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nO/Si SIS 이종접합의 전기적 성질

        왕진석(Jin Suk Wang),조남인(Nam In Cho) 대한공업교육학회 198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8 No.2

        It is shown that efficient solar cells using oxide ZnO on single crystal silicon can be made by rf sputtering, The optical transparancy and ease of preparation of these films is excellent and the conductivity can easily be brought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of solar cell use by heat treatment in H₂. The transmission is typically 80 percent averaged over visible range. The open circuit voltage and fill factor is decreased,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ZnO/Si device is heated at 350(℃) in H₂, 10 min and ZnO thickness is 5,000(Å).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웹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한 매채 전환 연구 -〈귀취등 鬼吹燈〉을 중심으로-

        왕진량(Wang Jin-Liang),이종한(Lee Jong-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3

        인터넷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단일한 매체는 이미 오늘날의 발전에 적응할 수 없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매체 간 상호 협력과 융합 추세를 나타내게 되었다. 또한 매체 융합의 촉진 과정에서 웹소설은 그 자체의 내용 우위를 통해 점차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업계로 파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파생상품 중에서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가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의 수량 비중이 성장 추세뿐만 아니라 이 매체 형식은 더욱 쉽게 독자가 수용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에 필요한 매체 전환에 대한 연구는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웹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하는 현상에 대해 매체 전환 측면에서 분석하며, 〈귀취등 鬼吹燈〉 시리즈 드라마 중에서 〈귀취등지정절고성(鬼吹燈之精絕古城〉과 〈용령미굴(龍嶺迷窟)〉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모어 채트먼(Symour Chatman)의 서사 이론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의 이분법 구조를 관찰하고, 이를 웹소설과 드라마의 텍스트 서사 구조에 응용하며, 또한 이야기(내용)와 담론(표현) 두 가지 측면에서 웹소설과 드라마의 전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내용) 측면에서 드라마 〈귀취등지정절고성〉과 〈용령미굴〉은 웹소설의 내용 및 표현과 일정한 공통성이 존재하고, 이 공통성은 매체 전환의 전제가 되었다. 또한 담론(표현) 측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담론(표현) 측면의 내용에 일정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그 차이점은 서사 전환이 발생하여 서사 플롯이 추가, 삭제와 변형 등을 통해 서사 형식이 전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담론(표현) 측면의 표현 역시 다르며, 이러한 차이는 두 매체의 형식 전환에 존재하고, 형식 전환을 통해 드라마는 화면, 소리 등의 수단으로 기존 웹소설의 이미지 구축 과정을 대체한다. 따라서 양자의 매체 전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사와 형식의 전환은 언어 매체와 영상 매체의 전환에 속하고, 이는 매체 융합의 추세에 따른 일종의 필연적인 발전 추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형식은 관객의 기대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더욱 강력한 감각적 충격과 몰입감 있는 오락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As the IT sees rapid development, different media forms begin to coordinate and integrate due to individual media form’s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current context. Driven by media convergence, network novels incrementally penetrate into films, TV series, game and other sectors by its quality content. Among these sectors, TV series adapted from network novels enjoy greatest popularity among audiences. Survey results suggest, the percentage of TV series sees a surge. Plus, such a media form caters more for readers. Therefore, media conversion from network novels into TV series is of research value. This research analysis, acting on network novels’ adaptation of TV series with Candle in The Tomb,and The Lost Caverns( in TV series Candle in The Tomb:) as the research subjects, is conducted based on Symour Chatman’s narrative theory.Firstly, dichotomy of story and discourse will be observed, and then it will be applied into the text narrative structure of network novels and TV series. The conversion between network novels and TV series will be analyzed on two fronts: story(form) and discourse(expression). The research indicates, TV series-Candle in the Tomb and Candle in the Tomb: The Lost Caverns, and their network novels share commonalities that provide preconditions for the media form’s conversion. So, comparison on the front of discourse(expression) is conducted again, and it’s found differences exist in the content of discourse(expression). Such differences spawn narrative conversion unfolding in the forms of addition, deletion and alteration of narrative plots. Separately, differences also exist in the expression of discourse(expression) front, and specifically, they can be seen in the conversion of two media forms. The form conversion shows that picture, voice and other means used in TV series replace the process in which characters in original network novels are shaped.Thereby, such a conversion between these two media forms demonstrates the conversion between narrative and form belongs to the conversion between text media and image media. Under the context of media convergence, such a conversion surely represents a progressive tendency. This form meets audiences’ expectation while bringing them an immersive entertainment experience with impressive audiovisual feast.

