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경남의 언어

        박용식 ( Yong Sik Park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경남의 언어’는 ‘경남 사람들이 써 왔고 현재 경남 지역에서 쓰고 있는 언어’이다. 경남 지역어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고 이에 대한 정리가 있었지만 역사적 고찰이나 문화재로서의 고찰은 아직 없다. 이에 이 글은 경남 지역어의 특징과 위상을 되짚어 본 뒤 2000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 목록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어 역사 자료를 고찰하면서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어의 가치와 조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경남 지역에는 무수한 섬과 지리산, 가야산 주변의 오지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들의 언어와 특수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언어는 보전하고 발굴할 가치가 있다. 이러한 연구야말로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문화콘텐츠 발굴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e language of GyeongNam is the language of GyeongNam region. That is to say it is the language that is spoken by the people of GyeongNam. The language of GyeongNam(LGN) is very unique dialect in Korea. Standard Korean has 10 single vowel on the other hand LGN has 6 single vowel. And there are a few region that [s`] is not a phoneme. And very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 of the LGN is that the grammar and lexicon of LGN is similar to old Korean. Young person of GyeongNam usually speak standard Korean. So, LGN is disappearing rapidly. The dialectologist of GyeongNam must survey diverse LGN. The language of inhabitant of an GyeongNam island and Jiri Mountain, Gaya Mountain will be good resource of dialectology. And the language of a unique profession will be good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박용식(Park Yong Sik)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글은 지금까지 각 자료나 형태를 중심으로 기존에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가, 특히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에 반영된 문법 형태 가운데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을 구분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우선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법은 창작 당시의 것으로 볼 수는 없고 9세기 이후의 것임을 논의하였다. 8~9세기의 이두 자료는 물론 8세기의 구결 자료 표기법의 특징을 고려했을 때 향가표기를 9세기 이전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에 대한 논의 결과 향가에서 실사(實辭)로 쓰이는 ‘白’과 처격조사 ‘中’의 표기와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표기인 ‘賜’ 표기 그리고 접미사 ‘爲’ 표기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은 고형(古形)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 ‘等’과 ‘尸等焉/尸等隱’ 등이 문법화되어 ‘조건’의 의미로 쓰이는 것과 주격·대격 조사 표기가 나타나는 점, ‘良中, 敎’ 표기가 나타나는 점과 보조사 표기인 ‘者’가 ‘焉/隱’으로 대체되어 쓰이는 것 등은 개신형(改新形)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ngga had been written forn 7th century until 9th century. The other side 〈Samgukyusa 三國遺事〉 that had been record the Hangga had been pressed in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it is assumed that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ve both the morphemes of 9th century and that of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The old form that had been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are ‘sap 白’ that had been used as the lexical morpheme, ‘e 中’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locative, ‘si 賜’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bject honorofic pre-ending and the state of ‘ha 爲’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ffix is not founded. The renovated form are ‘dan 等’ and ‘euldan 尸等焉/尸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grammaticalized morpheme, the state of the transcript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are not founded, the state of ‘ahui 良中’ and ‘isi 敎’ are not founded and the state of ‘eun 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auxiliary is founded, but ‘eun 者’.

