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汉语介词“在”的产生时代及鉴别标准

        ?(Huang, Bin) 한국중어중문학회 2018 中語中文學 Vol.- No.72

        In the study of modern Chinese, the “Zai(在)” that acts alone as the core of the predicate is generally regarded as a verb, while the “Zai(在)” tha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verb structures is considered as a preposition. The preposition “Zai(在)” has two positions —— before the verb and after the verb. In the ancient Chinese , the usage of “Zai(在)” combined with other verbs has already appeared, and both front and back positions are also available.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 the “Zai(在)” of ancient Chinese: one is represented by Ma Jianzhong and Wang Li, considering it as a verb; the other is represented by Yang Shuda, considering it as a preposition. Related to this,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when the preposition “Zai(在)” appeared: (1) Yang Shuda is the representative and believes that the word “Zai(在)” has been used as a preposition in the Zhou and Qin Dynasties. (2) Wang Li believes that the preposition “Zai(在)” originated in the Western Jin Dynasty. (3) Guo Xiliang believes that the preposition “Zai(在)” originated in the Western Han Dynasty. Different judgments are made for the same linguistic phenomenon. This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criteria for the judgment. This article implements Wang Li’s systematic view of language research, and uses the identification criteria of preposition “Zai(在)” in modern Chinese research to investigate and study this language fact. First of all, Mr. Wang believes that in the system of the ancient Chinese, there w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reposition “Yu (于/於)” and the verb “Zai(在)”; only if the “Zai(在)” replaced the “Yu (于/於)” , preposition “Zai(在)” was really present. Secondly, in modern Chinese, the prepositional “Zai(在)” has the compatible grammatical and semantic features as the verb “Zai(在)” , but there is also a grammatical feature that is opposite to the verb “Zai(在)”. The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its independence are the latter. Based on these methods, This article also uses it as an identification standard, and proves that the “Zai(在)” is a verb in the ancient Chinese. It is in opposition to the preposition “Yu (于/於)”. In Chinese history, the usage of the preposition “Zai(在)” first appeared in the middle and late Eastern Han Dynasty.

      • KCI등재후보

        海昏侯刘贺墓铜器初步研究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8 문화와예술연구 Vol.12 No.-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excavated bronzes at the tomb of Marquis of Haihun Liuhe of the Western Han dynasty in Nanchang Jiangxi,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naming and function of the bronzes, which points out that the four liters is juan-basin, ten liters is pan-basin, twenty liters is pen-basin, the function of xing-warmer also be providing heat preservation of food, Zhong is dedicated to the large size of wine vessel. Secondly, from the period, the bronzes of Liu He's tomb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which are Zhou Dynasty bronzes, King of Changyi bronzes, the bronzes of Liu He who were deposed to the ruins of the Changyi and the bronzes of Marquis of Haihun, which belong to Liu Bo, Liu He, Li Jiaji and Nanchang. In addition, on the combination of Liu He's tomb musical instruments, which are chime of 14 niu-bells, 10 yong-bells, and more than 10 pieces of iron stones, could be three sets on the three sets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could be hung along three sides of the hall: the musical instruments assemblage match the rite for the rank of a marquis. 本文在江西南昌西汉海昏侯刘贺墓出土铜器整理的基础上,首先讨论 了铜器的定名和功用问题,指出四升为鋗、十升为盘、廿升为盆,鋞的功用 也可能为保温的食器,锺为体量较大的壶类铜器的专名。其次,从时代上将 刘贺墓铜器为四组,分别为周代铜器、昌邑王时期铜器、刘贺被废黜归昌邑 国的铜器和刘贺为海昏侯时期的铜器,器物归属为刘髆、刘贺、李家姬、南 昌县等。此外,刘贺墓乐器组合上,14件钮钟、10件甬钟、10多件铁磬形成 三套装配在三组虡架上,三组铜乐器三面悬挂,组合体现了诸侯之礼。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国传统京剧的戏班构成

