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퇴계 한시작품 저작연보 작성과 작품이해의 문제

        석태(Jeong, Seok-tae)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退溪集』詩卷, 그중에서도 퇴계 자신의 『詩藁』를 대본으로 한 내집 권1-4 시권의 수록작품을 그 편차를 따라 순서대로 읽어보면, 작품이 저작된 그해 그때 그 장소에서의 퇴계의 모습이 아닌 시간과 장소를 달리한 노년의 대학자 퇴계의 모습, ‘年代’를 기준으로 작성한 퇴계 한시작품 저작연보를 무색하게 할 만큼 노년의 대학자 퇴계의 모습이 또렷하게 부각된다. 이에 초점을 맞추어 본고에서는 「過吉先生閭」와 「白巖東軒濯纓金公韻」,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제12수와 그 원고 2종, 「陶山雜詠[幷記]」를 중심으로 ‘연대’를 기준으로 한 한시작품 저작연보의 작성과 그에 따른 문제, 그리고 목판본 퇴계집 각 시권 등에 수록된 퇴계 한시작품의 이해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퇴계 자신의 시고를 대본으로 하였던, 다시 말하면 퇴계 자신이 후일 문집에 수록할 것을 염두에 두고 일생 동안 수정을 가한 자신의 시고를 대본으로 한 목판본 퇴계집 내집 시권 권1-4에 수록된 작품들은 일률적으로 ‘연대’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해서 정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퇴계집만이 그런 것이 아니라, 퇴계집처럼 수록한 작품의 저작편차가 정연한 문집은 대부분 그럴 것이다. 특히 전통시대 문집을 편찬할 때, 傳後文字로써 문집에 수록하는 작품은, 만약 초년과 만년이 그 내용이나 주지가 달라졌을 경우에는 초년의 것을 버리고 만년의 것을 정론으로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현대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전통시대 문집에서 ‘연대’ 하나를 기준으로 작품을 정리해서 보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한번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If we read the poems of Twegae one by one in the chronological order contained in Poetry Volumes 1-4 compiled based on his Sigo (詩藁), in the Twegaejip [Collection of Writings of Twegae], we can get the clear image of old scholar Twegae rather than his various images when he wrote each of different Chinese poems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Focusing on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compiling Chinese poems chronologically, and of understanding Twegae s works in each Poetry Volume of wood-block printed Twegaejip, focusing on 12 poems of Gwagilseonsengryeo (過吉先生閭) , Baekamdonghwontakyeongkimgongmun (白巖東軒濯纓金公韻) , and Jochunhangeochajosagyeonggu Geongseo Kimsumgeo Gwongyeongsusangchangsuwoon Sipsasu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and two kinds of manuscripts, and Dosanjapyeong Byeonggi (陶山雜詠 幷記) . The analysis proved that it is difficult to compile Twegae s poems in the Poetry Volumes 1-4 in the wood-block printed Twegaejip with the single criterion of chronicle , because those poems had been continuously revised by Twegae himself through his life, assuming that they would be contained in his posthumous collection of his works. It is not the only problem of Twegaejip. Probably, most of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hich were arranged with clear chronological orders must have such problems. Considering that, in the old days, when the compiler arranged a scholar s life-long works, if a specific literary work originally written in the scholar s younger age was revised in his later life, the compiler would choose the latter one, it is very dangerous to arrange someone s life-long works only in the chronological order.

