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蘇東坡的<和歸去來辭>硏究

        김주순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5 No.-

        1. 陶淵明의 <歸去來辭>는 不正과 腐敗, 爭鬪와 非理로 얼룩진 晉․宋年間에 그 자신의 田園에 대한 憧憬과 자기 본연의 모습을 실현에 옮긴 작품으로써 漢代에 성행했던 賦라는 형식의 작품이다. 漢代의 賦는 대체로 호화롭고 거창한 사물들을 아름다운 형식으로 멋지게 표현하는 데에만 힘써서, 결국 생명이 없는 貴族文學으로 변한 느낌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漢代의 賦와는 달리 언어가 平易하고, 꾸밈이나 다듬은 바가 없으며, 가슴속의 奧妙한 意趣를 읊었기에 누구나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인간의 ‘참성정’ ‘참생명’을 반영한 작품이다. 2. 蘇東坡의 <和歸去來辭>는 그가 海南에서 貶謫생활을 할 때 지은 작품으로 形式上으로는 陶淵明 <歸去來辭>의 題目과 韻字를 빌린 것으로 나타났지만, 實際上에서는 陶淵明의 <歸去來辭>를 體得한 후, 그가 전원으로 貶謫된 상황에서 哲理的인 인생관을 읊은 敍事이며, <歸去來辭>를 追和하면서 주관적인 감상과 豪放한 詩心을 읊은 抒情이다. 그 내용은 전원생활의 平淡한 自然情趣를 표현했던 <歸去來辭>와 달리 安分隨命하려는 자신의 심경을 묘사하였다. 3. 兩人의 작품에 나타난 제 1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전원으로 돌아가는데, 平易한 언어의 표현으로 내용이 순탄하게 전개되어 쾌활한 느낌을 주며, 그의 은퇴는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타나 벼슬하고, 도가 없으면 숨는다.(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라는 儒家的 隱遁의 方式을 취하였으나, 소동파는 昌化에 貶謫되어 자신의 身世에 대한 서글픔을 읊으면서 《莊子》에 나오는 “無何有之鄕”을 憧憬하였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微”字韻으로 押韻하였다. 4. 兩人의 제2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은 그가 自意에 의해 전원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자상하고 순서 있게 표현하여서 독자로 하여금 그와 더불어 전원으로 인도되어 自然과 더불어 영원한 삶을 누리고 싶은 심정을 느끼게 한다. 소동파 역시 연명과 같은 詩脈을 가지고 田園歸居의 모습을 표현하여서 詩想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寒”字韻으로 일치한다. 5. 兩人의 제3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은 속된 세상의 사귐을 떠나 전원에 돌아와 安着하여 樂琴書와 농사일을 하면서 산수자연의 즐거움을 찾고자 하는 심정을 儒家的인 생활방식으로 읊어 詩語의 흐름이 생동감이 있고 희망참을 느끼게 하고, 소동파는 佛經과 莊子의 사상에 가까운 내용으로 ‘無何有之鄕’에 안주하고자 함을 읊어 시어의 흐름이 엄숙하고 오묘함을 느끼게 한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尤”字韻으로 押韻하였다. 6. 제4문단은 兩 작품의 결론에 해당하는 문단으로 도연명은 人間事를 自然의 推移에 따라 맡기고 安貧樂道하며 達觀된 태도로 天命을 기다린다고 읊었고, 소동파는 永生不滅이나 神仙思想에는 懷疑를 느끼기에 도연명을 스승 삼아 그의 後身이 되고자 한다고 읊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支”字韻으로 押韻하였다. 이상으로 소동파의 <和歸去來辭>를 分析․比較한 결과 그의 <和歸去來辭>는 莊子의 ‘無何有之鄕’에 안주하여 桃源에 대한 憧憬은 있으나, 陶淵明의 <歸去來辭>와 비추어 볼 때 實感이 결여되어 意趣에는 미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위대한 작가의 문학작품으로서 후세의 영원한 龜鑑이 되고, 교훈의 지침서로 남아 있다는 것을 ...