        周?(Zhou Hua-Bin) 중국문화연구학회 2004 중국문화연구 Vol.0 No.5

        京劇의 行當에 관한 역할은 이미 기존에 자세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京劇의 항당에 대해 필자 나름대로 자세한 구분과 설명을 통하여 傳統戱曲의 角色과 항당의 구성과 歷史發展을 규명해 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京劇의 劇團構成과 연출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밝혀내었다. 특히 경극 표현예술의 流波와도 관련하여 戱班의 構成 및 演出體制도 함께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中国古代青铜器著录和研究的三个阶段 —以青铜觯为例-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본고는 청동 치(觶)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연구한 후에 중국 고대 청동기의 저록과 연구과정을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북송에서 청 말기까지 중국 청동기는 기본적으로 금석연구의 범주에 속하였다. 대부분은 저록을 위주로 하며, 극소수는 글자 의 고석과 연대구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국에서 20세 기 70년대까지는 고기물학(古器物學)이 흥행함과 동시에 고고 학도 중국에 진입하였다. 청동기의 저록은 촬영과 탁본 기술을 활용하여 자료들을 수록하기 시작하였다. 고고학에서 제공하는 배경지식을 저록의 내용에 새롭게 추가하였고, 고고학 방법도 청동기 연구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전통적인 학술에 영향을 받음으로 인해 이 시기에 여전히 전통적인 연구 는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일례로 명문고석, 청동 기 연대고증, 역사문제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20세기 70연대 말에 진입하면서 중국 고고학은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중국 내 학자들은 청동기의 연구에 대해 정식으로 전통적인 금석학과 고기 물학의 영역을 벗어나 고고학 중심으로 전환하여 청동기 연구의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게 되었다. 저록 방면에서도 고고 학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정보가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그 활 용된 기물의 그림과 사진 등도 청동기 저록 중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이외에 수집 성격의 저록들이 대량으로 출현 하게 되었고, 일부 집대성적 저작들도 출현하였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중국 고대 청동기의 저록과 연구는 금석학에서 고고학 으로 전환된 뒤에 새로운 절정을 맞이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本文在以铜觯为例进行深入研究后,将中国古代青铜器的著录 和研究分为了三个阶段。在北宋至清末,中国青铜器基本属于金石 学的研究范畴,以著录为主,个别研究仅限于考释和断代。民国至 20世纪70年代,古器物学兴起的同时,考古学也传入中国。青铜器 的著录开始采用摄影和拓片技术保存资料,考古学所提供的背景信 息成为著录的新内容,考古学的方法也开始进入铜器的研究。但由 于受中国传统学术影响,此时传统的研究仍占据重要地位,诸如考 释铭文、铜器断代、历史问题研究等。进入20世纪70年代末后,中 国考古学快速发展,国内学者对于铜器的研究正式打破了传统金石 学和古器物学的壁垒,转而以考古学的研究为主,铜器的研究进入 了新的阶段。在著录方面,考古学所提供的信息成为重要内容,其 所采用的正投影器物线图等也在铜器著录中广泛使用。此外,汇集 性质的著录书籍大量出现,并涌现了一些集大成的著作。总之,中 国古代青铜器的著录和研究在经历了由金石学向考古学的转变之 后,被推向了新的高峰。