      • KCI등재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를중심으로 -

        석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Over the course of his life, Toegye Lee Hwang rewrote his Sino-Korean poems multipl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for many of his Sino-Korean poems, two or three different versions can be found. While most of his rewriting involved merely changing one or two characters, some poems were heavily revised or edited over time. One of his works that went through extensive rewriting is his poem entitled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 士敬見示. For this work, a total of four versions can be identified— the version presumed to be the original and three rewritings of the first version. Lee Hwang rewrote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 趙士敬見示, a serial poem consisting of 60 seven-character verses and 5 seven-character rhyme poems, into two new poems under two separate titles: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 四首. These separate titles consists of 14 seven-character verses that review the history of Dohak (a Confucian school of thought)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seven-character rhyme poem, Yutan (有嘆), where the poet declares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and furthering the discipline. These two poems reflect Lee Hwang’s deepening and more matured understanding of Dohak, which had taken place since he began writing the original poem. Moreover, he also revised the end notes of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and thus turned it into an academic work where the author expresses his opinions on Dohak. After being rewritten into an academic treatise,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was rewritten several times over. Of the poems comprising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 相唱酬韻十四首, the 12th poem about Jeompiljae Kim Jong-jik has been completely rewritten at least twice. The three versions in existence today reflect a downward shift in Lee Hwang’s understanding of Kim Jongjik’s position, from a scholar to a writer, than to a mere follower. This shift definitely reflects the fact that Lee Hwang’s opinion about Kim Jongjik changed as his understanding of Dohak became deeper and more m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ift is a result of Lee Hwang’s efforts to adjust his opinio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circles at the time: scholars were trying to put Kim Jongjik under a negative light and reduce his role in the advancement of Dohak, on account of their conflict with Hanhwondang Kim Goengpil, one of his disciples. Therefore, the rewritten poems express Lee Hwang’s newly adjusted—or negatively revised—opinion about Kim Jongjik during his last years.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한 평생 자신이 지은 시문(詩文) 원고를 계속해서 개고하였다. 그 결과 특히 한시작품(漢詩作品)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는 두세 종의 원고를 상정할 수 있는 예가 많이 발견된다. 대부분은자구 한두 글자를 수정한 것이지만, 어떤 것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작품전체를 대폭 수정하거나 산절(刪節)한 예, 다시 말하면 개고한 경우도 더러 발견된다. 그중 최초 원고로 추정되는 원고 1종에 중간에 개고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원고 3종을 포함해서 4종의 원고를 상정해볼 수있는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작품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작품을 가지고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과정을 추적해보고, 개고사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퇴계 이황은 먼저 칠언절구 60수와 칠언율시 5수의 연작시 「次韻具景 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하나의 작품을 산절해서, 중국과 우리나라 도학 역사의 논평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칠언절구 14수의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 唱酬韻十四首」와 도학의 계승 발전에 대한 자임과 결단에의 각오를 표명한 칠언율시 1수의 「有嘆」의 독립된 2제(題) 2편(篇)의 새로운 작품으로만들어놓았다.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맞추어 이미 지어놓은 작품을 새롭게 개고한 것이다. 퇴계 이황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를 작품 본문(本文) 뿐만 아니라 편말주(篇末註)까지 고르게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도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著作)으로 만들어놓았다. 특히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는 개고과정을 거쳐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이 되었기 때문에 퇴계 이황은 그것을계속해서 수정 보완하였다. 그중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관련 제12수는 적어도 2차례 이상 작품 전체를 고치는 개고과정을 거쳤고, 그에 따라 현재 본문 전체가 달라진 3종의 원고,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논평의 초점이 ‘학자(學者)→문장가(文章家)→문하인물(門下人物)’로 옮겨지면서 본문 전체가 개고된, 그래서 점필재 김종직의 위상이 점차 축소 또는 조정된 3종의 원고가 존재한다. 이것은 퇴계 이황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생각 또는 평가가 달라진측면 외에도 이른바 도학의 시대가 열리면서 도학의 입장에서, 제자 한훤당 김굉필과 관련해서 점필재 김종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다시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을 학자가 아닌 문장가로 평가해서 우리나라 도학의 역사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려는 정치․사상계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기존의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축소 조정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 축소 조정한 것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새로운 논평을, 점필재 김종직의 평가에 대한 자신의 만년정론(晩年定論) 을 자신이 이미 지어놓은 한시작품을 개고해서 담아둔 것이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점필재학단의 분화와 탁영 김일손의 인물평가 ― 「조의제문」 사초수록과 그에 대한 탁영 김일손 평가의 실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석태 ( Jung¸ Seok-tae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6

