칭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삼척 봉황산 미륵불은 비록 19세기 조성된 것이고 예술성이 뚜렷하지는 않으나, 지역사·미술사·불교사·민속학적으로 차별화되는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봉황산 미륵불은 적극적으로 고을의 안녕을 염원하고 빈번했던 재이를 대처하기 위한 지방관의 적극적인 통치행위의 한 사례로써 조선 후기 지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미술사적으로도 조성 시기와 이유가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19세기 조각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가치를 지닌다. 이뿐만 아니라, 불교조각과 유교조각의 특징과 요소가 융합된 조각상이라는 점에서 조선 말 造像 활동 관련 장인 수급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불교사적으로도 조선 후기 불교가 삼척지역의 주민들에 끼친 영향은 물론 彌勒下生信仰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와 의의가 있다. 또한 ‘풍수지리설’이 지방통치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 건국 후 확립된 ‘비보사탑설’이 조선 말까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관련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토착 신앙인 미르신앙과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어, 민속학적으로도 매우 큰 가치와 의의가 있다.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origins of the Maitreya Buddh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and the aesth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es and other works of mainstream Buddhist sculpture in Korea. The discussion concludes that the origin of the statues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Buddhist sculptures made in and around Samcheok during the same period. The discussion also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murderous energy" which led to the origin of the statues, and the reason why the creators of the statues decided to ward off evil energy with Buddhist images. The main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is that the stone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were inspired by the Buddhist images enshrined in local Buddhist temples such as Samhwasa, Cheoneunsa, Sinheungsa and Yeongeunsa. Unfortunately, the carvers of these statues were unable to copy the originals faithfully and achieve their organic harmony due to a lack of carving skills and experience as well as knowledge of Buddhist sculpture. Considering the remarkable similarity between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tone guardians standing at the royal tombs of Joseon and those of the Maitrey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the latter could have been made by artisans of Samcheok and Gwandong(the East Coast of Gangwon-do Province) area. As for the background to the stone imag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Yi Gyu-heon, influenced by the Pungsu (or Feng Shui) principles relating to "guardian temples and pagodas"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placed them on the summit of Bonghwangsan Mountain in the belief that they would help prevent fire and expel the evil forces that were threatening the lives of the inhabitants of Samcheok-bu. The statues were moved to their current location some twenty years later according to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of Samcheok to reach the utopian world ruled by Maitreya Buddha and the traditional folk belief in the dragon as a supreme power. Although they were created relatively recently,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lack aesthetic merit, the Maitrey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hold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art, Buddhism and folklore. Specifically, the statues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fforts of a local administrative head to protect his town against disasters caused by evil forces, and thu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studies on the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atues are also regarded as an important tangible source for research on Korean Buddhist sculptur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ddhist and Confucian sculptures also makes the statues a useful resource for studies on the supply and demand of artisans who created stone sculptural work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atues are also regarded as a valuable source of knowledge regarding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lives of the inhabitants of Samcheok during late Joseon, and the tradition of Maitreya worship that they preserved in particular. They also constitute tangible evidence to support the theory that the principles of Pungsu were exploited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in order to govern the regions more effectively and that the principle of using a guardian temple or pagoda to ward off evil forces remained influential from its emergence in the Goryeo period to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the statues are also important sources for folklore studies, particularly the tradition of dragon worship among the common people of Samcheo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