      • KCI등재

        소수민족지역 혼인관련 법치발전에 관한 분석- 자바족 사례를 중심으로 -

        韩 玉 ,강문경 한중법학회 2017 中國法硏究 Vol.30 No.-

        다오푸현의 자바족 군락은 오랜 기간 동안 데릴사위, 주혼 등의 전통적인 혼인 풍속을 가지고 있다. 자바족 남성의 주혼과 데릴사위 풍습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중 29.4%의 남성이 주혼을 선택하고 41.2%의 남성이 데릴사위를 선택하며, 오직 11.8%의 남성만 일반적 형태의 결혼을 한다. 물론 장자의 경우 결혼을 통해 가계를 잇는 현상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조사대상중의 30%의 장자는 결혼을 하고 있다. 둘째 아들의 경우 결혼하는 비율은 8.3%에 그치고 있으며, 삼남의 경우는 없고, 막내아들의 경우는 6.25%가 결혼을 한다. 그러나 만약 독자의 경우 결혼의 비율은 50%로 상승한다. 자바족 여성이 결혼하여 출가하는 경우와 주혼을 받아들이는 경우, 데릴사위를 얻는 혼인 형태는 3등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에 대한 비율은 35.3%, 35.3%, 29.4%이다. 만약 장녀의 경우, 결혼 후 출가는 20%, 주혼을 받아들이는 경우는 30%, 데릴사위를 얻는 경우는 45%로 상승한다. 막내딸의 경우 데릴사위를 얻는 경우 혹은 주혼을 받아들이는 경우의 비율은 54.6%이며, 이중 다른 딸들의 대부분은 결혼을 하여 출가를 하였다. 자바족의 큰아들 또는 외아들의 대부분은 결혼을 선택한다. 이는 그들이 마음속으로는 부계혈통을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아들이 혈통을 계승할 능력이 없는 겨우, 사위를 맞아들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주혼을 하고 집에 있는 아들은 집안일을 하며 숙부로서의 권리를 향유한다. 이것은 자바족의 혼인 형태 선택과 가정은 인구 번성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후대의 혈통승계가 부계인지 모계인지에 대해 그다지 문제 삼지 않는 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데릴사위와 주혼의 높은 비율은 사회 환경 안에서 자바족의 전통 가족 구성에 있어 연합가정 과 주간가정간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몇 대가 함께 사는 자바민족이 비록 한세대에서 일부일처가 할지라도 같은 세대 내에 2가지 이상의 양육단위가 존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전통적인 자바족의 가정 구성 형태는 보편적으로 비교적 광범위하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바족의 가정 구성에 있어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핵가족화된 가정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다. 현대 혼인법의 가치와 나아갈 방향은 복리주의이며, 이는 남녀평등의 부부재산공유제의 실현에 있다. 또한 부부 약정재산제도는 이에 대한 자유를 명확히 드러내고 있으며, 배우자 부양권에서는 약자 보호를 중시하고, 경제 조력권, 자녀에 대한 부양권, 부모에 대한 봉양권, 가까운 친족 간의 계승권리 등 현대법제의 정신을 혼인 가정제도 체계에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소수민족의 혼인법규정에 대한 자율적인 한도 내에서 민족의 전통문화 설정권리의무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가 소수민족의 문화 다원화성을 존중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혼인법 중에서는 가장 낮은 정도의 강제성을 요구하고 있고, 이는 소수민족혼인과 현대사회의 가치추구라는 두 가지 부분을 멀어지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회문화발전 과정 중의 한 부분이라고 볼 때, 자바족은 우리의 전통향토사회와 국가혼인가정입법간의 격차에서 스스로 적응하는 전형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In Yazhuo District Daofu County, the Tibetan have been holding particular marriage custom, such as matrilocal residence and walking marriage. The male predominant choices are male-leaving marriages, among all of them, there are 29.4% who choose male-leaving marriage and staying at home, there are 41.2% who choose marrying into and living with their brides’ families, there are only 11.8% who marry at home. Certainly, it is obvious that the eldest sons usually marry at home and carry on the family line. Their marriage percentage is 30%, by comparison, the second song’s is 8.3% and the youngest 6.25%. If he is the only son, the probability about he marrying at home is more than 50%. The female choices generally balance among getting married, walking marriage and looking for visit-son-in-law, the percentages are respectively 35.3%、35.3% and 29.4%. If she is eldest daughter, the probability about she marrying and staying at husband’s home is only 20%, the walking marriage’s is 30%, and the matrilocal residence’s is more than 45%. Either matrilocal residence or walking marriage, the percentage of the youngest daughter staying is 54.6%. In addition to them, most of the other daughters often marry and live at husband’s home. As a result, Zaba Tibetan emphasize the paternal line in the depth of their heart, if their sons are incapable or indisposed, the daughters will inherit the ancestral descent. When decide their marital model, Zaba Tibetan pay more attention to family population, whether the blood lineage comes from father or mother, they pay few attention to it. Zaba Tibetan families are huge and complex, there are more than two fertility units in one generation. In recent years, Zaba Tibetan family structure has been changing obviously, the core family is growing in number distinctly. The value orientation of modern marriage law is welfarism, the community property embodies the equality of men and women, the system of contractual spousal property manifests the freedom, which focus on protecting the weak are the support right, the help right, the custody and the succession, all of them construct the modern marriage law. The minority ethnic groups have the right to set up their jural relations within the limits, which manifests the state respect cultural diversity. The marriage law unify the minimum mandatory stipulates, which avoids the minority’s marriage far from modern society. As a developing nodal point, Zaba Tibetan family structure modification is a typical sample about self-adaptation between state civil legislation and traditional custo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