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Brief Essay on the Alienated Self in the Degenerative Inner Space

        신현욱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4 No.-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has many faces regarding its origin and mode. Conventionally, alienation has been thought as the byproduct of dehumanizing socio-economic or socio-political system. It has been widely understood as socio-pathological phenomenon of a structural absurdity or evil. Other than this, the philosophical or the theological discourse also has considered its relational aspect with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or with God. Alienation is an estrangement from human authenticity beyond the limitation of human existence. However, another aspect that we should not forget is that alienation also has psychological dimension reflecting concrete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Regarding this psychological dimension of alienation, the metaphor of space provides u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helps us understand the meaning of alienation. A group of psychologists, such as Erik H. Erikson, D. W. Winnicott, Heinz Kohut, Alice Miller, and Christopher Bollas,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intrapsychic space regarding human wellness. Through this metaphorical frame of space, we can understand alienation as an intrapsychically degenerative space where an individual loses its capacity of autonomy, self-actualization, aesthetic experience, and empathy.

      • KCI등재

        직업재활 통합 전달체계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미국·영국·호주 비교연구

        신현욱 한국직업재활학회 2010 職業再活硏究 Vol.20 No.2

        이 연구는 장애인 고용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직업재활 통합 전달체계 발전방안 모색을 위하여 미국·영국·호주의 선진 사례를 비교·검토함으로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장기적인 직업재활 통합 전달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직업재활 전달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제시, 미국·영국·호주 직업재활 전달체계와 관련된 문헌조사 및 이러한 선진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직업재활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과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재활 서비스의 경우 전달체계의 다원화로 인해 실제 장애인이 취업할 수 있는 길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으며, 전달체계 상호 연계가 불충분 하여 서비스의 중복 및 자원의 낭비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전달체계의 단편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고객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서비스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직업재활 통합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 정부부처의 조직 및 구조적 개혁이 이루어져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원스톱커리어센터와 같이 장애인이 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한곳에서 제공받게 할 수 있는 연계 중심기관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s among US, UK, Australia and Korea, to find an effective way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o develop an integrated delivery system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author reviewed prior studies with regar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s among US, UK, Australia and Korea,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and proposed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The problems are the following.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difficult time to find suitable jobs, and the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sources may be wasted because of fragmented service delivery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reformed and customer cent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s should be developed. Also, as One-Stop Career Centers in US, an integrated Delivery System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Korea would be upgraded to provide a full range of assistance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nder one roof.

      • KCI등재

        Efficient Evaluation of Absorption Coefficients for Biased Quantum-well Infrared Photodetectors

        신현욱,김강수,최정우 한국물리학회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9 No.1

        We evaluate the absorption coefficients for biased GaAs/AlGaAs quantum well structures. Adopting the box-type normalization instead of the periodic boundary conditions, we could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by more than a factor of 100, while maintaining the same level of numerical accuracies. With this efficiency, we tested various device parameters with different biases, which are hardly obtainable when using a previous method, and found a blue-shift of the absorption peak as the bias was increased. We also revealed the existence of an optimum bias for the maximum absorption of light from this calculation.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에 관한 기초연구

        신현욱,최영광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2

        사회복지조직간 네트워크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는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하는 직업재활네트워크의 필요성 및 요구가 새롭게 제기되어지고 있다.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의 필요성은 무엇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직업재활에 있어서 장애인은 대개 다양한 경제·심리·사회·의료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의 충족을 위해서는 기관간의서비스 연계 즉,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9년 7월부터 12월까지, 기존 직업재활네트워크에 관한 문헌분석과 직업재활전문가를 통한 구체적인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업재활네트워크의 실제적 실천 및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재활 전문가가 인식하는 장애인복지관 상호간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축의 장애요인으로는 복지관 상호간의 실적·평가관련 지나친 경쟁심, 네트워크에 대한 기관장·실무자의인식 및 의지 부족, 네트워크 관련 전담인력의 부족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제언 및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기관간의 경쟁을 합리적으로 조정해 낼 수 있는 평가·보상체계 개발 그리고 네트워크에 관한 전문가의 인식개선 및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직업재활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매뉴얼 및 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직업재활 네트워크 구현과 관련된 실제적인 평가 지표가 개발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는 취업알선기관, 기업 및 고용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들이 장애인 고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도록 유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신현욱,강병노,최영광,황성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장애와 고용 Vol.21 No.2

        현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가 초기 구축 단계를 지나 일정정도 확산단계에 들어서고 있으나 인식의 한계, 기본적 인프라의 미비, 재정적 지원의 취약성, 조종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증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전략적이고 세부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는 2010년 6월부터 12월까지, 기존 직업재활네트워크에 관한 문헌분석과 직업재활전문가를 통한 구체적인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와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43개 및 경상도 35개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를 비교·분석하였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직업재활네트워크의 실제적인 실천 및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재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및 발전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 심리적 거리의 개선, 실적위주보다는 실질적 네트워크의 구축, 경쟁과 경계적 네트워크에서 열림과 공존의 네트워크 구조화의 과제가 제시되었고, 반면에 경상도는 지역적 특성 및 물리적 거리의 극복을 위한 지역 거점 기관의 개발, 비구조화된 네트워크의 시스템화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별로 지속가능한 실천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는 기관 및 사업특성별 네트워크 구축과 주축 기관(lead agency)의 발굴 및 역할 증대, 경상도의 경우 지역별 거점 조직 구축, 인센티브 등 지원체계 마련, 등이 제안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지체장애인 취업결정요인 분석 연구

        신현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장애와 고용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을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제공함으로서, 장애인의 취업 성공률을 높임과 동시에 직업재활 개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해 2008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제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 패널 데이터 중 지체장애인이면서 전체연령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2,393명을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하나인 Exhaustive CHAID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의 중증여부가 지체장애인의 취업을 예측하게 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의 중증여부·성별·혼인상태의 3가지 요인이 지체장애인의 취업에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효과보다는, 상호작용 및 보완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요인과 결부하여 양호한 학력 수준 및 상대적으로 높은 인적자본요인이 지체장애인의 취업률을 더욱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취업 위험요인(risk factors)을 상쇄하는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인의 고용을 증진시키고 직업재활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지체장애인에게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때 중증·여성·미혼과 같은 위험요인을 중복하여 가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발굴 및 우선적인 평가 그리고 집중적인 재활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둘째, 중증 지체장애인의 경우 실질적이고도 맞춤형의 인적자본향상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정교하게 제공되어져야 하며, 셋째, 여성 지체장애인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교육 및 인적자본을 끌어올릴 수 있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 내에 일정정도 비율을 여성에게 할당하는 정책적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마지막으로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체장애인에게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할 때 통합적이며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발전·확충시켜 나아가야 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mographic, human capital and servic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utcome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total of 2,393 individuals (age from 20 years to 65 yea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ro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dependent variable is employment outcomes. The predictor variables include a set of personal history, human capital and rehabilitation service variables. The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or (CHA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mployment outcomes was severity of disability and also the severity of disability, gender, and marital statu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makes great synergy. Furthermore, a good education and a relatively high level of human capital factors might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cific practice and policy direction to promote positive employment outcome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erived from these results. First, in providing employment services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government agencies should look for and evaluate the specific persons who have multiple risk factors, and provide intensive rehabilitation services. Second, the rehabilitation agencies should provide the customized human capital improvement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Third, education and human capital of femal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ust be improved, and affirmative-action policy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femal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in order to provide synthetic and effective employment services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tegrated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must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