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地方自治實施 成敗의 期待에 대한 實證的 分析

        鄭宇一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88 社會科學論叢 Vol.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gree of an expectation of the people in Korea over success and failure in enforcing the local autonomy. It proceede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mode positive its expection or behavior may be about the enforcement and the more solid the institutionalization can be, the more reliable local autonomy can be settled down. After referring to literatures concerning the subject matter, an interesting model was suggested in this paper for the effectiveness of local autonomy and then empirically tested. The author sellected accordingly twelve independent variables (i.e., individual characterrstics, institutional aspects and conscious aspects of participation) regarded important variables that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xpectation of its success and failure (Y : dependent variable). Our research team made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degree of the people's expectation regarding th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y on 2600 persons throughout the country except for Jeju Do for one month from Jan. 15 to Feb. 15, 1988. Of course, each of them was interviewed with a questionaire developed by the team. However, Only 2382 responses out of them clould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them are frequency distribution , .X²-test, new, regress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most independent variables besides ?? appear to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Y. On the other hand, variables as to individual characterrstics flings out a cause-effect relationship directly with institutional and participative aspects rather than the dependent variable ?? In other words, clear distinction of administrative works and func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ransferrence from a portion of national revenue to local government, stipulation of the position of local councilmen as a honoary post, publicity of local council and committees and positive opinion of the people on the establishment of new local taxes to ease financial problem appear to be positive at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over its enforcement. Instead, the knowledge degree regarding local autonomy' gave a negative inflecence to its success and failure. Finally, it may be git·on as a conclu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expend a great effort to create and improve institutional devices and management stiategie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so as to bring an substantial effectiveness of the local autonomy into full play. Moreover, the government also has not only to show the people a concrete plan for local autonomy but also, to induce its participation of the people so that she can collect all wisdoms of the people through public hearings and etc.

      • KCI등재

        지역사회 대테러활동에 관한 연구

        정우일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19

        2001년 미국에서 일어난 9·11 테러사건과 2005년 7월 영국에서 일어난 지하철 폭탄테러 사건 등 일련의 테러사건들은 우리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고 있다. 테러리즘의 원인들은 어느 사회에서나 늘 존재하여 왔고 앞으로 살아갈 사회 속에서 계속 야기될 문제들이기 때문에 완벽한 해결책이 제시될 수 없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논의한 지역사회 대테러활동을 통해서 좀 더 안전한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새롭게 다가오는 지역사회의 안보 환경은 대테러기관으로 하여금 시의 적절하게 테러리즘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도전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서부터 내려오는 준군사적인 대테러활동 모형으로는 테러리즘에 대처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테러기관이 현존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 전통적 대테러활동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첫째, 대테러기관은 지역사회와 신뢰관계를 구축해야만 한다. 둘째, 대테러활동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들, 즉 ‘소비자인 시민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셋째, 대테러기관이 지역사회의 분열을 조장하거나 강제하는 차별적이고 강제적인 활동을 전개해서는 안 되고 사회적 통합과 인권 보호의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대테러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In this study, Horgan(2005)’s argument highlights the centrality to any successful counter-terrorism strategy of understanding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errorist ideologies take root. Counter-terrorism refers to the practices, tactics, techniques, and strategies that governments, militaries, police departments and corporations adopt in response to terrorist threats and/or acts, both real and imputed. Pickering et al.(2008) historically explained fou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as traditional counter-terrorism model, community intelligence model, belonging model, social cohesion model. It is thus proposed that counter-terrorism strategies are based in established networks within the community and proactively seeks to continually renew thes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and police. This approach must embrace an explicit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and its political imperative and drive in a policing organization explicitly committed to social cohesion and human rights in both discourse and practice.We, therefore, suggests community tree counter-terrorism approaches, or community intelligence model, belonging model and social cohesion model to apply to counter-terrorism agencies in Korea. These models are on the basis of Pickering et al.’s counter-terrorism models, which by using community policing to boot socially cohesion police are better able to position themselves as mediators to negotiate settlements between the competing demands of different social groups.