        김일손은 사관으로서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을 정도로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 무오사화를 초래하였지만, 그 무오사화가 도리어 조선이 후일 도학의 시대를 열어가는 큰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그 도학의 시대에 그가 사관으로서 소임을 깊이 자각하고, 또 스승 김종직에 대한 지극한 존모의 마음을 가지고 사초에 실었을 「조의제문」이 이제는 역으로 그를 포함한 스승 김종직을 文人으로 평가하는 결정적인 증빙자료가 되고 말았다. 도학의 시대를 출발시킨 이황이 「조의제문」과 관련한 출처의리의 흠결을 우회적으로 지적해서 그와 그의 스승 김종직을 문인으로 단정하고 난 뒤, 그러한 평가는 이황의 후학들인 남인세력의 퇴계학파에서만이 아니라 서인세력, 후일 노론세력의 송시열 계열에서도 변함없었다. 송시열이 그에 대해 文章과 節行이 한 시대의 으뜸이라고 평가를 내린 것은 영남 강우지역에 자신들의 세력기반을 부식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진 일시적인 것이었다. 특히 송시열은 그에 대한 이러한 평가와 추숭에 이어 조식의 신도비를 찬술한 다음, 김종직의 시호복구를 추진하였는데, 그 과정에 그때까지 남인으로 전향하지 않은 잔존 북인세력이 다시 노론으로 전향을 하게 되자, 영남 강우지역 어디에도 북인세력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영남 강우지역에서 북인세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남명학파의 소멸에만 그치지 않았다. 남명학파의 원류이자 표준이 되었던 그와 그의 스승 김종직의 학맥도 함께 소멸되면서, 이제는 더 이상 그와 그의 스승 김종직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나올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송시열의 평가와 무관하게 그는 여전히 문인으로 평가되었고, 그의 스승 김종직에 대해서도 노론세력에 의해 ‘文忠’으로의 시호복구가 이루어진 뒤 허울만 도학과 문장과 은일과 절행의 원류이자 표준으로 높여진 채 여전히 그 실질, 다시 말하면 그에 합당한 예우인 문묘종사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Kim Il Son as a royal history recording officer included his mentor, Kim Jong Jik’s ‘Joeuijemoon’, in the draft of the history. This brought about Muosawha, an event that became a significant driving force to open the era of ethics later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Joeuijemoon,’ which had been included in the draft of the history by Kim Il Son acknowledging his role as an officer sincerely with deep respect to his mentor, became conclusive evidence to evaluate Kim Il Son and his mentor, Kim Jong Jik as scholars. Hwang Lee, who initiated the era of ethics, pointed out the deficiency of Choolcheoeuiri as related to Joeuijemoon indirectly, predicating him and his mentor, Kim Jong Jik as scholars, which was evaluated in the same way continuously, not only in Toegye’s school of Namin but also later in Seoin and Song Shi Yeul’s school that was Noron. Song Shi Yeol evaluation him as the best of the times on his writing and behaviors, was a temporary move to keep political integrity and eliminate the power base in the Yeoungnam River Basin area. In particular, publishing Shik Cho’s tombstone writing with this evaluation and admiration, Song Shi Yeol triedto recover Kim Jong Jik’s posthumous epithet. The remaining Northern people that had not turned to Namin until that time turned to Noron, which caused no Northern people remaining in the Yeoungnam River Basin area.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 Northern people in Yeoungnam River Basin area was not just the extinction of Namyung school. With extinction of Kim Jong Jik and his school which had been the origin and standard of the Namyung school, it was no longer possible to find the right evaluation of him and his mentor, Kim Jong Jik anymore. Therefore, he was evaluated as a scholar, regardless of Song Shi Yeol’s evaluation, and Kim Jong Jik’s posthumous epithet was recovered as Moonchoong by Noron, to be only respected for his external matters including ethics, writing, and seclusion as the origin and standard of behaviors to keep integrity, but not respected for the real one. In other words, Moonmyojongsa which was worthy of respect was not realized.

      • KCI등재

        춘정 변계량의 가계와 학맥

        석태(Jeong, Seok-tae)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9

        변계량의 가계와 출생지, 변계량가문과 밀양과의 관계, 변계량의 학문연원, 변계량의 사문과 학맥, 변계량 문인그룹의 규모와 행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변계량의 가계는, 선대에는 밀양의 향리계층이었다가 부친 변옥란 대에 신흥사대부가 되었고, 그의 중형과 그의 대에는 당대 최고의 경화사대부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둘째 변계량의 출생지는 밀양이 아닌 개경으로 추정되며, 밀양은 태어나고 자란 고향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변계량의 후손은 1500년 전후에 혼인 등을 통해 한양 주변에서 선향인 밀양 구령동으로 내려오고 그 뒤 다시 밀양 풍각으로 이주하였는데, 1600년대 후반 밀양 풍각이 대구부에 소속되면서 밀양의 기록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넷째 변계량의 학문연원은 “안향→백이정→이제현→이색”으로 이어지는 계보로 파악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변계량의 사문[스승]은, 좌주문생 사이만이 아닌 성균관 등을 통해 실제 학문적인 전수가 이루어진 사실이 확인되는 정몽주ㆍ이숭인ㆍ권근 세 사람으로 파악되고, 이들 세 사람을 여말선초 관학의 학문적 계보에 붙여 변계량의 학맥을 “이제현→이색→정몽주ㆍ이숭인ㆍ권근→변계량”의 계보를 잇는 것으로 정리해보았다. 여섯째 변계량 문인그룹의 규모와 행방은, 그의 과거시험 고시관 역임이력과 그가 주관한 과거시험 합격ㆍ급제자 방목 등을 통해 그 대체적인 윤곽을 파악해볼 수 있지만, 그들이 좌주문생의 문생이 아닌 실제 학문적인 전수가 이루어진 스승과 제자 사이의 문인임을 밝혀내는 일은, 개개 인물의 행적과 변계량의 행적을 낱낱이 살펴서 확정해야 할 문제이므로 후일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The family lineage and place of bi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yungyeryang family and the Miryang family, the academic origins of the Byungyeryang family, the scholars and scholars of the Byungyeryang family, and the size and whereabouts of the Byungyeryang literary group were examined. First, the family line of Byun Gye-ryang was from the family of Hyang-ri of Miryang, but became a new high-ranking official in the generation of his father, Byun Ok-ran. Second, the birthplace of Byungye-ryang is presumed to be Gaegyeong, not Miryang, and it seems that Miryang is not the hometown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Third, the descendants of Byun Gye-ryang descended from around Hanyang to Guryong-dong, Seonhyang-in through marriage, etc. around 1500, and then moved to Miryang Punggak again. It is estimated.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articular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academic origin of Byun Gye-ryang as a genealogy that runs from “Anhyang→Baek I-jeong→Lee Je-hyeon→Isaek”. Fifth, the teachers of Byun Gye-ryang are identified as three people, Mong-ju Jeong, Soong-in Lee, and Geun Kwon, whose actual academic transmission was confirmed through Sungkyunkwan, etc. Attached to the genealogy, the academic line of Byun Gye-ryang was summarized as linking the genealogy of “Lee Je-hyeon→Isaek→Jeong Mong-ju, Lee Soong-in, Kwon Geun→Byun Gye-ryang”. Sixth, the size and whereabouts of the 6th Byun Gye-ryang Writers Group can be grasped through his history of serving as an examiner for the past examination, passing the past examinations he hosted and grazing of high-grade students, etc. Revealing that the person is a writer between a master and a disciple who has been passed on is a matter that needs to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actions of each individual and the actions of Byun Gye-ryang, so it is left as a future task.

