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 (適) 만파형 (晩播型) 콩 품종육성을 위한 잡종집단 선발환경의 효율적, 만파선발 콩 계통에 대한 평행교차 (平行交叉) 검정

        김달웅,황영현 한국콩연구회 1989 韓國콩硏究會誌 Vol.6 No.1

        適·晩播型 콩 品種育成을 適播選拔 環境과 晩播選拔 環境의 效率을 相互 比較 檢討하고자 養成된 BC₁F₁ 3個 콩 雜種集團을 集團別로 各各 任意로 兩分한 後 F₂, F₃, F₄, F_5, 를 1 set 는 適播에서 나머지 1 set는 晩播에서 連績的으로 栽培하면서 作物試驗場 實行의 **選拔을 通해 優秀系統(또는 個體)을 一定 比率로 選拔하면서 每 世代마다 適·晩播間 遺傳母數 및 統計量을 調査 前報에서 이를 報告하였으며, 本 報에서는 選拔된 統系(F₄또는 F_5)에 對하여 平行交又檢定(適播에서 選拔된 通을 適播와 晩播에서 檢定하고 같은 方法으로 晩播에서 選拔한 系統을 適播와 晩播에서 檢定하는 方法)을 實施하여 適·晩播型 品種選拔에 대한 適·晩播環境의 效率을 본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₄ 平行交又檢定 結果 FF(適播選拔 適播檢定) 系統이 가장 높은, FL(適播選拔 晩播檢定)과 LF(晩播選拔 適播檢定) 系統은 中程度의. LL(晩播選拔 晩播檢定) 系統은 가장 낮은 遺傳力이 推定되었다. 2. 大部分의 境遇 遺傳相關은 LL 系統보다 FF 系統에서 높았고 期待選拔 相關反應値도 FF 系統을 晩播에서 栽培하는 것이 LL 系統을 適播에서 栽培하는 것보다 높았다. 그러나 F₄에서 推定한 期待選拔 反應値와 F_5에서의 實測反應値는 거의 大部分의 形質에서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 形質의 年次間 큰 變異 때문으로 생각되어 진다. 3. 選拔과 檢定環境이 相異한 系統間에는 大部分의 境遇 높은 相互作用의 效果가 認定되어 適·晩播의 相異한 選拔環境에서 選拔된 系統들의 選拔對象形質들은 適·晩播에서의 反應이 相異하였다. 4. 適·晩播 選拔系統의 日長反應檢定 結果 開花日數는 有·無限 伸育型間 交配된 SS 80010 組合이 16時間의 長日에서 有意的으로 긴 것을 除外하고는 같았다. 그러나 短日에 의한 個花 日數의 短縮率은 3組合 共히 適播選拔 系統이 晩播選拔 系統보다 커 *地域 適應性 이라는 側面에서는 不利한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5. 平行交次檢定을 통해 收量을 中心으로 適·晩播型 등 品種育成의 效率을 본 바, 收量이 높으면서 適·晩播間에 共히 높은 適應性을 보인 系統의 比率은 有·無限 伸育型間에 交配된 組合에서는 비슷하였으나 有限型間 交配된 組合에서는 適播選拔 系統에서 높았다. 또한 適·晩播에 共히 適應性이 낮은 系統의 比率은 晩播選拔 系統에서 높았으며, 晩播適應性이 높은 系統의 比率은 適·晩播 系統間에 비슷하였다. 따라서 選拔**를 適·晩播中 하나로 하여야 할 境遇에는 晩播보다 適播에서의 選拔效率이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완두(Pisum sativum L.) 葉肉細胞 原形質體의 分雜 및 融合

        權一瓚,金仁燮,金達雄 慶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88 慶北大農學誌 Vol.6 No.-