      • 中國歷代陶學硏究

        金周淳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3 연구논문집 Vol.46 No.1

        陶淵明是由於魏普時代的文藝風潮影響的關係, 故死後一百多年沒能在中國文壇上揚名. 可是受到鐘?()《詩品》中的「隱逸詩人之宗也.」的評辨之後, 加上歲月的流過他的聲價更提高起來了. 唐代的偉大詩人 李白·杜甫·白居易等都學過湖明, 而且對潔明的思想和藝術作了最高的讚場, 王維·孟浩然·韋應物·柳宗元等也受到田園詩創始者淵明的影響作出許多以田園爲背景的詩. 可是他們的田園詩只是借用了淵明的田家語和田園的意境, 不像淵明一樣在田園裡?()際拿鋤頭而作出具有生動感的田園詩. 到了宋代對於淵明的硏究更加熱烈, 這時《陶淵明集》也有十七種以上, 陶淵明的詩話及筆記類巳達到七拾餘種. 宋代硏究陶淵明的代表作家主要有王安石·蘇軾戟·黃庭堅等. 硏究淵明的範圍也?()廣範, 不只是淵明的一生及思想, 而旦包括了對作品的形式和內容及中國文學的地位和對後代的影響. 到了元朝對淵明的硏究雖然只限於前面學者所提出的問題解說而巳. 可是到了淸朝對淵明的硏究更加深入, 如淵明的家世·生平作品的眞僞等, 作了多方面, 多角度的專門硏究, 雖然有許多錯誤的意見及異說, 其結果在淵明文學史觀點來看, 可說是?()寶貴而且有代價的硏究 ?(영)外海朝代 參加淵明硏究的中國作家及詩歌作品, 確認有一百十七名中 國文人及留下三百七十三篇的詩歌作品.