      • KCI등재

        p-Si 기판에 n-형으로 도핑되어 증착된 TiO2 박막의 전류-전압 특성

        정우일,맹진영,송종현 한국물리학회 2023 새물리 Vol.73 No.4

        We fabricated p-n junction devices by depositing Nb-doped TiO2 thin films on p-Si (100) substrates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with Nb-doping rates of 0%, 3%, and 6% and carried out current–voltage (I-V) measurements to characterize their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Results revealed that the undoped TiO2/p-Si device exhibited the ideal diode characteristics when the ideality factor, zero bias barrier height extracted by applying thermionic emission theory, T0 anomaly, and distribution of the zero bias barrier height versus the ideality factor were considered. Rect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even in device without Nb doping. This phenomenon is interpreted as the natural n-type doping effect of TiO2 thin film due to oxygen deficiencies. For the Nb:TiO2/p-Si device with Nb doping, the inhomogeneities in barrier height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undoped devic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ode device degraded. These observations provide insights into the optimal doping condition for the device applications of TiO2. 이 연구에서는 TiO2에 Nb이 각각 0%, 3%, 6%의 도핑율로 도핑된 박막을 펄스 레이저 증착(Pulsed Laser Deposition, PLD) 방법으로 p-Si (100) 기판 위에 증착하여 p-n 접합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이들 소자에 대하여 전류-전압(I-V)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I-V 곡선에 열전자 방출(Thermionic emission) 이론을 적용하여 추출한 이상 계수(Ideality factor)와 제로 바이어스 장벽 높이(Zero bias barrier height), 그리고 T0 변칙과 이상 계수 대비 제로 바이어스 장벽 높이의 분포 분석에 따르면 도핑과정을 거치지 않은 TiO2/p-Si 소자가 이상적인 다이오드 특성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Nb 도핑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소자의 경우에서도 정류특성이 관측되는 것은 산소 결핍에 의한 TiO2 박막내에서의 n-형 도핑 효과로 해석된다. Nb 도핑을 한 Nb:TiO2/p-Si 소자의 경우 도핑과정을 거치지 않은 산소 결핍 도핑 소자보다 장벽높이의 불균질성이 증가하여 오히려 다이오드 소자 특성이 우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TiO2의 소자 응용측면에서 최적의 도핑조건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고찰

        정우일 한국범죄심리학회 2014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0 No.1

        성충동 약물치료는 기본적으로 남성호르몬 분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뇌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 이 성욕에 관계된다는 전제 아래, 약물을 통해 이 호르몬의 분비량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립선암 등의 치료과정에서 남성호르몬을 제거하는 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 간 우리나라 강력범죄의 발생추이를 보면 강간은 2002년 9,435건에서 2011년 22,034건으로 증가하였으며, 10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다른 유형의 강력범죄와 비교해 볼 때, 살인은 동 기간 중 약 1.24배, 방화가 약 1.42배 증가, 그리고 강도가 0.3배 감소한 것에 비해 강간이 약 2.3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범죄 양상이 심각해짐에 따라 2011년부터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명령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법률의 내용, 실효성 등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성충동 약물치료에 대한 판례 및 각종 쟁점사항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Chemical castration is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designed to reduce libido and sexual activity. Unlike surgical castration, where the testicles or ovaries are removed through an incision in the body, chemical castration does not actually castrate the person, nor is it a form of sterilization. When used on men, these drugs can reduce sex drive, compulsive sexual fantasies, and capacity for sexual arousal. Life-threatening side effects are rare, but some users show increases in body fat and reduced bone density, which increase long-term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They may also experience gynecomastia. When used on women, these drugs deflate the breast glands and expand the size on the nipple. Also seen is a sudden shrink in bone mass and discoloration of the lips. reduced body hair, and loss of muscle mass. Although advances over the past decade have been steadily made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treatment of sexual offenders. Attempts at using hormonal manipulation to control pathological sexual behaviour and to prevent sexual offenses have been developed.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국회의 역할 제고 방안 연구