        완두葉肉細胞의 原形質體分離 및 融合에 있어서 酵素의 處理時間, CaCl₂·2H₂O의 效果, 酸素의 濃度와 葉의 位置에 따른 原形質體의 分離에 미치는 影響과 Mole 濃度에 따른 遠心分離效果, PEG溶液의 處理時間, 酸度에 따른 融合效果 그리고 dimethyl sulfoxide 添加效果를 究明하기 위하여 實施한 實驗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原形質體의 分離에는 4時間의 酸素處理가 가장 良好했고 CaCl₂·2H₂O의 添加에 따라 原形質體의 分離速度가 늦어졌으며 活性度는 4時間까지 變動이 없었고 CaCl₂·2H₂O에 의해서 滑性度가 長期間 維持되었다. 2. 酸素의 濃度는 1%이상의 處理에서 거의 同一한 原形質體分離率을 나타냈으며 上位 1∼2葉이 가장 좋은 原形質體分離率을 보였으며 遠心分離效果는 0.4M, 0.5M에서 良好하였다. 3. 原形質體融合은 PEG 6000溶液 75分 處理에서 좋은 融合率을 보였다. 그러나 30分 以上의 處理가 活性度에 影響을 미치지 않았으며 pH 5.8인 PEG 6000의 0.2M溶液에서 가장 높은 62.84%의 融合率을 나타내었다. dimethyl sulfoxide에 의한 效果는 融合率이 3∼7% 減少하지만 binucleate의 誘道에 有效한 것으로 推定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nzyme treatment time, calcium ion effect, enzyme concentration and leaf position for protoplast isolation. It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 the adequate molarity on protoplasts, and to investigate the incubation time, pH, PEG concentration and DMSO effect for protoplast fus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optimal time of incubation in enzyme solution was 4 hours. And the protoplast releasing time was delayed by CaCl₂·2H₂O addition to the enzyme solution compared with no added one. The viability had kept up to above 95% until the 4 hours after digestion. The high viability of the protoplast was preserved more than 16 hours by adding CaCl₂·2H₂O to digestion solution. The enzyme concentration had no effect on protoplast yield in range from 1% to 5% and the first or second leaf from the top of the plant produced the highest protoplast yield among the leaf position tested. The purity of healthy protoplast was better in 0.4M and 0.5M sucrose than in others, and the percentage of protoplast aggregation was more 20% to 50% in PEG 6,000 compared with 4,000 and PEG 1,500. Even though the percentage of protoplast aggregation was less increased by 3% to 7% than without DMSO, its treatment was effective to induce binucleated protoplasts.

      • 회분과와 두과 작물의 형질전환 방법 체계화에 대한 연구

        김달웅,황영현,박덕훈,현미아,이상엽 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2 遺傳工學硏究所報 Vol.7 No.1

        DNA uptake in dry seeds of gramineous and leguminous plants by imbibition in DNA solution was detected by monitoring the stable expression of β-glucuronidase(GUS) gene. Gene expression vector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β-glucuronidase reporter gene and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 II) selectable marker gene. Putative transformed plants were analyzed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Southern blot results confirmed that the two reporter genes are stably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

      • Ti-플라스미드 유전자 운반체에 의한 대두 형질전화 식물체에 있어서 β-Glucuronidase 유전자의 유전양상

        김달웅,조은기,서득룡,오웬스, L . D . 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5 遺傳工學硏究所報 Vol.10 No.1

        To introduce β-glucuronidase (GUS) gene of Escherichia coli into plant cells using an Agrobacterium/binary vector system, we cocultivated shoot apices of soybean with Agrobacterium. After 3 weeks of culture on a culture medium containing 100 ㎎/L kanamycin, kanamycin resistant apices were selected. High GUS activities were detected in transformed explants by spectrophotometric assay. A tumefaciens ET₂[pGT100/EHA101] strai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strains for GUS expression from kanamycin resistant shoots. GUS was expressed in 43% of the cultured explants. It took only 6 weeks to regenerate the rooted plants. When transformants were self-pollinated, GUS gene was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Segregation ratio for GUS in T₂ suggests the insertion of a single copy of GUS.

      • 잔디용 김의털의 후대검정(後代檢定)에 의한 포복습성(匍匐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3 : Top교잡(交雜)에 의한 후대검정(後代檢定)

        김달웅,김인섭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7 慶北大農學誌 Vol.5 No.-

        본(本) 연구(硏究)는 Top교잡(交雜)에 의한 김의털의 포복습성(匍匐習性)을 관찰(觀察)하고,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에 의한 Top교잡(交雜)의 후대검정(後代檢定)을 통(通)하여 주요(主要) 특성(特性)들간의 관계(關係)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의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들의 주복(株輻)이 가장 넓었으며, 다른 군(群)들과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가장 주복(株輻)이 좁은 군(群)은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었다. 초장(草長)과 종자수량(種子收量)은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과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더 길고 많았다. 그리고,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 가장 짧고 적었다. 방임수분(放任受粉)과 같이 초장(草長)과 주복(株輻), 초장(草長)과 수량(收量), 주복(株輻)과 수량간(收量間)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주복(株輻), 초장(草長), 종자수량(種子收量)(수량(收量))에 있어서,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과 비포복형간(非匍匐型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그러므로 검정친(檢定親)으로는 포복형(匍匐型)보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reeping habit in top-cross progen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 the top-cross progeny testing based on the The The conclusions of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reeping type crossed with the non-creeping tester was the greatest in width and seed yield. For all three characters, the creeping type crossed with the non-creeping tester and the non-creeping type crossed with the creeping tester were greater than any other combination. The top-cross method was desirable for the study of general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The sensitivity of the tester to differentiate the creeping and non-creeping types was better when a non-creeping tester was used.