      • KCI등재

        梅月堂의 漢詩와 陶淵明 詩의 비교연구

        김주순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도연명과 매월당은 어려서부터 자연을 좋아하고 책읽기를 좋아했으며, 성품 면에서 자연을 좋아하고 名利를 멀리하였다. 도연명은 晉․宋年間에 君臣의 관계였던 劉裕가 군주를 시해하고 劉宋을 세우자 政治道義가 소멸된 시대에 벼슬자리에 있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마지막 벼슬인 彭澤令을 사직하고 전원으로 귀거래한 것과 매월당은 조선의 首陽大君이 癸酉靖難을 일으켜 不義한 방법으로 端宗의 왕위를 찬탈하자 정치도의가 상실된 정치풍토에서 벼슬에 뜻을 두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과거시험 준비를 하던 책을 모두 불사르고 중이 되어 방랑과 은거의 생활로 들어간 것은 兩人의 동질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매월당의 漢詩와 도연명 詩를 비교하면, 매월당은 도연명처럼, 不義와 타협하지 않으려는 불굴의 情神으로 大道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읊어 兩人은 歸去來를 통해 大道實踐의 의식을 반영하였다. 매월당이 도연명처럼 전원에 歸隱하여 몸소 논밭을 경작하고 이에서 얻은 소득으로 가쁨을 느끼며, ‘固窮節’을 실행한 것은 儒家思想에 바탕을 둔 實踐躬行이다. 매월당이 도연명의 국화사랑과 연관시켜 시를 읊은 것은 찬 서리에 굽히지 않고 꽃이 시들 때까지 은은한 향기를 풍기는 가을 국화의 節操가 隱逸者의 象徵이자 선비의 高潔한 자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도연명과 매월당은 사회와의 부조화와 인생무상에서 오는 고독감을 잊기 위해 술을 취하도록 마셨으며, 兩人이 지은 飮酒詩은 각각 千古의 興趣를 읊었다. 도연명과 매월당은 동질성이 있지만, 兩人은 서로 다른 국가에 태어나 각기 다른 시대상황의 위치에서 자기들의 삶을 살아갔기에 相異點도 발견된다. 그 예로 매월당의 행적에는 도연명과 달리 범상치 않아 奇人이거나, 義人이거나, 혹은 狂人으로 행동한 점이 있고, 도연명은 儒家 본연의 자태로 自然으로 歸依할 때까지 始終一貫된 儒家의 가르침에 따라 선비의 자태를 유지하였지만, 매월당은 어려서 儒家의 학습을 받고 성장했으나 중년에 들어서는 중이 되 어 佛家人으로 행세하였고, 말년에는 鍊丹術을 익혀 仙家에도 접근하였다. 그래서 후인들은 매월당에 대해 “행동은 儒家이고, 모습은 佛家이다.(行儒而迹佛)” “마음은 儒家이고, 모습은 佛家이다.(心儒跡佛)”라고 평하였다. 이에 매월당은 佛家에서 죽자 바로 火葬하지 않고 매장했다가 3년 후에야 다시 화장한 것은 매월당이 도연명의 儒家 방식에 따라 自然歸依한 것을 쫓고자 했던 평소 생각을 주위 사람들이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Mae Wuel Dang(Kim Si-Seub) could be compared with Tao Yuan-Ming in that Tao Yuan-Ming have a resemblance concerning love for nature, a firm attitude about injustice, counter-measure in reality implementing Tao Yuan-Ming and living an idyllic life. Mae Wuel Dang tried to assimilate into Tao Yuan-Ming’s life style by quoting Tao Yuan-Ming’s particular poem’s line and anecdote. Mae Wuel Dang tried to encourage peasants to engage in farming diligently by composing a poem after being influenced by Tao Yuan-Ming’s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And he stressed that governors must not call out peasant especially at the busy farming season by writing Love of People. Mae Wuel Dang also reflected Tao Yuan-Ming’s love for a chrysanthemum in his poem by comparing a mum which sends forth a sweet fragrance till withering with the symbol of a hermit and a noble scholar. Mae Wuel Dang’s philosophy for drinking showed similarity in that Tao Yuan-Ming tried to drink for forgetting solitude from life and disharmony with his society, while Tao Yuan-Ming tried to drink for escaping from humane conflict and worrying in his political surroundings. Although Mae Wuel Dang learned and grew up being influenced by Confucian ideas, he finally became a monk because he was so surprised and depressed about Se-Joh’s usurping the throne. Later, he was infatuated with Taoism by learning of some kind of alchemy. Therefore, Mae Wuel Dang’s literary idea is consistent with Tao Yuan-Ming’s whose idea was in harmony with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cremation after his death showed his philosophy about devotion to nature.