      • KCI등재

        콘텐츠 분석을 통한 중국 숏폼 동영상 APP의 비교 분석 연구 -TikTok과 콰이쇼우를 중심으로-

        왕진량(Wang Jin-Liang),박성호(Park, Seong-H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본 연구는 중국 숏폼 동영상 APP TikTok과 콰이쇼우(快手)를 중심으로 콘텐츠 분석을 진행하며, 이를 위해 먼저 숏폼 동영상 연구를 플랫폼와 콘텐츠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18년-2020년의 TikTok과 콰이쇼우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은 TOP50 숏폼 동영상을 선정한 후 이를 정리하여 TOP50 숏폼 동영상의 유저 계정이 총 265개(TikTok 계정 137개, 콰이쇼우 계정 128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분석 대상을 플랫폼 측면(플랫폼 형태, 플랫폼 가치관과 플랫폼 전송 메커니즘)과 콘텐츠 측면(콘텐츠 핵심 주제, 창작자 유형, 콘텐츠 생산 모델)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플랫폼 측면에서 세로 화면의 숏폼 동영상이 여전히 TikTok과 콰이쇼우 플랫폼의 주도적 포맷이고, TikTok은 ‘아름다운 생활에 대한 기록’의 주제와 취미 측면의 숏폼 동영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스타 또는 온라인 스타 형성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콰이쇼우는 ‘공평, 보편적 혜택’의 숏폼 동영상과 소셜 숏폼 동영상에 상대적으로 더욱 집중되어 있으며, 콰이쇼우는 일반인에 더욱 큰 관심과 일반인의 자아 표현 과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측면에서 TikTok의 핵심 주제는 미녀/훈남, 음악 등이 중심이고, 콰이쇼우의 핵심 주제는 유머, 미녀/훈남 등이며, UGC 유형과 PUGC 유형의 콘텐츠 생산 모델은 TikTok과 콰이쇼우에서 비율이 가장 높은 콘텐츠 생산 모델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숏폼 동영상 창작자에게 더욱 정확하게 자체 상황과 유저 집단 파악에 도움을 제공하여 더 많은 유저의 관심을 이끌어 팔로워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의 정확한 투입과 라이브방송 판매에서 유저의 포지션 상황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hinese short video APPs “TikTok” and “Kwai Shou” are set as examples based on content analysis. Firstly, in this study, two levels in the research on short video are identified: product level and content level. Secondly, the most popular annual Top 50 short videos of TikTok and Kwai Shou from 2018 to 2020 are analyzed here. In total, 265 user accounts (including 137 TikTok accounts and 128 Kwai Shou accounts)won the annual TOP50 short videos, and they are set as the research objects. Then,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conducted from product level (product form, product values, and product distribution mechanism) and content level (content core theme, type of creator, and content production mode).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at the product level, vertical screen of short videos still serves as the dominant short video format in TikTok and Kwai Shou platforms. TikTok focuses on short videos that “record beautiful life” and interest-related short videos, through which stars and internet influencers are made. Kwai Shou focuses on “fair and inclusive” short videos, as well as social short videos. In addition, it tends to record ordinary people’s life, and emphasize their self-expression. At the content level, TikTok focuses on the core themes of beautiful women/handsome men and music, while Kwai Shou tends to record the core themes of humor, beautiful women/handsome men. Additionally, UGC(User Generated Content) and PUGC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 User Generated Content) content production mode serve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production mode in TikTok and Kwai Shou platforms. Then, the above study helps short video creators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user groups, attract more visitors and fans, and know the precise placement of advertising and user targets of livestreaming-based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