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장례문화사

        김춘식(Kim, Chun-Shik) 한국독일사학회 2017 독일연구 Vol.- No.36

        본 논문은 독일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장례문화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독일의 장례문화에 대한 현재적인 전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죽음에 대한 연구는 우선 종교와 철학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미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부터 ‘죽음’은 철학적 사고와 종교적 고찰의 기초위에 성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윤리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최근 특히 유럽지역에서는 ‘죽음의 질’(Quality of Death)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며, 이는 곧 죽음 이후 에 생기는 각종 의식행위인 상례(喪禮)와 제례(祭禮), 특히 장례(葬禮, Bestattung)의 변화양상에 대한 문화적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다. 독일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그 시대의 환경과 의식(意識)에 따라 변화 했다. 유목민이었던 게르만족들은 사후세계(死後世界)를 믿었기에 내세관에 따라 죽음을 경건하게 수용했다. 중세 시기부터 종교개혁 시기까지 독일지역에서는 기독교적인 죽음에 대한 관점을 수용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신인문주의 물결 앞에서 기독교적 해석은 더 이상 절대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지속되었던 수많은 전쟁 희생자들을 목격하면서 독일 민족은 ‘죽음’에 대한 독특한 사유지평을 확대해 나갔다. 독일의 장례문화도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양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첫째로 고대 게르만사회에서는 장례는 화려하지 않았지만 화장과 토장이 동시에 행해졌다. 둘째로, 초대 교회에서의 장례는 육신의 부활과 구원의 영광을 포함하는 의미였다. 셋째로, 중세에 기독교의 장례문화는 남겨진 사람들이 죽은 사람에게 보내는 예의와 정성을 하나의 의식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넷째로, 근현대시기에 고대의 관습인 화장(火葬)은 이교도적인 것으로 금기시되었으며, 계몽주의시기에 들어와 다시 고대의 관습인 화장이 등장했다. 아울러 16세기에 창궐한 흑사병은 독일의 묘지문화를 바꾸어 놓았으며, 이후 계몽주의시기에 들어와서 묘지와 묘비의 재정비가 진행되었다. 다섯째로, 19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에서는 가족묘에 대한 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19세기 말 근대 산업시대에는 기술문명의 진보로 화장이 다시 시작되었다. 여섯째로, 20세기 에 들어와서는 공원묘지가 독일에 정착했다. 독일민족은 기독교적 전통에 따른 장례문화를 강하게 지속해 왔다. 하지만 지난 2000년대에 들어와 보수적인 독일의 장례문화는 급격한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독일인들은 매장보다 친환경적인 수목장과 같은 장묘를 더욱 선호하고 있다. 독일 정부 또한 죽음의 의미를 보다 가치 있는 삶으로 환원할 수 있는 ‘죽음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또한 친환경적인 장례문화의 형성을 위 해 홍보 및 제도개선 노력을 함께 기울이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historically tracing the changes of death awareness and funeral culture of the Germans and to draw the current outlook for German funeral culture. The study of death began in the field of religion and philosophy. From the ancient Greek world, Death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on the bases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religious contemplation. Despite ethical issues, there are lively discussions about Quality of Death especially in Europe. This situation is triggering cultural awareness of various ritual acts after death such as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especially the change patterns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Bestattung). The perception of German deat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the period. The German as nomads believed in the afterlife and accepted the death rev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afterlife view. From the Middle Ages to the Reformation Period, the Germans embraced the view of Christian death. However, in front of the tide of Neo-Humanism, the Christian interpretation was no longer able to maintain absolute values. With witness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asualties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German race has expanded its unique private horizon for ‘death’. Germany s funeral culture also reflects the changing perceptions of mortality. Firstly, in ancient German societies, funeral rites were not splendid, but cremation and burial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Secondly, the funeral of the early church was meant to include the glory of the body which takes part in the restoration and salvation of the flesh. Thirdly, the funeral culture of Christianity in medieval times was expressed as a ritual expression of decency and devotion of the rest of the people to the dead people. Fourthly, during the Modern Times, the ancient practice of cremation was heretical and taboo. And, from the Enlightenment Times, the cremation of the ancient custom appeared again. In addition, the Pest rampant in the 16th century changed the German cemetery culture. Later in the Times of Enlightenment, reconstruction of tombs and forebears was carried out. Fifthly, in the 19th century, in Germany, a sense of family consciousness was created.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Modern Industrial Era, cremation began again with technological advances. Sixthly, in the 20th century, the cemetery was settled in Germany. The German race has maintained a strong tradition of burial by Christian tradition. However, in the late 2000s, since conservative German burial rituals showed a dramatic change, the Germans prefer the natural burial, which are eco-friendlier than the burial. Also, the German government increases the education of death, which can revert the meaning of death to a worthier life. And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promotion and improvement efforts to create eco-friendly burial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 한국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춘식 ( Chun-shik Kim )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4