      • SCOPUSKCI등재

        시판 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과 biogenic amine 생성

        석태(Seok-Tae Jeong),곽희(Hee-Jung Kwak),김순미(Soon-Mi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국내 약ㆍ탁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개량누룩 1종과 재래누룩 4종을 선발하여 막걸리를 담고, 담금 과정 중의 누룩에 따른 술덧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와 BA 생성 특성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효 초기 술덧의 pH는 4.40-5.00이었으나 4일째 감소한 후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7일째의 총 산 함량은 시험구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누룩 C가 가장 많았으며, 개량누룩을 사용한 누룩 A가 가장 낮았다. 술덧의 당도는 누룩 D가 가장 낮았으며, 누룩 A는 발효 초기부터 7일까지 가장 높은 당도를 유지하였다. 발효 7일째 술덧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밝기는 누룩A가 가장 높고, 누룩 E가 가장 낮았으나 적색과 황색은 이와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술덧의 알코올 농도는 누룩 A가 가장 많았으며, 누룩 B, 누룩 C, 누룩 E, 누룩 D의 순이었으나, 휘발산은 알코올 농도가 가장 많았던 누룩 A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술덧의 효모 수와 총 세균 수는 발효 1일에 비해 7일에 감소하였다. 발효 7일째 효모 수는 가장 높은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누룩 A가 가장 많았고, 총 세균 수는 누룩 E가 가장 많았다. 술덧에서 검출된 BA는 총 3종으로 putrescine은 5종의 술덧 모두에서 발효 초기부터 검출되었으며, tyramine은 누룩 C, 누룩 D, 누룩 E의 발효 7일째에서만 검출되었고, cadaverine은 누룩 E에서만 발효 1일째부터 검출되었다. 이들 술덧의 미생물 균주의 변화를 PCR-DGGE 기법으로 살펴본 결과 발효 1일과 7일째 BA 생성량이 가장 많았던 누룩 E의 밴드가 가장 다양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이러한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세균수는 putrescine 및 총 BA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BA와 색도(L, a, b값) 역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막걸리의 품질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BA의 생성이 누룩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과 함께 막걸리의 품질 관리는 누룩의 제조 단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Makgeolli mashes that were brewed using five different commercial nuruks (fermentation starters) were investigated for changes in physicochemistry, microbial diversity, and biogenic amine (BA) production. Mash A brewed with the nuruk (Gaeryang-nuruk) had the highest level of alcohol concentration and the greatest number of yeast cells, whereas mash E had the greatest number of bacterial cells. Only three biogenic amines were detected in the makgeolli mashes: tyramine, putrescine, and cadaverine. Using a PCR-DGGE technique, we observed that mash E had the highest BA production, and had the greatest number of bands on the denaturing gradient gels. We also observed that the numbers of bacterial cell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putrescine and the total BA content, and that the BA conten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olor values (L, a, b). This study shows that the quality of a makgeolli can depend on the type of nuruk.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quality management of makgeolli should start with the stage of nuruk manuf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