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팔공산 동화사의 풍수 및 가람배치의 특징

        성동환(Dong Hwan Su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팔공산의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桐華寺의 입지와 가람배치의 풍수지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동화사의 풍수지리적인 특성에 대한 해석과 연구는 향후 동화사의 토지이용이나 건물의 증·개축, 진입로의 개설, 가람의 변경·유지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화사는 산과 물이 에워싸인 지세로 풍수지리적인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곳으로 종교적 장소성을 확보하기에 용이한 조건을 갖추었다. 봉황과 관련된 안온한 지세와 어울리게 가람이 배치되었으며, 봉황을 상징하는 시설물들이 누각과 문, 비에 남아있고, 대나무와 오동나무가 많이 稙栽되어 있다. 동화사의 중심공간이 잘 부각되고, 사찰의 境域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 진입로의 복원, 주차장을 폐쇄, 새로운 진입로의 개설 등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the layout of Donghwa temple(桐華寺) in Kyungbuk Province from feng-shui perspective. Feng-shui is a traditional geographic thought in China and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eng-shui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landscape and cultural geography. Feng-shui had had a tremendous impact on Korean landscape through selective buildings of cities, settlements, houses, monuments, temples, pagodas, and so on. In this study, I interpret the geomantic characteristics of Dinghwa temple in 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Donghwa temple is carrying the mountain on the back and belting the water in front. The mountains which encircle the auspicious place are accordance with the feng-shui theory. The watercourse which flows the temple is suitable. The feng-shui spot(穴)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with surrounding mountains and a watercourse in front. 2) Many feng-shui texts discuss the types of surrounding mountain in detail and morphologically describe them with certain auspicious objects. In case of Donghwa temple, it can be compared to a phoenix carrying eggs in the bosom. This is a morphological marker for the description of configulation features of Donghwa temple. In the case of Donghwa temple, we can observe geomantic landscape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 geomantic harmony of the temple. Also the impact of feng-shui on vegetation is identified in Donghwa temple. 3) For the management of good feng-shui condition, and for the maintaining the harmony between the building layout and surrounding landform, some proposals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풍수사상으로 살펴본 고령지역의 풍수지리학적 특성

        성동환 ( Dong Hwan Su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풍수사상은 한국인의 공간활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고을과 마을의 입지와 주택의 배치, 사찰, 향교, 서원, 무덤 등의 입지 선정이나 경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은 고령군 지역의 읍기, 마을, 향교, 서원, 사찰 등의 양택과 고령지역의 음택을 선정하여 풍수지리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고령 邑基는 水口가 虛한 단점이 있으나 산과 물의 짜임새가 잘 이루어져 있어 지리적인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명당이며, 현재에는 소멸했으나 과거 읍기의 하천가에 조성되어 있던 赤林은 청룡줄기가 짧은 것을 보완해주고 홍수의 피해를 막아주던 風水裨補의 역할을 하던 숲이었다. 고령지역 마을 명당의 풍수지리학적 특징을 살피기 위해 개실마을, 송림리마을, 벌지리마을 등을 현장답사를 통해 조사 해석하였으며, 종교적 장소성이 잘 부각되는 곳에 입지한 반룡사와 합가리사지를 사례로 풍수지리학적인 해석을 하였다. 고령지역의 음택풍수는 풍수사상의 이론체계인 龍穴砂水를 중심으로 金沔墓, 高靈申氏始祖墓, 朴持墓를 사례로 그 특징을 해석하였다. 이 논문은 고령지역의 양택과 음택 중 한정된 사례를 분석한 기초조사이므로 고령지역의 풍수지리특성을 전면적으로 밝히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 더 많은 사례를 분석하여 보다 심도있게 분석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Feng-shui is a traditional geographic thought in Korea. In traditional Korea, all structures and all site planning were influenced by considerations of feng-shui.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eng-shui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landscape and cultural ge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in Koryoung County in Kyungbuk Province. Generally, feng-shui theory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tomb feng-shui(feng-shui for the dead) and the living space feng-shui(feng-shui for the living). The basic feng-shui theory includes mountains, the auspicious spot, the surrounding mountains and the watercourse, and so 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Koryoung area in both sides. In this stud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temple, Confucian public school,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tombs were investigated through basic feng-shui theory.

      • KCI등재

        조선시대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이형윤(Hyung Yun Lee),성동환(Dong Hwan Su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1

        山圖는 풍수지리적 길지, 즉 穴과 명당의 국면을 표현한 지도이다. 산도는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관찰한 자연지형을 풍수지리적 공간모형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족보 중 『杞溪兪氏族譜』 와 『潘南朴氏世譜』에 게재된 2개의 산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族譜에 게재된 산도의 제작기법, 지형표현의 특징을 산도의 구도, 시점, 중심지향적 지도, 물의 흐름, 산론 등의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산도는 이원적 축척과 부감법을 사용하였으며 묘지를 중심으로 지형을 묘사하고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지형은 시점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山論 부분에는 지리적 위치와 산맥의 흐름과 체계, 풍수적 특징, 묘지의 좌향과 주변지형을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A feng-shui map is a kind of map that features such propitious positions as fortune-bringing spots or ideal grave sites. The map is a representation of the most ideal natural terrains in terms of feng-shui perspectives. This study did research on two feng-shui maps registered on some genealogical tables in order to see how the map was drawn up. In additio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landform expressions like the frame of the map, viewpoints, center-oriented mapping, water flow, mountain theories were delved in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eng-shui maps for this research used the techniques of double scale and aerial view, described terrains with grave sites in their centers, and enlarged important terrains compared with surroundings for exaggeration purposes. In addition, other vital landforms not observed from grave sites were depicted with viewpoints moved and were represented in fine details. The part of mountain theories had the following points as their main subject matter: geographical locations, overall orientations of mountain ranges, topographical traits, grave seat directions and surrounding terrains.