      • KCI등재

        <和歸去來辭>에 나타난 蘇東坡와 李㞒叟文學의 比較

        金周淳 한중인문학회 2005 한중인문학연구 Vol.14 No.-

        〈和歸去來辭〉에 나타난 蘇東坡와 李眉? 문학을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1. 陶淵明의 〈歸去來辭〉는 不正과 腐敗, 爭鬪와 非理로 얼룩진 晉·宋年間에 그 자신의 田園에 대한 憧憬과 자기 본연의 모습을 실현에 옮긴 작품으로 중국 후대 문인들은 물론 이웃인 한국과 일본에까지도 이 작품의 영향은 지대하였다. 2. 소동파는 당시 정치세력인 新法黨의 讒訴를 받아 海南 昌化軍으로 貶謫되자, 그는 여기서 幻滅의 悲哀를 느껴 道가 소멸된 亂世를 만나 致仕歸田한 陶淵明의 인품과 생활을 흠모하여 〈歸去來辭〉의 題目과 韻을 빌어 〈和歸去來辭〉를 지었고, 高麗 李眉?는 당시 武人執權期에 文人들에 대한 肅淸으로 放逐되자 소동파의 〈和歸去來辭〉를 본받아 자기의 처지와 형편을 그가 지은 〈和歸去來辭〉를 통해 읊었다. 3. 도연명은 자신의 의지에 의해 전원으로 들어가 儒家的인 방법으로 隱逸을 했지만, 소동파와 李眉?는 貶謫·放逐으로 인해 당시 사회에 유행하였던 老莊思想의 영향을 받아 은둔하였다. 4. 兩人의 작품 제1문단을 비교하면, 소동파는 昌化에 貶謫되자, 일면 憂國衷情을 생각하면서 『莊子』에 나오는 "無何有之鄕"의 憧憬을 읊었으나, 李眉?는 문인으로서 자기의 재능을 발휘할 수 없는 武人執權時期에 放逐되어 "無何有之鄕"을 동경하다가 마침내 그 곳에 안주하였음을 읊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微"字韻으로 押韻하였다. 5. 兩人의 제2문단을 비교하면, 소동파의 〈和歸去來辭〉는 도연명이 전원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자상하고 순서 있게 표현한 것처럼 읊어 독자로 하여금 그와 더불어 전원으로 인도된 느낌을 주게 한다. 그러나 李眉?의 〈和歸去來辭〉는 외부의 환경으로 인해 강요된 隱逸의 길을 걸어야 했기에 암울하고 답답한 느낌을 주며 언젠가는 다시 정치에 復歸하여 큰 정치를 해보겠다는 의지를 나타내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寒"字韻으로 일치하나, 소동파의 〈和歸去來辭〉는 韻이 10字인데 반하여 李眉?의 〈和歸去來辭〉는 "寬"字가 하나 더 첨가되어 11字가 된다. 그러나 이것도 도연명의 原韻인 "寒"韻에 해당되므로 전혀 다른 韻은 아니다. 6. 兩人의 제 3문단을 비교하면, 소동파는 "無何有之鄕"에 안주한 情懷를 읊었고, 李眉?는 老莊思想에 깊이 심취되어 이에 안주하고자 함을 읊었다. 이로 인해 소동파의 辭語 흐름은 豪放하고 曠達한 느낌을 주나, 李眉?의 辭語는 玄學과 老莊에서 언급된 오묘한 어휘를 援用하여서 深奧하면서도 難解한 느낌을 준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尤"字韻으로 押韻하였다. 7. 兩人의 제4문단을 비교하면, 소동파는 永生不滅이나 神仙思想을 부정한 도연명을 스승 삼아 自然歸依하고자 함을 읊었고, 李眉?는 道家사상에 의해 達觀된 모습으로 그의 운명을 自然에 의탁하고자 하였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支"字韻으로 押韻하였다. 이상으로 兩人의 〈和歸去來辭〉를 연구한 결과, 兩人의 작품은 모두 《莊子》의 "無何有之鄕"에 안주하여 桃源에 대한 憧憬은 엿보이나, 陶淵明의 〈歸去來辭〉와 비추어 볼 때 實感이 缺如되어 意趣에는 미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위대한 작가의 문학작품으로서 후세의 영원한 龜鑑이 되고, 교훈의 지침서임을 알 수 있다. Tao Yuan-ming's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 affected significantly his succeeding authors and neighboring writers by showing the desire for rural life and the realization of true character of self. We just divided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 into 4 chapter and analyzed and compared the each identical works between Su Dong-po' and Lee Mei-sou'.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analyzed chapter showed each author wanted to live peaceful life in 'Utopia' samely. The last dictions in poetry were also rhymed identically. The second analyzed chapter showed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wo works. Lee Mei-sou wanted to express frustrated and depressed feeling and strong desire for becoming politician again whereas Su Dong-po made readers feel peaceful and calm by describing returning scene of Tao Yuan-ming one by one orderly. The last dictions in poetry were also rhymed identically, too. The third analyzed chapter showed that Su Dong-po mainly focused on 'Utopia' while Lee Mei-sou focused on Taoism and a life of ease. The former's works made us feel open-hearted while the latter's works made us feel a little bit difficult. The last dictions in poetry were also rhymed identically, too. The fourth analyzed chapter showed that Su Dong-po recited 'returning to nature' by following Tao Yuan-ming and negating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while Lee Mei-sou recited his 'returning to nature' by following Taoism. Su Dong-po's 〈Compose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was rhymed 30 letters while Lee Mei-sou's 〈Compose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was rhymed 31 letters. It means Lee Mei-sou's had one letter more than Su Dong-po's, but it's not so big difference. Also, we could know Lee Mei-sou's 〈Compose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 was completed by making Tao Yuan-ming his model and referring Su Dong-po's work.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ere remained something lacking of two works in describing vivid feelings and reaching opened spirit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ao Yuan-ming's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 It means that Tao Yuan-ming's 〈A rhyme in the Come Away Home〉 has been admired and recited for ages to come as a great and immortal work.

