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광물찌꺼기 적치장 붕괴 및 관리기준 해외 사례 조사

        김세진,민기복,최용근,김지혜,이진수 한국자원공학회 202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7 No.6

        A tailings dam is a facility for the deposition of remaining byproducts in the form of a dammed impoundment after the extraction of useful minerals in mines. If an accident occurs, such as collapse or spillage of a tailings dam, environmental pollution, human health effects, and property damage are anticipated. In particular, large-scale failures of tailings dams have occurred overseas recently. This study analyzed these cases and international management standards for tailings dams.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a tailings dam include geometric conditions, geology, groundwater level, pore water pressure, the strength of tailings, and external conditions such as earthquakes and weather. Liquefaction was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of large-scale failure. Currently, there are no international management standards for tailings dams. However, there are management standards from Canada, Australia, and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ining and Metals, which were reviewed in this study. 광물찌꺼기 적치장은 유용광물을 추출한 후 남은 부산물들을 댐 형태로 적치해둔 시설이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붕괴 혹은유출과 같은 사고가 일어나면 인명, 재산피해 및 환경오염이 예상된다. 특히 최근 들어 큰 규모의 적치장 붕괴사건이 해외에서 일어나고 있고, 본 연구는 그에 따라 이러한 붕괴사례와 해외의 적치장 관리기준을 분석하였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인자로는 기하학적 조건, 지질, 지하수면, 간극수압, 강도 그리고 지진, 날씨와 같은 외부조건 등이 있다. 피해규모가 큰 붕괴사례들은액상화에 의한 붕괴가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지목되었다. 적치장 관리기준에 대한 국제표준은 현재 없으나 캐나다, 호주 및 국제광업금속위원회(ICMM)에서 제시한 기준이 있어 본 연구에서 소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고위험 게임사용의 발현과 이후 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김세진,최훈석,김교헌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No.4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problematic gam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exploring implications for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kinds of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are currently using games without any problems or making a good use of games. The second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have developed key symptoms of problematic game use. The third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had used games problematically in the past but currently do not exhibit such problematic symptoms. These groups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leading to a paradigm model consisting of 13 categories, 35 subcategories and 61 concepts. The analysis showed that phenomena of "problematic game use" were developed due to the influence of causal conditions of "reasons for playing games" as well as contextual conditions of "stress in daily lives",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it hard to control game use" and "lack of other recreational activities". The action and interaction aspects were classified into "lack of intentions, motives or preparation to control game use" and "efforts to control game us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affect action and interaction were "situational factors that are helpful for controlling game use", "personal resources needed for controlling game", "environmental resources needed for controlling game use" and "other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can substitute games". By developing the storyline of phenomena, a core category of "the processes of problematic game use of adolescents and improvement processes" was derive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in problematic game us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본 연구는 고위험 게임사용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여, 1차, 2차 및 3차 예방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별다른 문제없이 게임을 사용하거나 선용하는 청소년, 현재 고위험 게임사용을 보이는 청소년, 전에는 고위험 게임사용을 보였으나 현재는 그러한 문제적 증후군이 개선되거나 게임을 선용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근거이론 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3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 61개의 개념으로 만들어진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했다. 그 결과, 인과적 조건인 “게임을 하는 이유”에 맥락적 조건인 “일상생활에서의 불만족감(스트레스)” “게임사용 조절이 어려운 환경적 요소” 및 “여가활동의 미비”의 영향이 더해져 “고위험 게임사용”이라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양상은 “게임사용을 조절할 의도나 동기, 준비가 부족함”과 “게임사용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함”으로 구분되었는데,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게임사용 조절을 돕는 상황적 요소” “게임사용 조절에 필요한 개인적 자원” “게임사용 조절에 필요한 환경적 자원” “게임을 대체할 여가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윤곽 전개를 통해 “청소년의 고위험 게임사용이 나타나는 과정과 이의 개선 과정”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고위험 게임사용에서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을 1차, 2차 및 3차 예방과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창원 방언과 중세국어에서 입성 한자 형태소의 성조에 대하여

        김세진 한글학회 2008 한글 Vol.- No.28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how the tone of the rapid closing morphemes of Sino-Korean words is reflected in Middle Korean and Changwon dialect, a dialect of Gyeongnam Province. I extracted Middle Korean data from Sohag-eonhae published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and Changwon dialect data from professor Gim's own handriting which consists of about 10,000 Sino-Korean words. He has also much helps to me directly as a informant of Changwon dialect. There are three tones, the even tone, corresponding to Chinese ping (平; ‘high-level’), the rising tone, Chinese shang (上; ‘rising’), and the departing tone, Chinese qu (巨; ‘falling’) tone. But according to dichotomy, in Korean, the three tones are divided into one marked/plain tone corresponding to Chinese ping (平) and two unmarked tones Chinese tse (仄). And the two unmarked tones are divided into a simple level tone corresponding to Chinese qu (巨) and a long rising tone corresponding to Chinese shang (上) according to phonetic complexity. In Middle Korean the even tone is the low tone which is represented as no dot (□), the departing tone is the high tone, represented as one dot (·□), and the rising tone is rising, represented as two dots (:□). In Changwon dialet, the way representing the three tone is the same as in Middle Korean. The pitch form of the former underwent remarkable change. Thus the even tone is the high, the departing tone, and the rising tone, low. The even tone (□) allows contrast of marked tone (·□) and unmarked (□), but the not departing tone (·□) and rising tone (:□) are neutralized into 1 dot(·□, marked tone) in its following syllable because its neutralization effect is weak. However, the two marked tones does not allows any tonemic contrast in the following syllable because their neutralization effect is strong, in which any kind of tones are neutralized into 1 dot(·□, marked tone). The most Sino-Korean rapid closing morphemes mid level pitch, in Changwon dialect, neutralize any tone into 1 dot (·□, marked tone) obligatorily.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under lying tone of them is departing tone (·□). Several exceptional Sino-Korean rapid closing morphemes seems to be the underlying even tone, which have high pitch and allows only the contrast of marked tone (·□) and unmarked (□). And only two Sino- Korean rapid closing morphemes appeared as underlying low tone (:□) in our data. The most Sino-Korean rapid closing morphemes in our data can neutralize any tone into 1 dot (·□, marked tone) optionally in Middle Korean, so that the underlying tone of them is departing tone (·□). Several Sino-Korean rapid closing morpheme appeared as even tone, and a few, as rising tone. 이 연구에서는 중세국어 문헌들의 검토와 해석을 통해 입성은 성조가 아니며, 입성 한자 형태소는 기본적으로 중세국어 및 현대 국어 성조 방언(창원 방언)의 세 가지 성조 가운데 거성과 동일한 성조적 특질을 가진다는 논지를 마련하고 중고한음, 중세국어, 창원 방언의 한자음 성조를 비교 연구하여 그를 입증하였다. 대립 가능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성조를 기본으로 『소학언해』와 창원 방언 자료에 나타난 한자어에서 개별 한자 형태소의 성조를 판별ㆍ확정한 기초 위에서 표본 추출의 방법으로 중고한음, 중세국어, 창원 방언의 한자음 성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고한음 가운데 입성 한자음의 거의 대부분이 중세국어에서 거성에 합류되어 중세국어에서 기본적으로 거성과 동일한 성조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고, 그 밖의 몇 가지 이유로 중세국어 거성 한자음의 주류로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입성 한자음의 기본적 성조와 거성 한자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세국어의 성조 체계를 계승한 현대 국어 성조 방언(창원 방언)에도 그대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