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고등학교 『중국어Ⅰ』 네 영역의 편제 순서와 그에 따른 내용의 적합성 고찰

        김미순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3

        《中國語Ⅰ》是高中漢語課“中國語Ⅰ”的敎科書,屬於綜合課敎材。五家出版社於2014年各自出版了《中國語Ⅰ》。五種版本的《中國語Ⅰ》,其編寫體例相同:每個單元都以聽、說、讀、寫四個領域來構成。但其四個領域的編排次序却幷不壹致。本文以五種《中國語Ⅰ》爲硏究對象,根據綜合課的特徵,探討五種敎科書的編排次序以及編寫內容,進而考察了其針對性。《中國語Ⅰ》應針對和體現綜合課的性質和特點。綜合課的敎學特徵爲:學生通過“讀”獲得語言材料,在“聽說”過程中進行表達練習,通過“寫”鞏固,深化所獲得的知識和技能(趙金銘,2006)。五種《中國語Ⅰ》,其四個領域的編排次序不同,編寫內容應該隨之有所改變。若敎科書在編排上采取“聽>讀"或“說>讀”,學習者未能通過“讀”學習該單元的相關語言知識。因此“聽”或“說”的內容只能包括導入階段的聽說活動。相反,采取“讀>聽"或“讀>說”的編排,學習者通過“讀”領域,已獲得相關語言知識。因此“聽”或“說”的內容應該包括多洋化的聽說活動,以便提高學習者的構通能力。但本文通過比較分析,却發現五種版本的《中國語Ⅰ》,卽使四個領域的編排次序不盡相同,敎學活動却相同。令外,卽使其敎學活動隨之有所改變,還是缺乏多洋性。由此可知,盡管五家出版社通過修訂,各自出版了《中國語Ⅰ》,還是缺乏針對性。敎材編寫直接影響到敎學效果的好壞。因此高中敎科書《中國語Ⅰ》應多針對、多體現綜合課的屬性,提高其針對性。

      • KCI등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중목욕탕의 수질 중 미생물 오염도 조사 연구

        김미순,이영민,김성근,서지현,지경희,오지윤,고기동,고광표,Kim, Mi-Soon,Lee, Young-Min,Kim, Seong-Keun,Seo, Ji-Hyun,Ji, Kyung-Hee,Oh, Ji-Yoon,Ko, Ki-Dong,Ko, Gwang-Pyo 한국환경보건학회 200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5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crobial sanitary condition of public baths in Seoul, Korea. A total of 28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4 different public baths and sudatoriums. The prevalence of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such a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was characterized. In addition, bacteria in water was membrane filtered by 0.45um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filter was analyzed by both cultivation and PCR amplification of partial 16S rRNA gene. The levels of chlorine were measured for each of water samples. More than 40% of 14 collected water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oliform bacteria exceeded the water quality for bath water guid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lorine residue and the presence of total coliform. Va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from cultivation and subsequent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Our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hygiene practice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for reducing health risk associated with public bathhouses.

      • KCI등재

        아동 중국어 교육의 역할과 목적에 관한 논의-학령전기 아동을 중심으로

        김미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2

        본고는 아동 중국어 교육의 역할과 목적을 되짚어봄으로써 교육의 지향점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특히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학령전기 아동 중국어 교육’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모국어도 완벽히 습득하지 못한 3-5세 유아에게 중국어 교육이 필요한가? 중국어 교육의 역할과 목적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그 대답은 달라질 수 있다. 3-11세는 발달이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아동 중국어 교육의 역할은 중국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고 목적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동 발달을 도모하는 데 두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교육부에서 고시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입각하여 학령전기 아동 중국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아동 놀이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중국어 교육을 실시한다면 아동 발달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것이다. The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ducational goal by retracing the role and the purpose of childhood Chines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Chinese education for preschool age’ for children aged 3-5. Is it necessary to teach Chinese for children aged 3-5 who have not yet mastered their native language? The answer may vary depending on where the role and purpose of Chinese education are. 3-11 years old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development. Therefore, the role of childhood Chinese educa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hinese, and the purpose must be to promote child development through these experiences. Thus, this study sets the goal and purpose of Chinese education for preschool age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uggests several implementation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Chinese education for preschool age is ‘Chinese education for child development’. If Chinese education lay the foundation on ‘Play-based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urriculum, child development will be accomplished with ease.