      • KCI등재

        佐藤本 『華嚴文義要訣問答』의 符號口訣과 8세기 新羅의 文法 形態

        박용식(Park Yong-sik) 구결학회 2010 구결연구 Vol.24 No.-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에 기입된 符號口訣에 관한 연구는 한ㆍ일 양국의 한문 讀法과 한문의 自國的 수용 양상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동안 한ㆍ일 양국에서 이 자료에 기입된 부호구결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신라의 8세기 자료에 나타나는 문법형태를 고려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 글에서는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토의 기능을 8세기 신라 이두 자료의 표기에 반영된 문법 형태를 고려하여 기존의 논의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 했던 21(ㆍ)의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논의 과정에서 기존의 연구에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句節線과 逆讀線의 기능을 고려하여, 懸吐者가 파악했을 것으로 보이는 구문으로 分節한 후에 21(ㆍ)의 기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에서 21(ㆍ)의 기능을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와 말음첨기로 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21(ㆍ)의 기능과 8세기 신라 이두자료에서 ‘以’로 표기되는 형태와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ole of symbolic kugyol (符號口訣) found in the text of the Hwa'eom mun'ui yogyeol mundap 華嚴文意要決問答 (Sato edition), specifically those markings o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of a Chinese character (in the position 21(ㆍ)). These are compared with certain grammatical morphemes used in eighth century Silla idu texts, since the Hwa'eom mun'ui yogyeol mundap was written by a Silla Buddhist monk. The main function of the 21(ㆍ) marking has previously been understood to represent the objective cas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21(ㆍ) marking indicates both the sound of a final consonant and a connective verb suffix which shows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t is also argued that the very simple system of the symbolic kugyol of the Hwa'eom mun'ui yogyeol mundap is closely related to the simple system of early Japanese kunten, which was originally adopted from Silla.

      • KCI등재

        <진양지(晉陽誌)>에 나타나는 진주의 고지명 고찰(2) - 서면(西面) 중심으로-

        박용식 ( Park Yong-sik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이 글은 1632년 진주에서 간행된 <진양지(晉陽誌)>의 각리(各里)의 수록된 행정 지명 가운데 서면(西面) 지역에 속하는 31里와 1縣 이름의 의미와 전승 양상을 밝히기 위함이다. 이들 지명은 현재 진주시, 산청군, 하동군 지역의 각리 지명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이다. 특히 임진왜란 이전의 행정 지명 현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들 지명은 행정 지명인만큼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자연 지명에는 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인 1914년의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많은 지명이 사라졌다. 지명들은 중국식 한자 지명도 있지만 관련 전래 지명이 전하는 경우 그 뜻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승 과정에서 마을 이름을 적는 한자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음차인 경우 본래의 뜻과는 다른 뜻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각 마을이름을 한자어와 고유어로 나누면 ‘大坪, 水谷, 矢川, 沙月’ 등은 고유어 지명으로 보았다. 모두 관련 전래 지명이 전하기 때문에 훈차자(訓借字)나 음차자(音借字)라는 공통점이 있다. ‘元堂, 斷俗, 田頭, 三壯’ 등은 중국식 한자어 지명이다. 음차한 지명과 한자 지명은 전승 과정에서 원래의 표의성과 상관없는 다른 한자로 바뀌기도 하고 바뀐 이후에는 새로운 의미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 JingYang-Ji(晋陽誌) compiled in 1632, is the local topography of Jinju. It shows many toponyms of old villages. This paper force on the place-name of SeoMyeon(西面). And This paper examines the names of the 32 provinces. It is an article to reveal meaning and tradition of toponyms of old villages. These names are the oldest documents that can confirm the place names of Jinju, Sancheong, and Hadong area. These nominations are often disappearing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 phenomenon that does not occur well in natural place names. Especially, the many traditional place names has disappeared. in 1914,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gokri(水谷里), Sicheonri(矢川里), Daepyeongri(大坪里), Sawolri (沙月里) are semantically adapted Sino-Korean words, Each refers to a ‘village with frequent floods, a straight field like an arrow, a large field, a newly opened field’. Madongri(馬洞里), Gaeuldong(加乙洞), Gagwigok(可貴谷), Osanri (烏山里), Pajiri(巴只里) phonetically adapted Chinese character. It was presumed to be ‘a big village, a divided terrain, a village on a river, a village on a stream, a pants-shaped village’. but it could not be understood clearly. Of the 32 administrative nominations, 12 have remained to date, accounting for 37.5%. Sawolri(沙月里), Bukbangri(北坊里), Samjangri(三壯里), Jonghwari(宗化里)' are still used. And Jamaegokri(子梅谷里) reduces one syllable and changes the Chinese character to Jamaeri(紫梅里). Akyangri(岳陽里), Jeokyangri(赤良里), Sicheonri(矢川里), Sugokri(水谷里), Daepyeongri(大坪里), Pyeonggeori(平居里), Hwagaehyeon(花開縣) have remained as the name of Myeon(面).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names not used now is 20, which is 62.5%. Among them, Ihari(籬下里), Odaeri(五臺里), Ungokri(雲谷 里), Seoncheonri(鐥川里), Jindapri(陳畓里), Gaseori(加西里), Mobanggokri(茅房谷里), Donggokri(桐谷里), Jeonduri(田頭里) were used until 1906. And Madongri(馬洞里), Baegokri(柏谷里), Seosindaeri(西申大里), Wondangri(元堂里), Eobaegokri(於背谷里), Pajiri(巴只里), Gagwigokri(可貴谷里), Osanri(烏山里), Gaeuldong(加乙 洞), Chimgokri(針谷里), Dansokri(斷俗里) were used until 1914. Because of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1906 and 1914, many aspects have been merged, and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nomination has disappeared. An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 few Chinese characters were changed to other Chinese characters not related to the original mark, and after the change, they were recognized as a new meaning.