      • KCI등재후보

        <歸去來辭>와 李仁老 <和歸去來辭>의 比較硏究

        김주순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2

        通過對陶淵明<歸去來辭>和李仁老<和歸去來辭>的比較分析, 可以得出如下結論. 1. 兩人都出身於先祖曾掌握過一個時代和一個國家命運的傳統的貴族家庭, 但幷無有關二者父親行蹟的記載, 兩人都死於60歲左右. 2. 兩人的文學世界都受到儒佛道三家思想的影響,陶淵明吟영的是以儒家爲根本的世界, 而李仁老表現的是濃厚的道家思想. 3. 陶淵明是中國文學史上田園詩的開創者, 又被稱頌爲"隱逸詩人之宗", 李仁老是韓國漢文學史最初的'辭'作品-<和歸去來辭>的作者, 又被稱爲 '和陶辭'的開創者. 4. 陶淵明隱居於田園後, 朝延封他官職, 招他出朝, 他沒回應, 終其一生始終與大自然爲伴; 李仁老歸去來辭後, 復還俗, 帶着要施展自己才能的强烈意志重新進入政界, 幷終其一生. 5. 陶淵明在<歸去來辭>中敍述了與自己個人問題相關的自己的意志, 而李仁老在他的<和歸去來辭>中以憂悶的心情批判了武臣執權期暗鬱而慘憺的時代背景. 6. <歸去來辭>的詩文象在敍述日常故事一樣, 用平易的語調, 把在田園生活的全過程階段性地表現出來, 而<和歸去來辭>援用《老子》和《莊子》中偏僻的典故, 用難解的詩句來表現, 所以完全조不到平易感和自然感. 7. 陶淵明的<歸去來辭>是41歲時寫的作品, 李仁老的<和歸去來辭>創作年代雖不詳, 但흔可能是寫於晩年的回憶性作品. 8. 陶淵明是困家境貧困, 爲了維持生計而出仕, 而李仁老不是爲了生計, 是爲了施展自己天才般的才能而追求出仕. 9. <和歸去來辭>是借助<歸去來辭>的次韻而創作出來的, <歸去來辭>由30韻構成, <和歸去來辭>由31韻構成, 加了一個'寬'韻. 但韻字都一樣.

      • 朝鮮歌辭中有關陶淵明之作品考

        金周淳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5 연구논문집 Vol.51 No.1

        도연명은 중국의 위대한 전원시인이자, 은일시인의 으뜸으로서 정치암흑과 청담이 성행하던 위진시대에 태어났다. 그는 산수자연에 그의 정을 의탁하여 당시에 유행하던 청담의 흐름에 빠지지 않고, 정을 좇아 방탕하지 않았으며, 홀연히 우뚝 서 말고 밝은 사상과 높은 인격, 그리고 유유자적한 생활로 '참성정'을 길렀으니, 이러한 것은 모두 그이 작품 속에 융화되어 영원한 생명문학을 창조하였다. 도연명의 작품은 현재 120여 편이 전하고 있다. 도연명이 조선가사에 끼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본인이 조사대상으로 삼은 조선 가사작품 144편중에서 직접 영향을 받는 작품은 34편이고, 도연명과 관련된 용사의 인용은 73차례나 되며, 가사 문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는 정극인, 동방의 주자라 일컫는 이황, 가사문학의 최고봉으로 일컫는 정철과 박인로 등 승려와 작가 미상인 작품에 이르기까지 조선 시가문학사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였다. 도연명의 영향을 받은 이들 가사작품 중에는 도연명의 의취와 시구를 인용하여 도연명 시를 모방한 것이 있다고 할지라도, 이것은 양자체험이 서로 일치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작가의 우수한 점을 본받아 자기의 작품을 승화시키는데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영향받은 작품이라 하여 작품의 가치가 손상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