      • 禾本科 飼料作物 톨폐스큐의 赤銹病 抵抗性에 對한 遺傳的 差異

        金達雄 慶北大學校 새마을硏究所 1978 農村과 科學 Vol.1 No.-

        톨폐스큐는 禾本科 飼料作物로써 適應性이 높은 北方型牧草이며 細胞學的으로 異形態的이며 夏枯에 잘견디는 作物로써 世界的으로 널리 栽培되어질뿐아니라 韓國에도 많이普給하고 있는實情이다. 톨폐스큐를 韓國에서 栽培함에 있어서 赤銹病의 發生이 甚하여 品質과 收量이 낮아지므로 本作物의 品種改良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것이다. 冬期生育型 合成品種들과 多系交配后代들의 耐病性에 關한 遺傳的 差異를 空明하였던바 'Alta'품종을 위시한 몇개의 因子型의 赤銹病에 對한 抵抗性이 認定되었으며 韓國에 適合한 톨폐스큐 品種育成에 必要한 資料로서 有用할 것이다. Tall fescue is a well adapted heteromorphic forage grass with heat tolerance and adaptible to various soil types and cultivated throughout the temperate regions of the world. However, the leaf rust disease in this grass is outspreaded in Korea which impacts the quality and yield on the grassland production. Through the visual rating of the resistance to the disease there were genetic differences among varieties and genotypes of the polycross progenies. The identified variety and genotypes might be useful as gene sour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stant variety.

      • 茄子料의 葉肉組織 原形質體의 分離 및 融合

        權五星,金達雄 慶北大學校 1985 農業科學技術硏究所報 Vol.2 No.-

        감자의 葉肉組織으로부터의 原形質體 分離에 있어서 最適生育環境, 適正酵素 濃度, 適正酵素 處理時間 및 純粹分離를 爲한 適正 sucrose의 濃度를 밝히고 감자 및 petunia의 細胞融合에 있어서 PEG의 分子量, 濃度 및 處理時間 그리고 DMSO의 添加 效果를 밝히기 爲해 遂行되었다. 原形質體 分離에 있어서 生育環境은 高濕度, 낮은 照度에서 生育된 葉肉組織이 有利하였으며 pectolyase Y-23 酵素가 品內培養된 葉에서 原形質體 分離時 좋은 效果를 나타내었다. Cellulase의 濃度는 2%(W/V)가 좋았으며 酵素處理 時間은 3∼4時間이 좋았고 原形質體의 純粹分離는 감자의 境過 0.4∼0.5 M sucrose가 效果가 좋다. 原形質體의 融合 時 處理時間은 공히 30 分이 適當했으며 PEG의 分子量, 濃度가 높을수록 融合率이 높았다. 감자의 두 品種間 融合이나 감자와 petunia의 融合에 있어서도 역시 PEG의 分子量, 濃度가 높을수록 높았다. Dimethyl sulfoxide의 添加 效果는 DMSO를 5%에서 10%添加 時, 감자와 petunia의 融合에서 2∼4% 融合率이 增加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nzyme treatment time, enzyme concentration and plant growth condition for isolation of potato mesopyll, it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the adquate sucrose molarity on purification of protoplasts and to investigate the incubation time, PEG conentration and DMSO effect for potato-petunia protoplast fus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optimal time of incubation in enzyme solution was 3-4 hours and high humidity and low light intensity made plants more effective to protoplast releasing enzym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ctolyase Y-23 was an ideal agent for isolation from mesophyll cultured in vitro compared with macerozyme. The enzyme solution with 0.5% macerozyme and 2% cellulase was very effective and the purity of healthy protoplast was better in 0.4 and 0.5 M sucrose than in others. It was revealed that the rate of potato-petunia fusion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with PEG was effective at 30 min incubation and percentage of protoplast aggregation was increased by high molecular weigh and concentration of PEG. Percentage of potato-petunia protoplast heteroplasmic aggregation was increased by 4 to 16% in PEG 6000 compared with PEG 4000 and PEG 1500. Addition of 5 to 10% DMSO to the PEG solution increased to the heteroplasmic aggregation of potato-petunia from 2 to 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