        정우일,권기창,전하성,정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연구보고 Vol.- No.-

        연구 목적 및 범위·방법 과학기술이란 항상 진리를 추구하는 좋은 것이고,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갖는 특정의 소수 엘리트들에 의하여 과학기술정책들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과학기술의 예외주의는 정부의 개입과 대중의 참여로 더이상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문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정당화되고 국회 및 정치권의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주도의 과학기술 발전은 민간부문의 팽창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을 과학기술자들이나 행정관료들에게만 맡겨둘 수는 없게 된 것이다. 과학기술정책이 모든 사회계층들의 참여속에서 결정·집행되어야 하며, 이는 곧 과학기술에 대한 국회의 역할이 증대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국가자원의 배분과정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평가에 국회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함은 당연하며, 이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해 중요한 정치의제, 정책의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정부의 전문성에 대항하여 지금까지 국회가 과학기술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었다. 과학기술의 복잡성과 전문성으로 인하여 과학기술정책 또한 고도의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이에 대해 정보와 조직을 독점하고 있는 행정부가 상대적으로 국회에 비해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필연적인 결과였다. 더욱이 소모적인 여·야간 정쟁으로 인해 국회는 국민들의 뿌리깊은 불신을 받게 되고, 비단 과학기술관련 위원회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급기야 행정부의 시녀화, 식물 국회 혹은 통법부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불신은 국회가 국민의 기대를 져버리고 기본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최소한의 기능마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이제는 국회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어떠한 기능들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하여야 할 시점인 것이다.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국회는 국민의 대표기능과 정책의 결정기능, 행정에 대한 통제·견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국회의 입법을 통한 정책결 정권은 사실상 상당부분 행정부에 의하여 행사되거나 행정부에 위임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과 관련한 국회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대표로서 입법기능과 정책기능을 내실화하고 행정부를 실질적으로 견제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인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제는 광범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그렇게 쉽게 달성될 문제는 더욱 아니다. 국가의 정치문화와 통치구조를 바꾸어야 하고, 각 부문의 행위자들의 행태를 변화시켜야 가능한 부분도 있다. 그렇지만 국회에서 그것도 특정한 기능과 관련하여 하나의 변화를 시작한다면, 전체로서 과제해결이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닐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국회가 과학기술계와 행정부, 그리고 일반국민들과 더불어 강력한 과학기술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상호 유기적인 연계 속에서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때, 비로소 우리 나라의 과학기술은 공고한 발전이 가능할 것이며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서 과학기술력이 제고될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회가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영향력을 왜 강화하여야 하며, 그 영향력 강화를 결정짓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하는 것과 국회가 과학기술정책과 관련하여 어떤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역할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채택한다. 이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관심과 호응, 그리고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촉발시킬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나아가 불확실성을 본질로 하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국회에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분석·평가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는 국회가 과학기술정책과 관련한 입법기능, 예·결산심사기능, 국정감사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과학기술관련 상임위원회의 기능 활성화의 방안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과 기술을 하나로 묶어 단일한 정책영역으로 고찰하며, 그 정책의 초점은 국가의 과학기술에 대한 잠재력을 강화시키고 조직하고 활용하기 위한 진흥에 둔다. 