        4차 산업혁명시대에 들어서 교육 분야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무엇보다도 평생직업교육체제로의 전환일 것이다. 지난 2015년부터 한국에서는 기존 보건과 건강, 그리고 여가와 복지를 위주로 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직업교육과 연계’된 평생직업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제 직업교육이 중등단계를 넘어 고등교육 단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직업재교육을 포함한 평생교육과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독일의 직업교육은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직업교육 모델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기업주도의 직업학교(Berufsschule)의 커리큘럼 형성이나, 대학 주도의 이원화 고등직업교육의 학사과정(Duales Studium)에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산학일체형 직업교육 및 고등직업교육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독일의 직업교육의 장점은 다음 여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의 고등단계 직업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선 독일의 직업교육제도에는 주로 산업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직업인 양성에 대한 사회적 기여정신이 강하다. 이러한 산업체의 기여정신의 기저에는 독일 국민들의 직업인식이 작동하고 있다. 나아가 독일은 조기에 진로 및 경력개발경로(career path)를 설정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에 설정된 경력개발경로를 수정할 수 있는 유연한 교육시스템도 잘 갖추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독일은 정부의 산학협력 관련 재정지원사업의 세부 프로그램 수행을 넘어 좀 더 과감하게 대학을 지역의 직업교육이나 평생교육에 개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일은 연방직업연구원(BIBB) 중심의 제도화된 직업훈련연구기관이 사회수요를 반영한 직업인력 양성에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슈타인바이스대학의 사례처럼 독일은 일반 대학에서도 이론과 실무가 체계적으로 융합된 고등직업교육을 통해 산업현장의 요구를 수용한 인력 양성에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한국의 직업교육구조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most remarkable change in education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be the transition to a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ince 2015, Korea has been trying to move from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health, leisure and welfare to a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linked to vocational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now extends beyond secondary education to higher education and strengthening links with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re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in Germany has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vocational training models in the worl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mpany carries out vocational and tertiary vocational education in academia and academia, such as the formation of a curriculum of the company-led Berufsschul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mpanies in the university-led duales studium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The advantages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rman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ix ways, particularly for higher-level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 German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s mainly managed by industry, and makes a strong social contribution to vocational training.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he German people is the basis of the contribution spirit of these industries. In addition, Germany has a support system for the early determination of career and career paths as well as a flexible education system that can change existing career development paths. Above al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tion to implementing detailed programs of government-funded funding projects, Germany is more aggressive in opening universities to local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Germany specifically promotes workforce that meets the social requirements of the institutionalize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with a focus on the Federal Vocational Research Institute(BIBB). In the case of Steinbeis-Hochschule Berlin (SHB) and Duale Hochschule Baden-Württemberg (DHBW), Germany systematically brings theory and practice together at general universities. This suggests a great deal about Korea's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at it has been successful in cultivating manpower that meets the demands of industrial sites.

      • KCI등재후보

        순시신호 대 잡음비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응 잡음 제거기의 DSP 구현

        이재균,류부식,김춘식,이채욱,Lee, Jae-Kyun,Ryu, Boo-Shik,Kim, Chun-Sik,Lee, Chae-Wook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9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0 No.3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은 식이 간단하고 계산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MS 알고리즘은 수렴속도를 높이게 되면 주위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발산하게 되고, 안정성을 높이게 되면 수렴속도가 떨어지는 수렴속도와 안정성 사이에 trade-off가 발생한다. 이러한 LMS 알고리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VSSLMS(Variable Step Size LMS)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VSSLMS 알고리즘은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스텝사이즈를 조절하여 수렴속도와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환경에서 적응잡음 제거기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I-VSSLMS(Instantaneous Signal to Noise Radio VSSLMS)을 제안한다. 제안한 I-VSSLMS을 TMS320C6713 DSP 보드를 이용하여 적응 잡음 제거기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LMS(Least Mean Square) algorithm requires simple equation and is used widely because of the low complexity. If the convergence speed increase, LMS algorithm has a divergence in case of sharp environment changes. And if a stability increase, the convergence speed becomes slow. This algorithm based on a trade off between fast convergence and system stability. To improve this problem, VSSLMS (Variable Step Size LMS) algorithm was developed. The VSSLMS algorithm improved the convergence speed and performance as adjusting step size using error signal. In this paper, I-VSSLMS algorithm is proposed tor improve the performance of adaptive noise canceller in real-time environments.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adaptive noise canceller using TMS320C6713 DSP board and we did simulation by real time. Then we compared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and demonstrated that proposed algorithm has superior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