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Redundant Signed Binary Number에 의한 CORDIC 회로

        김승열,김용대,한선경,유영갑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0 No.6

        Global carry propagation이 없는 redundant signed number에 의한 CORDIC 회로를 제안하였다. 이 number format은 Booth recording과 유사한 새로운 receding scheme을 가지고 가감산에서 carry 전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여기서는 상수 scale factor를 갖고 삼각함수 계산을 하는 pipeline구조를 채택하였다. 이 CORDIC 회로의 동작시간은 채택한 operand bit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A novel CORDIC circuit is presented based on a redundant number system eliminating global carry Propagation. The number format employs a new recoding scheme similar to the Booth receding resolving carry problems in addition. A pipelined architecture is introduced having a constant scale factor in its comput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The operational time of the circuit is constant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operand digits.

      • KCI등재

        Go/Nogo 과제수행에 따른 상위중추신경과 척추운동신경의 변화가 운동실행과 제어에 미치는 영향

        김승열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1

        승열. Go/Nogo 과제수행에 따른 상위중추신경과 척추운동신경의변화가 운동실행과 제어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3권 제1호, 13-22, 2014. 본 연구는 Go/Nogo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위중추 레벨과 척추운동신경레벨의 변화가 운동의 실행과 제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전기 생리학적 지표인 ERPs(event-related potentials)의 P300과 H 반사를 이용해서 검토했다. 본 연구에 참가한 피험자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건강한 일반인 남성 20명(26.10±3.70세)을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상위중추 레벨에 있어서는 S2 자극제시 후 154~278 ms, 316~452 ms에 Go 시행과 Nogo시행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척추레벨에 있어서는 Go 시행에 있어서 H 반사의 진폭은 S2 제시 후 약 150 ms부터 증가하고, Nogo 시행에 있어서 진폭은 S2 자극 제시 후 일관해서 시계열적인 변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S2 자극 제시 후 약 150 ms에 상위중추 레벨, 척추레벨에 Go 시행과 Nogo 시행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Go시행과 Nogo시행에 관한 의지결은 N200성분 이전에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Kim, Seung-Yeol. The Effects of Changes of Upper Central Nerve and Spinal Motor Nerve by Go/Nogo Task on Exercise Performance and Motor Control. Exercise Science, 23 (1): 1 3 -22. 2 014. T he p urpose of the study was to e xamine t he e ffects of changes of u pper central nerve and spinal motor nerve by Go/Nogo task on the exercise performance and motor contro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 healthy undergraduates(26.10±3.70 yrs)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regular exercises. Changes in event-related potentials(ERPs) and H reflex were recorded in a process of a Go/Nogo task, where a time-series analysis was made, and motor performance and control were reviewed at the levels of the upper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spinal colum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S2 stimulus to the upper central nervous system, Go/Nogo showed differences between 154 ms and 278 ms and between 316 ms and 452 ms. Second, after S2 stimulus to the spinal column, H-reflex amplitude increased from 150 ms with respect to Go task. With respect to Nogo task, however, time-series changes were not observed.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 difference occurred between Go/Nogo about 150 ms after S2 stimuli were given to the upper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spinal column, which implies that a Go/Nogo decision is made at least before the N2 component.

      • KCI등재후보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이 고령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승열 한국스포츠학회 2015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3 No.2

        This study, using P300 component that objectively evaluates the cognitive function among event- related potentials, i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medium-intensity complex exercis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elderly's brain. As a result of information process by using SPSS 18.0 and applying a 2-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First, EMG-RT indicated a significant delay in exercise group comparing to non-exercise group. Second, P300 latency stage indicated a significant delay in non-exercise group comparing to exercise group and amplitude of P300 was significantly increased. Given P300 latency stage shows that the time variance in stimulus evaluation for information process is reflected in the brain as well as active mass and resource are indicated by amplitude , a complex exercise training performed in this study is believed to have made commitment to improving elderly's brain funct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효과적인 인지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RP(Event-Related Potentials; ERPs)활용

        김승열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tasks for brain activation during music rhythm and exercise in MCI cognitiv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eight female elderly people. The exercise intervention period is 12 weeks, and then the effective brain cogni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 is presented by using P300 index and HDS-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300 was determined as the maximum positive component EEG in the recording area above the midline of the head about 300 to 450ms after presentation of the stimulus shown in both Experiments 1 and 2. The latent phase of P300 showed an extension from the parietal region to the frontal region. The amplitud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the frontal region to the parietal region. The latent phase of P300 in Experiment 1 was significantly shortened than in Experiment 2. The reaction time of Experiment 1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Experiment 2 under the auditory stimulus condition. 본 연구는 MCI 인지 노인의 음악 리듬과 운동 중 뇌 활성화를 위한 인지과제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참가자는 총 8명의 여성 노인이며, 운동개입 기간은 12주간 수행 하였다. 측정은 ERP성분 중 P300지표와 HDS-R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300은 실험1과 실험2에서 자극제시 후 약 300~450ms의 머리 중간선 위의 기록 영역에서 최대 양성 성분을 EEG로 결정하였다. P300의 잠복기는 두정맥 영역에서 전두부 영역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진폭은 전두부 영역에서 두정부 영역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실험1에서 P300의 잠복기는 실험2 보다 크게 단축되었다. 청각 자극 조건에서 실험 1의 반응 시간은 실험 2의 반응 시간보다 현저히 짧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