또한 연구 범위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를 주된 대상으로 하며, 시간적으로는 15대와 16대 국회 전반기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분석단위는 기본적으로 의원 개인이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임위원회를 단위로 분석하기도 한다.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과학기술과 의회의 관계를 규명하고, 의정활동의 영향요인을 도출하며 각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은 문헌연구에 바탕을 둔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체계론적 관점에서 기본적인 분석틀을 제시한다. 투입요소로서 의원들이 보유하는 권한구조나 자원, 동기를 규정하고, 산출로서 입법, 예산, 국정감사기능을 규정하여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주로 기능적인 접근을 활용하여 제도적, 역사적인 접근에 의존하며, 국회회의록이나 간행물 등의 내용분석과 심층면접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역할모형에 따른 실행방안은 체계설계를 시도하였다. 이는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현실을 감안하여 다분히 본 연구자의 규범적 판단에 의한 하나의 제안차원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론적 고찰 ○과학기술정책과 정치, 의회 과학기술의 산물들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사회에 환원되었고, 국가도 그 가치를 인정하여 과학기술에 대해 직접 혹은 간접으로 개입·지원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과학의 최대 후원자가 국가이며, 정부 재정지원에 의해 연구영역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며 연구종사자나 제도의 상대적인 위상도 결정되고 있다. 각국 정부에서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그 정책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새로운 제도와 과정을 모색해 오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은 국가와 자본이 지원하는 거대 프로젝트로서 다양한 분야의 각종 첨단기술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잡한 기술체계를 구성하는 것을 그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기술에 관련된 이슈들이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관심영역으로 편입되고 있으며, 보다 직접적으로 그 관심영역에 의해 구속받기도 한다. 정부나 의회의 과학기술정책 결정·집행과정에는 관료들이나 의원들이 주도하는 형태를 띠지만, 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 등에 소속되어 있는 전문가 등 과학기술 엘리트들의 의견이 부분적으로 반영되거나 기업, 이익집단, 일반시민들, 지방자치단체나 지역주민들의 참여에 의해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리하여 과학기술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조직체계가 전통적인 정부구조를 벗어나, 광범위한 집단들을 동원하고 조직화하며 참여를 보장하는 정치적 기반 위에 구축되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한편으로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제정치 및 국제협력의 영역에서도 과학기술의 정치적 성격이 나타난다. 이같은 과학기술정책의 정치적 성격은 다양한 집단들의 참여에 의해 강화된다. 대표적인 참여집단으로는 국회, 대통령, 행정기관, 법원, 정당, 이익집단, 언론, 사회·시민단체, 시민으로서의 개인이나 전문가 등이 있다.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의회는 일반적으로 갖는 국민의 대표기능, 입법 기능, 청원접수·처리기능, 정통성 부여기능, 고위공직자 선출기능, 재정심의기능, 정부통제기능, 사회통합기능 등의 기능을 가지며, 이는 대표기능, 정책결정기능, 행정통제·견제기능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서로 배타적이라기보다는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엄격히 구별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행정부와 입법부의 상호 관계에 있어서 의회의 입법을 통한 정책결정권은 사실상 상당부분 행정부에 의하여 행사되거나 행정부에 위임되고 있으며, 의회는 국민을 대표 하고 있다는 상징적 기능과 행정부를 감독하고 견제하는 기능에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정책 결정과정은 생소한 용어들과 전문적 지식으로 구성되고 있어 다른 정책과는 달리 권위주의적, 폐쇄적 결정에 많은 의존을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국가미래와 관련하여 그 가치가 당연시됨으로써 비판과 반대가 거시적인 가치와 목표에 의해 소멸되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과학기술정책은 대중참여보다는 소수의 엘리트들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로 인해 과학기술의 신비주의는 더욱 강화 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소수의 엘리트들이란 대부