      • KCI등재

        땅이름 "덤"의 분포와 의미

        박용식 ( Yong Sik Park ) 국어학회 2006 국어학 Vol.0 No.48

        땅이름 "덤"은 현대국어에선 더 이상 생산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지만 경상남북도를 중심으로 땅이름의 ``뒤형태``로는 800여 회나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서부 경남에서는 아직도 강가에 솟은 벼랑을 ``덤``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덤``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없었다. 이 글은 ``덤``에 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현지 답사를 통해 ``덤``의 다양한 형태를 확인하면서 ``덤``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답사의 대상은 ≪한국땅이름큰사전≫에서 ``덤``을 ``더미, 밭, 논, 마을…….`` 등으로 기술해 놓은 지역이었다. 답사를 통해서 ``덤``은 강이나 개울가에 있는 ``벼랑형`` 덤과 산 속에 있는 ``바위형`` 덤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덤``과 ``바위, 벼랑``과의 차이를 의미 자질의 차이를 통해 알아 보고 ``덤``은 ``담``과 ``아-어`` 대립을 이루는 낱말임을 논의함은 물론 ``덤``은 ``마을``을 가리키는 ``땀``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Deom(Deum)(덤) range from Gyeongnam to Gyeongbuk. It presents above 800 times at these places. But, Deum(덤)`s meaning and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has not been known, by now. This paper tried to shows Deum`s meaning, by a result of field work. We verified the shape of Deum can be separated a rock-shaped Deum and a precipice-shaped Deum. The meaning of Deum shares [Big Rock] with a rock(바위), and [verticality] with precipice(벼랑). But Deum`s another meaning factor, [Blocking] is distinguishable from rock(바위) and precipice(벼랑). the meanings of a wall(담) and a village(땀) are associated with Deum. These geographical designation share the meaning factor, [Blocking]. We concluded the meaning of Deum is ``the blocking rock or precipice that is usually located beside a river or a brook.``