      • KCI등재

        중국어 어기조사 ‘嘛’의 통사적 분포와 화용적 기능 고찰

        김미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The role of modal particles is very important in discourses where information exchanges take places with emotional exchanges. It is because the modal particles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and feelings toward the proposition. However, in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he importance of the modal particles is not much spotlighted. Especially, the modal particle ‘嘛(-ma)’ is less focused compared to the other modal particles like ‘嗎(-ma)’, ‘吧(-ba)’, ‘呢(-ne)’, and ‘啊(-a)’. In Chinese textbooks or grammar books, there is no mention or considerably small amount of mention of ‘嘛’. Although there is a definition of ‘嘛’ with detailed explanations in Chinese dictionaries, it is still not enough to explain the modal particle of 嘛’s various func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duct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hese teaching materials. ‘嘛’ has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syntactic distribution. The existing prior studies on this subject matter have both agreement and disagreement of the result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 research, discussed about right or wrong and tried to analyze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嘛’ and its pragmatic featur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嘛’. 정보의 교류와 더불어 감정의 교류도 진행되는 담화에서 어기조사(modal particle)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어기조사는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나감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어 교수․학습에서는 어기조사가그리 중요시되고 있지 않다. 특히 ‘嘛(-ma)’는 ‘嗎(-ma)’, ‘吧(-ba)’, ‘呢 (-ne)’, ‘啊(-a)‘ 등의 다른 어기조사에 비해 더더욱 그러하다. 중국어교재나 문법서에서는 ‘嘛’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거나 상당히 적다. 중국어사전에서는 '嘛'에 관한 설명이 비교적 상세하지만 '嘛'의 다양한기능을 설명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함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교수매체를활용하여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嘛'는 통사적 분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학자들이 ' 嘛'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연구 결과의 접점과 이견이 공존한다. 이에 본고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그 시시비비를 가려 '嘛'의 통사적 분포와 그에 따른 화용론적 특징을 전면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가 ‘嘛’의 교수·학습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거란어의 중국어 차용 현상에 관한 소고 ― 거란소자를 중심으로

        김미순,주수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3 No.-

        본고는 거란소자에 관한 연구를 통해 거란어의 중국어 차용 현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거란어와 거란문자에 대해 알아보고, 거란소자의 중국어 차용 현상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거란소자의 중국어 차용 현상은 중국 한자의 독음 차용과 독음 및 의미 차용으로 나눌 수 있다. 단일 원자의 거란소자는 중국어의 성모와 운모의 단위로 한자의 독음을 차용하였고, 다중 원자의 거란소자는 한자의 음절 단위로 한자의 독음을 차용하였다. 그리고 거란소자는 단순히 중국 한자의 음가만을 차용한 것이 아니라 중국어의 음절 체계를 차용한 것을 알 수 있다. 거란소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보면 중국어 단어의 독음과 의미를 그대로 차용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 경우 중국어 ‘牌子’의 독음은 차용하였으나 의미는 다르다. ‘牌子’는 현대 중국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牌子’를 일례로 들어 ‘고대중국어-거란어-현대몽골어’의 연원 관계에 대해 간략히 논하였다. 거란소자에 관한 연구는 공시적으로는 중국과 거란 간의 언어·문화적 교류 관계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며 통시적으로는 ‘고대 중국어-거란어-현대중국어’, ‘고대 중국어-거란어-현대몽골어’ 간의 연원 관계를 밝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란소자가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여러 국가 간의 공시적, 통시적 언어·문화적 교류 관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