      • KCI등재

        인공지능 경찰활동에 대한 고찰

        정우일,차훈진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2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favorite with modern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may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in technology, but it is already a trend that can not be resisted worldwide. Anyway, it seems not too long b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exceeds human intelligence. The emergence of a computer system to function as a human brain is an unknown territory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An approach to an unknown area has a positive aspect, but sometimes it can also bring about unexpected side effects. I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developed to the extent that it has advanced ahead of humans, people should work harder to produce reliable data if it learns how humans look today. Just as legitimate intentions lead to good results,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mitates humans should eventually be made into a technology for people and for people. After a democratic society where human rights were neglected and human rights were suppressed in the past, artificial intelligence police action is a challenge that we never expected. In the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policing will further intensify concerns that Big Brother's appearance could be used as a mechanism of social control. In addition, job losse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police activities will narrow down the recruitment of police officers, resulting in variou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o now is the time to hurry to prepare to wisely solve these imminent problems and respond rationally. 인공지능은 현대 과학기술의 총아이다. 인공지능은 각 나라마다 기술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다. 어쨌든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시기는 멀지 않은 듯하다. 인간의 뇌의 기능을 간춘 컴퓨터 시스템이 등장한다는 것은 그 동안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다. 미지의 영역에 대한 접근은 그것이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때로는 우리가 예상치 못하는 부작용도 불러 올 수 있다. 과거 인간의 권리가 경시되고 개인의 인권이 억압되던 시기를 지나 인간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민주주의 사회가 자리 잡은 지금 인공지능 경찰활동은 우리가 예상치 못한 여러 가지 도전과 과제를 앞으로 노정시킬 것이다. 향후 인공지능 경찰활동은 사회통제의 기제로 빅브라더의 출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을 더욱 증폭시킬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 경찰활동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문제는 경찰관 취업문을 더욱 좁아지게 만들 것이고 그로 인해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 우리 사회에 곧 다가올 이러한 난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고 합리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서두를 때이다.

      • KCI등재

        수사기관들 사이의 쟁점 사안 검토

        정우일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Political neutrality and independence of duti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High-ranking Official Crime Investigation Office(CIO) is in charge of investigations and prosecutions against most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High-ranking Official Crime Investigation Office, our society has brought many changes. We feel the change of time that The prosecutors of National Prosecution Service(NPS), who have caused public distrust in the investigation of covering the ritual equipment, just by looking at them being on and off various media outlets. High-ranking Official Crime Investigation Office as well as National Police Agency(NPA) and National Prosecution Service are three indispensable pillars for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achieving a transparent advanced society. Nevertheless, the absence of clear regulations or procedures for cooperation or cooperation between the three organizations can be said to be a situation that can cause conflict and discord at any time. Therefore, it seems that preparing a system and procedure to adjust this should be a priority above all else. In addition, the police, police, and airlift departments hope to co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and to maintain the state's anti-corruption response capabilities and contribute together by efficiently utilizing the powers given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공수처는 대부분의 고위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수사와 기소 등을 담당하기 때문에 정치적 중립성과 직무의 독립성이 매우 중요하다. 공수처 설치 이후 우리사회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동안 제식구 감싸기 수사로 국민의 불신을 초래했던 검사들은 공수처의 수사대상으로 각종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세월의 변화를 느낀다. 공수처뿐만 아니라 경찰과 검찰도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투명한 선진사회를 이룩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세 개의 기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기관들 사이의 공조나 협력에 대해 명확한 규정이나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언제든지 갈등과 불협화음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체계와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경찰, 경찰 및 공수처는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소관 법률에 따라 주어진 권한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가의 반부패 대응 역량 유지하고 함께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公共組織의 特性에 대한 硏究

        정우일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95 社會科學論叢 Vol.14 No.-

        This paper is to discus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concerning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that fuel controversies and then begin to develop some answers. Of course, it also describes the overlapping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discussion then turns to other side of the debate: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the distinction. If they are not distinctive, why do public organization exist? Answer to this question points to the inevitability and the destinctive attributes of public organization. Thus, this paper starts from a principle assumption that public and private management differs because public organizations are significantly and fundamentally unlike private one. In fact, because of the political roles and ambitions of governmental actors and institutions, public organizations and employees are plunged into politics, which differs from private firms in substantial and fundamental ways. It is why all public organizations are not privatized. Anti-governmental trend around the world during the last decade spawned a movement in many countries to courtail government authority and to foster more privative activity. Nonetheless, none of various approaches can succeed in drawing a clean line between sectors. There are always intermediate types and overlaps on various dimensions. Thus far, no new discrete theory of public organization has developed and public managers have learned and applied techniques developed in the private sector. In summary, given all complexies discussed in this paper, it is safe to say that one could identify large groups of organizations which represent a hard core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that they are distinct on a number of basic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