      • KCI등재

        경상남도 고대국어 자료의 가치

        박용식 ( Park Yong-sik ) 배달말학회 2020 배달말 Vol.67 No.-

        고대국어 자료 가운데 경상남도의 고대국어 자료에 대한 논의는 아직 없다. 고대국어 자료는 신라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신라의 변방이었을 뿐만 아니라 가야에 속했던 경남 지역에는 고대국어 자료라고 할 만한 것이 많지 않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 글은 현재의 경상남도 지역에 전해 오는 고대 금석문 가운데 고대국어 자료로 논할 수 있는 것들을 제시하고 단편적으로나마 논할 수 있는 경남의 고대국어를 살펴 보았다. 가야의 자료는 토기나 칼에 새긴 명문에서 관직명을 확인할 수 있고, 신라와 통일신라 시기의 한문 자료에도 자료에서도 간단하게나마 경남의 고대국어 상황을 알 수 있는 단편적인 자료가 있다. 이러한 논의의 성과는 가야 자료나 신라 자료에서도 경남 지역의 자료는 신라의 것에서 이질적인 자료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문자 생활의 발달사에서 경남 지역도 소외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또한 산청에서 발견된 사리합의 가치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 두 자료로서 또는 창작문으로서도 국어국문학적인 가치가 있음을 논의했다. 8세기 자료로서 문법 형태가 나타나는 이두 자료 가운데 가장 우수한 양상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원문’ 부분은 국문학사에서 가장 오래된 창작문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Among the ancient Korean materials,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about Gyeongsangnam-do’s ancient Korean materials. Since ancient Korean materials are concentrated in Silla, it is true that there are not many ancient Korean materials in the Gyeongnam area, which was not only a part of Silla, but also belonged to Gaya. In this article, among the ancient epigraph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Gyeongsangnam-do region, we have presented items that can be discussed as ancient Korean materials, and examined the ancient Korean languages of Gyeongnam. In Gaya's data,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 can be confirmed from the inscription. In addition, in the material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ancient Korean of Gyeongnam was briefly discussed in Chinese materials, focusing on Buddhist materials. Through this discus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yeongnam data are not heterogeneous data from the Silla data in the Gyeongnam data or the Silla data. It was discussed that the Sarira tureen found in Sancheong has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as both materials and creative texts. As an 8th century data, not only did it show the most excellent aspect among these two materials in which grammatical forms appear, but also ‘prayer' discussed the possibility as the oldest creative tex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언어 소멸 양상 연구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박용식 ( Park Yong-sik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6 No.-

        이 글은 진주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말을 현재의 젊은 세대들이 얼마나 쓰고 있는지 또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작은 조사이다. 진주 시내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고 대학생과 40대 이하의 직장인들에게도 같은 설문지로 조사를 해 보았다. 진주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어인 ‘에나’의 경우 도로명 주소로 사용하기도 하고 관광객들을 위한 걷는 길 이름 혹은 진주시에서 분양하는 지하상가 이름으로도 사용하고 있지만,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잘 쓰지 않거나 잘 모르고 있었다. 구개음화나 움라우트 같은 변화를 겪은 어형 역시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문법 형태, 특히 의문법의 경우 ‘어디 가?, 먹었어?’와 같은 중앙어 어형과 ‘오데 가노?, 무웄나?’와 같은 전통적인 지역어 어형을 같이 쓰고 있었다. 이는 특히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경우 거의 같은 비율로 두 어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역의 40대 이하의 세대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는 같은 설문지를 다양한 세대들을 대상으로 방언뿐만 아니라 중앙어 어형의 사용 양상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진주 지역의 젊은 세대들이 사용하는 방언과 중앙어의 사용 양상의 한 단면을 알 수 있었다. 지역어를 가장 많이 쓰는 계층이 대학생이나 젊은 직장인이 아니라 고등학생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이번 조사의 가장 큰 성과이다. 지역의 학생들이 상급 학교를 다니면서 차츰 지역어를 익혀 가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차츰 중앙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준다. How much is this article's traditional language used by the younger generation today? It's also a small survey to see how much you know.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Jinju city were the main subjects, and the same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universit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under their 40s. In the case of 'Ena'[Really?], a local language representing the Jinju area, it is used as a road name address, a walking path name for tourists, or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sold in Jinju City, bu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o not use it well or do not know it well.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lso rarely used the phenotypes that had undergone changes such as palatal and umlauts. In the case of the grammar form, especially the questionnaire, a standard language form such as ‘Eodi gani?[Where are you going?], Meokeottni?[Do you have eaten it?]’ and a traditional local word form such as ‘Ode Gano?[Where are you going?], Muuttna?[Do you have eaten it?]’’ are used together. In partic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used two word This survey, targeting generations under 40s in the region, targets not only dialects but also the usage patterns of a standard language for various generations. One aspect of the use aspect could be seen.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urvey is that the class who speaks the most local languages is not college students or young office workers, but high school students. It shows that local students gradually learn the local language while attending higher-level schools, but they tend to use the central language gradually in their soci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