      • KCI등재

        昭寧園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李炯倫(Hyung-Yoon Lee),成東桓(Dong-Hwan S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rawing method of the 「 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 which is a mountain map produced when the grave site of Sookbin Choi was designated and its characteristics regarding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is composed of the three stages of the title, picture maps and mountain principles, and depicts mountains in three dimensions. The propitious site where the meridian point is located features the surrounding and embracing nature of the land. The bird's eye viewpoint is adopted whose viewpoint is up in the air just above the meridian point on the center of the picture. The semi-perspective method is employed that puts into perspective only the important terrains necessary to form a propitious site. The flow of viewpoints moves from Mt. Sojo to the meridian point of the principal mountain and stops at the meridian point, which is a trait of the center-oriented map. With respect to the map scale, the double scale method is used. This is to depict the propitious site in a more detailed manner. The water ways are all expressed in dotted lines and letters are freely located, but the center is situated in the meridian point. Among the notes to the picture maps are water movements and directions, titles of surrounding Sagyuk, geographical locations and geomantic comments. The mountain explanations adopt a geomantic commentary approach with respect to the terrain judgment. 본 연구는 숙빈최씨의 葬地를 정할 때 제작한 山圖인 「墓所圖形與山論」의 제작기법과 지형표현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묘소도형여산론」은 제목, 그림지도, 산론의 삼단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산악입체도로 표현되었다. 穴이 위치하는 명당국면은 環抱性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점은 그림의 중심에 위치한 혈 위에서 내려다보는 부감법을 사용했으며 명당국면을 만드는데 필요한 주요 지형만을 투시하는 반투시법을 사용하였다. 시점의 흐름은 소조산에서 주산 혈처로 이동하고 혈처에서 멈추는 중심지향적 지도의 특성을 보인다. 축척은 이중적 축척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명당국면을 세밀하게 묘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물길은 점선으로 통일되어 표현되었다. 그림지도의 부기에는 물의 來去와 방위, 주위 砂格의 명칭, 지리적 위치, 풍수적 논평이 기록되어 있고 理氣풍수적 경향이 짙은 예언적 讖言이 기록되어 있다. 山論은 지형판단에 대한 풍수적인 논평방식을 취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전통마을 비보(裨補)숲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윤재일(Yoon, Jae-il),성동환(Sung, Dong-hwa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 고성군에 소재하는 마을숲 중 비교적 보존형태가 양호하고 문헌적 자료가 확실한 15개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풍수적 비보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지리학적인 측면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점은 마을숲이 수구막이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마을숲이 마을의 전면부를 막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마을 전체에 안정감을 부여하고 정서적으로 안온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이는 고성군 마을숲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마을숲 조성이 수구(水口)를 관쇄(關鎖)하는 풍수지리의 기본 원리를 구현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판단된다. 둘째, 골짜기 바람이나 해풍이 불어오는 경우 수구를 막아주면서 한편으로는 살풍(殺風)을 차단하는 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청룡이나 백호가 빈약하거나 안산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에 마을의 지기(地氣)를 보존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서 숲을 조성하여 마을의 오랜 번영을 도모하려 하였다. 하나의 숲이 한 마을에서는 백호로, 다른 마을에서는 청룡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조산(朝山)과 안산이 허결(虛缺)한 경우에는 앞쪽이 과도하게 공허하거나 광활해질 수 있으므로 안산을 인공으로 조성하여 보완하려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흉사(凶砂)나 흉수(凶水)를 가려서 비보하려는 마을숲이 있었다. 또한, 연못을 조성하여 명당수를 조성하려는 마을숲이 두 곳으로 파악되었다. 고성군의 마을숲은 현재 휴양림으로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서북풍의 골풍과 해풍을 막거나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마을숲이 많았다. 또한 사신사 중에서 청룡과 백호나 안산을 보호하여 비보하는 경우가 있었고, 연못을 조성한 명당수로서의 역할을 하거나 흉수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oseong Gun,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feng-shui perspectives, and a total 15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Village forest is built and preserved by the village residents. It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Feng-shui’s main goal is to make and search for the best site(MYungdang) surrounded by mountains or hills which moderate the wing and gathers the water. A perfectly auspicious site without any shortcomings is extremely rare. Consequently, feng-shui expert developed the concept of Bibo in order to compensated for or remedy minor defects of an auspicious site in terms of feng-shui. The forest planted under the tenets of Feng-shui theory is Bibo forest which is complemented in order to fill up the void topography. Man could build dikes or create artificial mountains or plant trees and protect forest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potentially auspicious place. In most cases, when people found the shortcomings of the landforms of their habitat, they compensated for them through Feng-shui Bibo method. Man modifies the natural landscapes in order to make up deficients in the local geomantic landscape by planting trees. Planting trees for the Feng-shui reason is an unique example of Korean’s modification of landforms for the purpose of fulfiling the geomantic harmony of an a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